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추리속은 10종이 있고 재배은 2종, 자생은 8종이다. 이 중 남한에서는 5종이 자생하는데
특정지역에서 자생하는 것을 제외하면 주변에서는 흔히 백운산원추리만 볼 수 있다.
* 자생종(8종)
- 애기원추리 : 북부, 두만강 주변 만주
- 골잎원추리 : 두만강과 만주지방 저지대 숲 가장자리나 초지
- 각시원추리 : 북부 고산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
=========================================
- 큰원추리 : 중북부의 고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개화시기가 빠르다)
- 노랑원추리 : 서남 해안가 저지대
- 태안원추리 : 안면도 해안 주변의 저지대, 숲 가장자리나 초지
- 홍도원추리(한국특산) : 홍도, 가거도, 흑산도
- 백운산원추리(한국특산) : 중남부 저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
* 재배종(2종)
- 원추리 : 중국원산 재배종
- 왕원추리 : 중국원산 재배종(원추리의 변종. 겹꽃)
[비교] 노랑원추리, 태안원추리, 홍도원추리, 백운산원추리
- 노랑원추리 : 화경은 5cm 이상 분지, 화피통부의 길이는 3~5cm, 화피열편은 도난형
- 백운산원추리 : 화경은 5cm 이상 분지, 잎 폭이 1.8~2.0cm,
외화피/내화피 길이 7.2~9.5/7.0~9.5cm
- 태안원추리 : 화경은 2~4cm 분지, 잎의 길이는 32~46cm, 화경 직경 2~3mm,
외화피/내화피 길이 4.8~7.1/5.4~6.8cm
- 홍도원추리 : 화경은 2~4cm 분지, 잎의 길이는 55~93cm, 화경 직경 약 5mm 정도
[원추리속 검색표] 출처 : 한국산 원추리속 분류학적 연구(2012년)
백운산원추리
원추리속은 10종이 있고 재배은 2종, 자생은 8종이다. 이 중 남한에서는 5종이 자생하므로 특정지역을 제외하면 주변에서는 백운산원추리만 볼 수 있다. * 자생종(8종) - 애기원추리 : 북부, 두만강
hyunsik.tistory.com
노랑원추리
원추리속은 10종이 있고 재배은 2종, 자생은 8종이다. 이 중 남한에서는 5종이 자생하므로 특정지역을 제외하면 주변에서는 백운산원추리만 볼 수 있다. * 자생종(8종) - 애기원추리 : 북부, 두만강
hyunsik.tistory.com
노랑원추리
'20.8.2
hyunsik.tistory.com
노랑원추리 (Hemerocallis thunbergii Baker)
'17.8.1 / 진도 잎은 2줄로 돋고 부채처럼 퍼지지만 거의 곧추서며 윗부분만이 뒤로 처지고 길이 60-90cm, 폭 20-40mm로서 선형이며, 휘어져 밑으로 드리운다. 6-7월에 잎 중앙에서 화경(花梗)이 나와 1m
hyunsik.tistory.com
큰원추리 열매, 종자(8.14)
열매 길이는 2.2cm 정도이며 종자는 흑색, 도란형 구체이고 길이는 6mm 전후 노랑원추리 열매, 종자(9.23)노랑원추리(8.19)원추리속은 10종이 있고 재배은 2종, 자생은 8종이다. 이 중 남한에서는 5종
hyunsik.tistory.com
'15.6.28
'초본식물 > 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하늘지기(9.17) (0) | 2024.02.19 |
---|---|
큰뚝새풀 (6.14, 뚝새풀속) (0) | 2024.02.19 |
큰겨이삭 (6.25) (0) | 2023.06.25 |
큰참새귀리(6.19) (0) | 2022.09.25 |
큰꽃잎차풀(차풀속, 9.1) (0) | 2022.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