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미기록종

강계물통이, 제주큰물통이, 고깔물통이???(7.3, 7.30, 8.14, 10.24)

by 곰보배추 2024. 10. 29.

[결론]

국내에 자생하는 물통이속 중 강계물통이 또는 제주큰물통이와 근접하지만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미기록종

가능성도 있다. 화피편 길이가 거의 같아 고깔물통이도 아닌 듯 하다.

 

고깔물통이(Pilea pauciflora C.J.Chen)가 제 56회 한국식물분류학회에서 발표(2025년 2월)되었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태백시에서 발견되었다. 기존에는 중국 간쑤성과 스촨성의 습한 산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근연종인 강계큰물통이, 큰물통이, 모시물통이와 달리, 줄기는 눕거나 비스듬히 위를 향하며 연한 녹색을 띈다. 또한 잎은 광난형으로, 엽두는 둔두 또는 원두이다. 결실기 암꽃의 배축 화피편은 고깔형이고, 측화피편 1쌍은 삼각상인 점으로 구분된다.
특징으로는 화피편 1장이 크게 자라고 나머지는 보이지 않는다.
 

[4회 관찰 내용] 

1. 종자 테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2. 두상꽃차례와 밀산꽃차례가 병존한다(강계와 제주큰물통이는 두상꽃차례).

3. 신엽은 거치가 없으나 성장하면서 거치는 6개까지 갈라진다(강계와 제주큰물통이는 5개까지 갈라짐).

4. 잎 앞면, 뒷면(맥) 및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5. 꽃받침 열편은 3개가 있으며 모양은 난형이고 길이는 같다.

6. 꽃받침 열편은 길이는 수과와 비슷하다.

    (사진상에는 꽃받침 열편이 더 길게 보이나 종자가 눕혀 있어서 그렇게 보이나 싶다.)

7. 줄기는 30cm정도(강계물통이와 제주큰물통는 10cm 미만).

[물통이속 꽃의 특징]

1. 꽃은 잡성화다(암꽃, 수꽃, 양성화).

2. 암꽃에는 헛수술이 있다.

3. 포는 원기둥 모양이다.

[물통이속의 종 검색표1] (출처 : 미기록 식물 작은잎물통이, 남방향유 논문)

1. 암꽃의 화피편은 5개로 갈라진다. ----- 산물통이

1. 암꽃의 화피편은 2 또는 3개로 갈라진다. 

    2. 암꽃의 화피편은 2개로 갈라지며, 잎은 난상 원형이다. ------ 물통이

    2. 암꽃의 화피편은 3개로 갈라지며, 잎은 주걱형 또는 난형이다.

        3. 잎은 주걱형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길이는 7 ㎜이하이다. ----- 작은잎물통이(서울 및 제주의 보도블록) 

        3. 잎은 난형으로 가장자리는 톱니가 있고, 길이는 7 ㎜이상이다.

            4. 잎 가장자리의 톱니는 5개 이하이며, 화서는 거의 두상으로 짧다. ----- 제주큰물통이(두상꽃차례)

            4. 잎 가장자리의 톱니는 5개 이상이며, 화서는 길게 늘어진다.

                5. 암꽃의 화피편은 선형이며, 수과보다 짧거나 거의 같다. ----- 모시물통이(밀산꽃차례)

                5. 암꽃의 화피편은 난형 또는 장타원상 난형이며, 수과보다 길다. ----- 큰물통이(밀산꽃차례)

* 본 속의 식물을 구분하는 주요 검색 형질은 화서, 암꽃 화피편의 수, 열매의 반점, 잎의 가장자리 및 엽병의 길이 등이

  알려져 있으나, 잎의 형태는 생육환경에 따라 변이가 심한 것으로 알려져 동정에 어려움이 많은 분류군이다.

* 결실기에 강계큰물통이는 화피조각(꽃받침조각) 길이가 종자와 비슷하고, 제주큰물통이는 종자보다 길다. 

* 개물통이는 개물통이속에 속한다.

[물통이속의 종 검색표2]

1. 잎은 광난형 ~ 원형, 엽맥이 3개뿐이고, 거치가 거의 없다. ------ 물통이

1. 잎은 (광)난형, 엽맥이 기부 3출맥과 주맥에 측맥이 뚜렷하고, 거치가 있다

    2. 거치는 다수이고 예두 ~ 둔두

         3. 화서는 꼬리 모양으로 자루가 있다. 잎은 길이 1.5 ~ 10cm -----  모시물통이 

         3. 화서는 원반상으로 자루가 없다. 잎은 길이 1.5 ~  5cm ------ 큰물통이

    2. 거치는 소수이고 원두

        4. 잎은 양면에 무모 ------ 제주큰물통이(화피조각이 종자보다 길다) 

        4. 잎은 양면에 유모 ------ 강계큰물통이(화피조각이 종자와 비슷하다)

'24.7.3

------------------------------------------------------------------------------------------------------------------------------------

'24.7.30

------------------------------------------------------------------------------------------------------------------------------------------

'24.8.14

---------------------------------------------------------------------------------------------------------------------------------------

'24.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