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카

큰참새귀리(6.19)

by 곰보배추 2022. 9. 25.

참새귀리는 엽초에 털이 있으나 큰참새귀리는 털이 없다.

또한 소화경이 큰참새귀리에 비해 짧다.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4. 제1, 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5.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5.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없다.  

                    6.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가 1개 있다.

                    6.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는 2개 이상이다.

                        7. 호영에 까락이 발달한다.

                            8. 호영의 등 쪽 중앙부근에서 까락이 생긴다. 

                            8. 호영의 끝 쪽에서 까락이 생긴다.

                                9. 호영의 끝 쪽에서 까락이 생긴다.  

                                9. 호영의 끝이 V자로 갈라지며 갈라진 사이에서 까락이 생긴다

                                    -----  대새풀속, 잠자리피속, 참새귀리속  

                                9. 호영에 까락이 없다.  

[참새귀리속 검색표]

1. 다년생이다.

    2. 길게 뻗는 근경이 있다. 호영은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9~12mm, 까락은 길이 1~2mm. ----- 좀참새귀리

    2. 근경은 짧다. 호영은 피침형이며 길이 10~13mm, 까락은 길이 10~13mm. ----- 꼬리새

1. 1~2년생이다.

    3. 제1포영은 1맥, 제2포영은 3맥이며 호영은 선상피침형이다.

        4. 호영은 길이 9~12mm, 까락은 길이 10~15mm이다. 

            5. 소수에 개출모가 있다. ----- 털빕새귀리

            5. 소수에 개출모가 없다. ----- 민둥빕새귀리

        4. 호영은 길이 8mm이상, 까락은 길이 15mm이상이다. 

            6. 까락은 길이 15~40mm이다. 제1포영은 길이 5~15mm, 호영은 길이 8~25mm이다. ----- 까락빕새귀리

            6. 까락은 길이 25~40mm이다. 제1포영은 길이 15~18mm, 호영은 길이 20~25mm이다. ----- 긴까락빕새귀리

    3. 제1포영은 3~5맥, 제2포영은 5~7맥이며 호영은 타원형이다.

        7. 소화경은 1.0~1.5cm으로 직립한다. 원추화서는 피침형으로 응축된다.

            8. 호영 및 포영에 털이 산생한다. ----- 털참새귀리

            8. 호영 및 포영에 털이 없다. ----- 민둥참새귀리

        7. 소화경은 2cm 이상이다. 원추화서는 넓게 퍼진다.

            9. 소화경은 뻣뻣하며 직립하고 퍼지지만 아래로 굽지 않는다. ----- 큰참새귀리

            9. 소화경은 아래로 굽는다. ----- 참새귀리

[참새귀리속 검색표]

1. 소수가 선상피침형(빕새귀리류) : 화서가 많이 처진다.

    2. 소수에 털이 있다 : 털빕새귀리, 

    2. 소수에 털이 없다 : 민둥빕새귀리, 까락빕새귀리, 긴까락빕새귀리

        3. 화서가지는 짧다 : 긴까락빕새귀리

        3. 화서가지는 길다 : 민둥빕새귀리, 까락빕새귀리

1. 소수가 타원형(참새귀리류) : 주로 화서가 처지지 않는다. 

    2. 까락이 매우 짧다 : 좀참새귀리

    2. 까락이 길다 : 털큰참새귀리, 큰참새귀리, 참새귀리, 털참새귀리, 민둥참새귀리, 긴털참새귀리

        3. 화서가 응축형 : 털참새귀리, 민둥참새귀리, 긴털참새귀리

            4. 엽초에 털이 많다 : 털참새귀리, 긴털참새귀리

            4. 엽초에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다 : 민둥참새귀리

        3. 화서가 개방형 : 털큰참새귀리, 큰참새귀리, 참새귀리

            4. 엽초에 털이 있다 : 털큰참새귀리, 참새귀리

                 5. 성숙하면 까락이 꺾인다 : 참새귀리

                 5. 성숙해도 까락이 꺾이지 않는다 : 털큰참새귀리

            4. 엽초에 털이 없다 : 큰참새귀리

 

털큰참새귀리 (참새귀리속)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

hyunsik.tistory.com

 

큰참새귀리 열매

'22.6.19 큰참새귀리 (Bromus secalinus L. 참새귀리속) 참새귀리는 엽초에 털이 있으나 큰참새귀리는 털이 없다. 또한 소화경이 큰참새귀리에 비해 짧다. '22.6.19 hyunsik.tistory.com

hyunsik.tistory.com

'22.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