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2716

취나물속 신엽(5.2, 7.30) 취나물속 꽃(8.14)총포편은 7열이고 위로 갈수록 점차 길어지며 포편끝에 침상의 돌기가 있고 자색을 띠며 거미줄 같은 털이 거의 없다.줄기는 단생하고 털이 없어 보이며 다소 희미한 능선이 있다.잎 앞면에는hyunsik.tistory.com 취나물속 열매, 종자(10.24)총포 길이는 16~18mm(갓털 제외)종자 길이는 4.8~5.6mm갓털 길이는 10.3mm 취나물속 신엽(5.2)취나물속 꽃(8.14)총포편은 7열이고 위로 갈수록 점차 길어지며 포편끝에 침상의 돌기가 있고 자색을 띠며hyunsik.tistory.com'24.5.2. '24.7.30. 2025. 1. 1.
난쟁이현호색(5.2) '현호색속 분류학적 재검토' 논문에 의하면 탐라현호색은한라산 저지대 수림하에서 자생. 인편엽에서 4~6개의 줄기가 나와 사방으로 기다가 높이 9~19cm의 지상부를 형성.잎은 2~3회 3출엽이며 소엽은 원형, 코스모스잎형, 댓잎형 등 엽형의 변이가 심하다. 꽃은 4~12개가 길이 5~12cm 총상화서를 형성하는데 화서에는 털이 밀생. 포는 길이 3~10mm, 폭3~6mm인장상형으로 선단이 깊고 잘게 갈라진다. 열매는 납작한 방추형으로 배주가 2열로 배열.난장이현호색은경기도 현등산에만 분포하는 특산식물.인편엽 기부에서 1개 또는 여러 개의 줄기가 나와 높이 4~23cm의 지상부를 형성. 잎은 3출엽 또는 2회3출엽.소엽은 원형, 타원형, 선형 등 형태적인 변이가 심하다. 잎의 표면은 녹색이나 백색 반점이 .. 2025. 1. 1.
담배풀 신엽(9.25) 담배풀 신엽(5.8, 5.27)[특징]1. 줄기에서 나온 엽병과 가지 기부에 붉은 반점이 있다. 2. 총포가 근연종에 비해 짧다.3. 개화시기는 근연종에 비해 늦다.4. 두해살이풀이다(좀담배풀, 긴담배풀 등 근연종은 다년초임).[hyunsik.tistory.com 담배풀 신엽(2년초, 3.27, 3.19)2년초. [비교]  긴담배풀, 좀담배풀, 담배풀, 두메담배풀 근생엽* 긴담배풀 : 엽병에 날개가 없다.* 좀담배풀 : 엽신에 털이 밀생하고 엽병에 넓은 날개가 있다.* 담배풀 : 엽병에 좁은 날개가 있hyunsik.tistory.com'24.9.25. 2024. 12. 31.
큰엉겅퀴 신엽(9.25) 큰엉겅퀴(6.25)'17.6.25hyunsik.tistory.com 큰엉겅퀴(8.24)[기재문]학명은 Cirsium pendulum Fisch. ex DC.이며 종소명 pendulum는 시계의 추를 말하며 긴 꽃줄기 끝에 아래로 매달린 꽃을 의미한다. 들이나 야산, 강가 등 주로 낮은 지대에서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hyunsik.tistory.com 큰엉겅퀴 꽃(9.5)'21.9.5hyunsik.tistory.com 큰엉겅퀴 열매, 종자(10.4)'21.10.4hyunsik.tistory.com'24.9.25. 2024. 12. 31.
겹삼잎국화(7.28, 8.3, 원추천인국속) 삼잎국화의 겹꽃 삼잎국화(7.17)[기재문]학명은 Rudbeckia laciniata L.이며 종소명 laciniata는 '잎이 가늘게 갈라지는' 의미.관상용으로 도로변, 정원, 민가 주변 등에 심어 기르거나 야생화하여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북아메리카 원hyunsik.tistory.com'24.7.28. / 상주 '24.8.3. / 군위 2024. 12. 30.
참반디 신엽(4.12, 5.9) 회리바람꽃 영양엽(5.2)회리바람꽃 영양엽만 보게 되면 붉은참반디, 참반디 잎과 비슷하다. 붉은참반디 신엽(4.21)'20.4.21hyunsik.tistory.com 참반디 신엽(3.22)붉은참반디 신엽(4.23) '20.4.23 hyunsik.tistory.com '23.3.22hyunsik.tistory.comhyunsik.tistory.com 붉은참반디 신엽(4.23)회리바람꽃 영양엽(5.2)회리바람꽃 영양엽만 보게 되면 붉은참반디, 참반디 잎과 비슷하다. 붉은참반디 신엽(4.21)'20.4.21hyunsik.tistory.com 참반디 신엽(3.22)붉은참반디 신엽(4.23) '20.4.23 hyunsik.tistory.chyunsik.tistory.com 참반디 신엽(3.22)붉은참반디 신엽(4.. 2024. 12. 28.
왕도깨비바늘 신엽(7.17) 학명은 Bidens subalternans DC.왕도깨비바늘 : 잎은 1~2회 깊게 갈라지는 겹잎이고 소엽이 좁은 피침형이다.                         줄기에서 갈라지는 가지 기부에 자주색 반점이 흔히 있다.                         총포편은 선형~긴타원형. 도깨비바늘 : 잎은 2~3회 깃털모양으로 갈라지고 양면에 털이 있다.                     잎의 정단부 최종열편이 긴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적다.                     총포편은 종형.털도깨비바늘 : 잎은 1~2회 깃털모양으로 갈라지고 양면에 털이 있다.                        잎의 정단부 최종열편이 난상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많다.                  .. 2024. 12. 26.
솜쑥방망이(5.23) [비교] 물솜방망이, 솜쑥방망이구 분솜쑥방망이(T. pierotii) : FOC 자료물솜방망이(T. pseudosonchus) : 국생종서식지하천가나 저지대 습지한라산, 지리산 등 높은 산지 습지두상화서6~30개6~12개총포 너비물솜방망이에 비해 좁다솜쑥방망이에 비해 넓다총포편광피침형피침형설상화 소화수20~25개?(맞지않음)13~15개? (맞지않음)수과길이2.5~3mm? (맞지않음)2.0~2.5mm? (맞지않음)털무모무모관모길이7~9mm7~7.5mm  [비교] 물솜방망이, 솜쑥방망이 총포[비교] 물솜방망이, 솜쑥방망이구 분솜쑥방망이(T. pierotii) : FOC 자료물솜방망이(T. pseudosonchus) : 국생종서식지하천가나 저지대 습지한라산, 지리산 등 높은 산지 습지두상화서6~30개6~12개.. 2024. 12. 26.
쇠털이슬 신엽(5.20, 6.11) [털이슬속 비교]1. 꽃잎이 흰색, 꽃받침이 녹색 : 털이슬, 쇠털이슬 - 털이슬 : 잎저가 원형모양, 열매는 세로홈이 뚜렷하다. 줄기는 밑을 향한 부드러운 털이 있다. - 쇠털이슬 : 잎저가 심장모양, 열매는 세로홈이 뚜렷하지 않다. 줄기 전체에 긴 털과 짧은 샘털이 많이 난다.                      꽃줄기와 꽃자루에 짧은 샘털이 빽빽하게 난다.2. 꽃받침이 붉은색 : 말털이슬, 붉은털이슬, 개털이슬, 쥐털이슬 - 말털이슬 : 꽃잎은 흰색, 꽃자루와 꽃차례에 샘털이 많다. 열매는 세로홈이 있다. 줄기는 털이 없다. - 푸른말털이슬 : 줄기는 털이 없다. 꽃잎은 홍자색, 꽃받침색은 연하다. - 붉은털이슬 ; 꽃받침, 꽃자루 등에 털이 없다. 열매는 세로홈이 뚜렷하지 않다. - 개털이슬 :.. 2024. 12. 25.
가는장구채 신엽(5.10) [특징] 잎은 마주나고 엽병이 있으며 엽연에 잔털이 있다.  가는장구채 신엽(4.12)잎은 마주나고 엽병이 있으며 엽연에 잔털이 있다. 가는장구채 열매, 종자(8.7)'22.8.7hyunsik.tistory.com'24.4.12.hyunsik.tistory.com'24.5.10. 2024. 12. 23.
큰참나물 신엽(5.10) 큰참나물 신엽(4.20)'22.4.20hyunsik.tistory.com 큰참나물 꽃(9.23)큰참나물 신엽(4.20)'22.4.20hyunsik.tistory.com 큰참나물 열매, 종자(11.12)'21.11.12hyunsik.tistory.com    '17.9.23 / 대구큰참나물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804hyunsik.tistory.com 큰참나물 열매, 종자(11.12, 큰참나물속)큰참나물 종자(11.15)큰참나물 열매, 종자(11.12)'21.11.12hyunsik.tistory.com'24.11.15.hyunsik.tistory.com'21.11.12hyunsik.tistory.com 큰참나물 종자(11.15)큰참나물 열매, 종자(11.12.. 2024. 12. 23.
개싹눈바꽃(5.10, 투구꽃) [특징]줄기는 가늘고 길며 아래로 휘어지며 땅에 닿으면 뿌리를 내림========================================================================자료 출처 : 2024.10.30 네이처링 주관 투구꽃속 강의 자료(한길숲 연구소 이호영 박사)투구꽃속 특징은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 조각 5개는 떨어져 달리며, 암술과 수술도 떨어져 달린다.국명에 들어간 투구는 서양의 투구 모양을 차용한 것이며 그 이전에는 까마귀 머리를 닮았다 하여 '초오두'라 불렸는데 '두'가 탈락되고 '초오'가 되었다 한다.특산식물[투구꽃속 비교] (출처는 한길숲 연구소 이호영 박사의 강의 자료)1. 덩굴성 : 국내에는 놋젓가락나물만 분포한다.종 명놋젓가락나물(A. ciliare DC.)줄.. 2024. 12. 23.
회리바람꽃, 영양엽(4.23) 회리바람꽃 영양엽, 생식엽(5.2)회리바람꽃(4.21)[기재문]학명은 Anemone reflexa Steph. & Willd. 숲속 그늘진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근생엽은 없다. 영양엽과 생식엽이 있다. 총포조각은 3개로서 돌려나기하며 포는 3개로 완전히hyunsik.tistory.com 회리바람꽃 영양엽(5.2)회리바람꽃 영양엽만 보게 되면 붉은참반디, 참반디 잎과 비슷하다. 붉은참반디 신엽(4.21)'20.4.21hyunsik.tistory.com 참반디 신엽(3.22)붉은참반디 신엽(4.23) '20.4.23 hyunsik.tistory.com '23.3.22hyunsik.tistory.comhyunsik.tistory.com'24.5.2. 2024. 12. 21.
모시대 신엽(4.23) [비교] 금강초롱꽃속, 잔대속, 초롱꽃속1. 약은 서로 붙어 있다. ----- 금강초롱꽃속1. 약은 서로 떨어져 있다.    2. 화반이 뚜렷하다. ----- 잔대속    2. 화반이 뚜렷하지 않다. ----- 초롱꽃속[잔대속 검색표]1. 잎은 심장형. 엽병 길이는 2cm 이상    2. 꽃은 3.5~4cm. 화관의 길이가 폭과 같거나 짧다.  -----  도라지모시대    2. 꽃은 3.5cm 이하. 화관의 길이가 폭보다 길다.        3. 선체(밀반)는 원통형. 꽃은 엉성하게 달린다.            4. 악통에 털이 없다.  ----- 모시대            4. 악통에 털이 있다.  ----- 그늘모시대        3. 선체(밀반)는 원반형. 꽃은 조밀하게 달린다.  -----  선.. 2024. 12. 21.
꿩의다리 신엽(4.23, 5.9) [특징]소엽병에 탁엽이 있다.[기재문]학명은 Thalictrum aquilegiifolium L. var. sibiricum Regel & Tiling이며 종소명 aquilegiifolium은 정소엽 모양이독수리 발톱을 닮았다는 데서 유래.산지 숲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없고, 흰빛이 조금 돈다.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2m, 가지가 갈라지고, 지름 1cm쯤으로 굵다. 잎은 어긋나며, 줄기 밑부분의 것은잎자루가 길고 2~3회 깃 모양으로 갈라지는 겹잎이다.소엽은 난형, 길이 1.5~3.5cm, 폭 1~3cm, 끝이 뭉툭하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원추꽃차례에 많이 달리며, 흰색이다.꽃자루는 길이 4~17mm이다. 꽃받침은 4~5장, 타원형, 길이 3~4mm,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없다.. 2024. 12. 21.
고깔제비꽃 잎(11.12, 11.21) 고깔제비꽃 뿌리(4.12)근경이 굵으며 마디가 많다. 고깔제비꽃(4.2) '23.4.2 hyunsik.tistory.comhyunsik.tistory.com 고깔제비꽃(4.15)'22.4.15hyunsik.tistory.com'24.11.21 '24.11.12. 2024. 12. 20.
도깨비부채(7.3, 범의귀과) [기재문] 학명은 Rodgersia podophylla A.Gray. 희귀멸종위기식물 잎은 손모양겹잎이며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5소엽으로서 큰 것은 지름 50cm에 달하며 윗부분의 것은 1-4개의 소엽으로 된다. 소엽은 거꿀달걀모양이고 3-5개로 얕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길이 15-35cm, 폭 10-25cm로서 뒷면 맥위에 엽병의 윗부분과 더불어 털이 있다.  꽃은 6-7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취산형 원뿔모양꽃차례를 이루며, 꽃차례는 길이 20-40cm이고 젓꼭지모양의 털이 있으며 가지끝이 처음에는 말려 있다. 꽃받침조각은 4-8개이고 길이 2-4mm로서 수평으로 퍼지며 꽃잎은 없고 수술은 8-15개로서 꽃받침보다 다소 길며 암술대는 2개이다. 근경은 비대하고 옆으로 뻗는다.  도깨.. 2024. 11. 29.
각시두메부추 추정(7.3) 꽃대 단면 양쪽이 볼록하고 양끝에 좁은 날개가 있는 부추속은 아래와 같으며- 두메부추(Allium dumebuchum H.J.Choi) : 특산식물로 울릉도에 자생. 잎폭은 5-13mm- 참두메부추(Allium spirale Willd.) : 동해안에 자생. 잎폭은 4–10mm - 각시두메부추(Allium spurium G.Don) : 청량산에 자생. 잎폭은 1.5–4mm재배종으로는 푸른두메부추가 있다.[참두메부추 특징]동해안 바닷가 곰솔숲, 소나무숲의 모래땅에 사는 북방계 여러해살이 풀무성생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햇볕이 매우 강한 양지에는 자라지 않고 반그늘을 선호한다.잎은 길이 15~25cm, 폭은 4~10mm이며 약간 꼬인다.꽃줄기는 4~8mm이며 납작하고 양쪽 중앙에 넓은 세로 홈이 있다.유사종으.. 2024. 11. 29.
애기수영 신엽(11.21) '24.11.21. 2024. 11. 28.
큰절굿대 근생엽(11.17) [비교] 절굿대, 큰절굿대종 명절굿대큰절굿대줄 기  깊은 홈이 있다.  거의 홈이 없다.잎 몸  1회 새깃꼴로 깊게 갈리고,   가장자리의 가시 길이가 1cm 이내   1회 새깃꼴로 갈린 결각이 대개 다시 깊게 갈리며,   가시의 길이가 2~3cm이며 북부지방에 분포 '24.11.17 / 식재 2024. 11. 26.
고수 신엽(11.17) [기재문]학명은 Coriandrum sativum L.전국 각처, 특히 절 주변에 주로 식재.잎은 빈대 냄새가 나고 근생엽은 엽병이 길지만 위로 갈수록 짧아지며 밑부분이 모두 엽초로 된다.밑부분의 잎은 1~2회 우상복엽이지만 위로 가면서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이 좁아진다. 6-7월에 원줄기 끝과 가지끝에서 우산모양꽃차례가 발달하며 각 꽃차례는 3-6개의 소산경으로 갈라져서 10개 정도의백색꽃이 달린다. 꽃잎은 5개이고 가장자리의 꽃잎이 특히 크며 수술은 5개이고 씨방은 하위로서 1개이다.열매는 분과로 둥글며 10여개의 능선이 있고 향기가 있다.높이 30-60cm이고 원줄기는 곧게 서며 속이 비어 있고 가지가 약간 갈라지며 털이 없다. 고수(9.12 / 고수속)'18.9.12hyunsik.tist.. 2024. 11. 22.
투구꽃속 sp. 열매, 종자(11.12) 투구꽃? 지리바꽃? 참줄바꽃?? hyunsik.tistory.com  한라돌쩌귀와 투구꽃" data-og-host="hyunsik.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hyunsik.tistory.com/entry/%ED%88%AC%EA%B5%AC%EA%BD%83-sp107-%ED%95%9C%EB%9D%BC%EB%8F%8C%EC%A9%8C%EA%B7%80-%ED%9D%91%EC%9E%90%EC%83%89-%EC%B6%94%EC%A0%95" data-og-url="https://hyunsik.tistory.com/entry/%ED%88%AC%EA%B5%AC%EA%BD%83-sp107-%ED%95%9C%EB%9D%BC%EB%8F%8C%EC%A9%8C%EA%B7%80-%ED.. 2024. 11. 20.
투구꽃속 sp(10.7, 한라돌쩌귀 + 투구꽃 추정) 투구꽃속 특징은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 조각 5개는 떨어져 달리며, 암술과 수술도 떨어져 달린다.[비교] 투구꽃, 한라돌쩌귀, 참줄바꽃, 한라투구꽃, 지리바꽃, 투구꽃sp=> 한라돌쩌귀와 투구꽃 교잡종으로 추정하나 추가 비교(꽃, 골돌 길이 및 종자 크기 등) 검토가 필요하다. 종 명 투구꽃(A. jaluense Kom.) 한라돌쩌귀(A. japonicum subsp. napiforme) 참줄바꽃(A. neotortuosum Nakai) 줄기 유형곧음곧음덩굴꽃받침 색자주색자주색청자색골돌털이 있음털이 있음5개. 털이 없음소화경개출모굽은 털퍼진 털종 명한라투구꽃(A. quelpaertense) 지리바꽃(A. chiisanense Nakai) 투구꽃 sp.줄기 유형곧음곧음곧음꽃받침 색연한 자주색연한 자주색흑자.. 2024. 11. 20.
강계물통이, 제주큰물통이, 고깔물통이???(7.3, 7.30, 8.14, 10.24) [결론] 국내에 자생하는 물통이속 중 강계물통이 또는 제주큰물통이와 근접하지만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미기록종 가능성도 있다. 화피편 길이가 거의 같아 고깔물통이도 아닌 듯 하다. 고깔물통이(Pilea pauciflora C.J.Chen)가 제 56회 한국식물분류학회에서 발표(2025년 2월)되었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태백시에서 발견되었다. 기존에는 중국 간쑤성과 스촨성의 습한 산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근연종인 강계큰물통이, 큰물통이, 모시물통이와 달리, 줄기는 눕거나 비스듬히 위를 향하며 연한 녹색을 띈다. 또한 잎은 광난형으로, 엽두는 둔두 또는 원두이다. 결실기 암꽃의 배축 화피편은 고깔형이고, 측화피편 1쌍은 삼각상인 점으로 구분된다.특징으로는 화피편 1장이 크게 자라고 나머지는 .. 2024. 10. 29.
포천구절초 신엽(9.29) [구절초속 비교]* 공통 : 땅속 줄기가 있다.* 가는잎구절초 : 산구절초로 통합* 바위구절초 : 북부지방의 높은 산에 자생하며 전체에 회색 털이 있다.* 포천구절초(산구절초의 변종) : 주로 강변에서 자라며 산구절초에 비해 잎이 보다 잘게 갈라지며 줄기에 털이 없다.* 산구절초 : 산에 자라며 줄기에 누운 털이 있다.* 한라구절초 : 한라산에 자라며 잎에 광택이 있다.* 남구절초(산구절초의 변종) : 남쪽 섬에 자라며 잎이 두껍고 넓은 난형이며 표면에 윤택이 있고 잎끝 부분은                                                 얕게 갈라진다.* 울릉국화 : 울릉도 해안가 주변에서 자라며 잎은 깊게 비교적 가늘게 갈라지고 두꺼우며 광채가 난다.[구절초속의 종 검색표] (.. 2024. 10. 21.
포천구절초 꽃(9.29) [구절초속 비교]* 공통 : 땅속 줄기가 있다.* 가는잎구절초 : 산구절초로 통합* 바위구절초 : 북부지방의 높은 산에 자생하며 전체에 회색 털이 있다.* 포천구절초(산구절초의 변종) : 주로 강변에서 자라며 산구절초에 비해 잎이 보다 잘게 갈라지며 줄기에 털이 없다.* 산구절초 : 산에 자라며 줄기에 누운 털이 있다.* 한라구절초 : 한라산에 자라며 잎에 광택이 있다.* 남구절초(산구절초의 변종) : 남쪽 섬에 자라며 잎이 두껍고 넓은 난형이며 표면에 윤택이 있고 잎끝 부분은                                                 얕게 갈라진다.* 울릉국화 : 울릉도 해안가 주변에서 자라며 잎은 깊게 비교적 가늘게 갈라지고 두꺼우며 광채가 난다.[구절초속의 종 검색표] (.. 2024. 10. 21.
동강고랭이 신엽(11.15) [비교] 애기황새풀속, 황새풀속속  명애기황새풀속(2종)황새풀속(7종)특  징줄기 끝에 한 개의소수가 달린다.소수는 소화를 싼 다수의 인편이 나선상으로 배열됨.화피편은 실모양이며 결실기에는 길게 자라 면모처럼 보인다.해당 종남한 분포동강고랭이작은황새풀(용늪, 심적습지)북부지방, 중국,러시아 분포애기황새풀(백두산 선봉령)눈썹황새풀, 두메황새풀, 설령황새풀, 참황새풀,큰황새풀(백두산 선봉령), 황새풀(백두산 선봉령)공  통 줄기는 총생하고 기부의 잎은 엽초만으로 된 잎이 있다.과낭이 없다. 화피편이 많고 매우 길다. 암술머리는 3갈래이다.[사초과 식물의 속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41. 화서는 모든 꽃이 단성화이다. ----- 사초속(Carex) 등1. 화서는 모두 양성화이거나 적어도 몇 개의 .. 2024. 10. 20.
긴오이풀(9.28) [비교] 긴오이풀, 가는오이풀, 자주가는오이풀종명긴오이풀가는오이풀분포속리산 이북 산지전국의 산지습지, 하천가 등수술대수술대는 꽃받침잎 길이와 비슷하다.꽃밥 크기는 수술대보다 크다.수술대는 꽃받침잎보다 1~2배 정도 길다.꽃밥 크기는 수술대보다 작다.꽃색적색백색소엽평저 또는 설저심장저* 자주가는오이풀은 가는오이풀 꽃이 짙은 적색인 것으로 구별했지만 가는오이풀로 통합됨.[기재문]학명은 Sanguisorba longifolia Bertol. 습기가 많은 산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높이 80~100cm이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잎 5~9장으로 된 깃꼴겹잎, 잎자루가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작은잎은 선상 긴 타원형,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길이 8~10cm, .. 2024. 10. 20.
좀모기방동사니(10.6) [비교] 우산방동사니, 모기방동사니, 좀모기방동사니종명좀모기방동사니우산방동사니모기방동사니생태1년초, 다년초1년초다년초이며 지하경이 있다암술머리 2개로 갈라진다2개로 갈라진다3개로 갈라진다화수 및 화수당 소수갯수- 4~10개, 3~12개10~20개, 3~8개인편- 0.8~1mm약 1.5mm수과약 0.3mm, 삼릉형/도란형반투명, 돌기가 없다.약 0.3mm, 구형돌기가 있다.0.6~0.8mm삼릉형/도란형* 좀모기방동사니는 모기방동사니에 비해 1년초이며 소수에 소화가 성글게 달려 중륵이 드러나 보인다.----------------------------------------------------------------------------------------------------------------------.. 2024. 10. 15.
쇠하늘지기 소수(9.25) [국생종 기재문]학명은 Fimbristylis ovata (Burm.f.) J.Kern한해살이풀이며 북쪽 해안과 동쪽 해안에 분포(제주도 마라도에 많이 자생함)잎은 화경보다 짧으며 길이 7-20㎝, 폭 2/3-1mm로서 밑부분에 달리고 엽초는 길이 1-3㎝로서 털이 없으며 앞쪽은 백색 막질이고 잘 갈라진다.화경끝에 1-2개의 소수가 달린다. 소수는 달걀모양이며 검은 황록색이고 길이 8-15mm, 폭 4-6mm로서 약간 편평하며 꽃이 다소 불규칙하게 2줄로 달린다.비늘조각은 넓은 달걀모양이고 길이 4-6mm로서 뚜렷하지 않은 3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2줄 또는 일부가 다소 3-4줄로 된다. 암술머리는 3개이다.수과는 길이 2.5-3mm로서 거꿀달걀모양이며 백색이다.짧은 근경끝에서 모여나기하고 높이가 1.. 2024.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