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3. 소수의 기부에 백색 긴 털이나 자모가 발달한다. ----- 띠속, 강아지풀속
3. 소수의 기부에 털이 없다.
4. 포영은 소화보다 적다. ----- 보리속, 나도잔디속, 갯율무속, 좀물뚝새속, 도랭이피속
4. 포영은 소화보다 크며 소화를 둘러 싼다. ----- 산조아재비속, 쇠돌피속, 뚝새풀속, 향기풀속
산조아재비속 : 소수는 1개의 소화가 있다. 포영은 기부가 붙지 않으며 중앙맥 부위가 용골을 만들고 끝은 단단한 까락이 된다. 쇠돌피속 : 소수는 작으며 포영은 같은 모양 같은 크기로 길고 곧은 까락이 있다. 논이나 하천변 습지에 자란다. 뚝새풀속 : 소수는 납작하고 포영은 같은 모양 같은 크기이며 기부가 붙거나 떨어져 있다. 소화는 1개이며 까락이 있다. 향기풀속 : 소수는 피침형으로 제1포영은 길이가 소수의 1/2이나 제2포영이 소화를 둘러싼다. 3소화나 중앙의 소화가 양성이며 양옆의 소화는 무성이다. |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뚝새풀속 비교]
종 명 | 포영(소수 길이) | 호영 |
뚝새풀 | 막질. 용골에 가는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합생.(3~4mm) |
포영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더 길고, 가장자리가 하부에서 양쪽이 합생하며, 까락은 아랫쪽 1/4~1/3에서 나오는데 소수안에 숨어 있거나 밖으로 1.2mm이하로 나온다. |
털뚝새풀 | 초질. 용골에 궅은 털이 있고, 측맥에는 기부 쪽으로 잔털이 있거나 매끈하며, 가장자리는 맨 아래에서 합생.(5~6mm) |
포영보다 약간 길고, 아래쪽 2/5 이하로 합생하여, 까락이 거의 기부에서 나온다. 까락은 소수에서 5~8mm 돌출하고 약간 구부러지나 꼬이지는 않는다. |
큰뚝새풀 |
초질. 매끈하나 용골에 굳은 털이 있고, 측맥에 잔털이 있으며, 아래쪽 1/3이하에서 합생.(4.5~7mm) |
포영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짧고, 가장자리는 절반 이하 부분이 합생하고, 까락은 아래쪽 1/4 정도에서 나오며 끝부분에 잔털이 있다. 까락은 소수 밖으로 4~6mm 삐져나오고 약간 구부러지나 아랫부분이 꼬이지는 않는다. |
유럽뚝새풀 | 막질. 두개가 서로 비슷하고 아래쪽이 서로 붙어있고 3맥에 잔털이 있고 소화 전체를 덮는다.(2.5~3.5mm) |
막질. 용골모양으로 4맥이 있고, 아래쪽 1/2이 압착하며, 매끈하거나 끝부분에 몇 개의 털이 있고, 끝은 자른 모양 혹은 둔한 모양이고, 까락은 3.5~6mm이고 꺾인다. |
사료용으로 도입하여 재배하던 것이 야생화하여 산지, 길가, 경작지 주변 등에 귀화하여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성글게 모여나고, 높이 30~120cm이며, 마디는 3~5개 있고, 잎집 밖으로 나온다. 잎집은 헐겁고 담녹색이다.
잎몸은 길이 3~16cm이고, 너비 2~8mm이다. 잎혀는 길이 2~5mm이고, 막질이며 끝이 편평하다. 꽃은 5월에 핀다.
전체 꽃차례는 원기둥 모양으로 줄기 끝에 작은이삭이 빽빽하게 달리며, 길이 3~8cm이다.
작은이삭은 타원형으로 납작하고, 4~6mm이며, 하나의 꽃이 들어 있다. 두 개의 포영은 중간까지 합쳐지고,
가운데 맥에는 긴 털이 난다. 호영은 길이 4.5~7.0mm이고, 네 개의 맥이 있으며, 8~14mm의 까락이 중간 아래에 달려
작은이삭 밖으로 나온다. 내영은 없다.
쥐꼬리뚝새풀(A. myosuroides)에 비해 다년생식물이며, 포영의 용골부에 긴 털이 있다.
큰조아재비 (6.10, 산조아재비속)
동속에는 외래식물인 작은조아재비와 북방계 식물인 산조아재비가 있다.(조아재비는 강아지풀속임)멀리서 보면 큰뚝새풀과 유사하다. 유럽에서 목초용으로 도입되었으나 야화하여 귀화식물
hyunsik.tistory.com
털뚝새풀 뚝새풀 비교
좌 : 털뚝새풀 / 우 : 뚝새풀 '23.5.24
hyunsik.tistory.com
털뚝새풀
'22.4.22
hyunsik.tistory.com
털뚝새풀
'15.5.5 / 군산 털뚝새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892 http://blog.daum.net/watcher/8767671
hyunsik.tistory.com
유럽뚝새풀 (Alopecurus geniculatus L.)
'19.6.30 / 경남 유럽뚝새풀 영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329 뚝새풀 보기 : 털뚝새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892 큰뚝새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147 쥐꼬리뚝새풀 보기 :
hyunsik.tistory.com
큰뚝새풀 표본
'12.6.24
hyunsik.tistory.com
큰뚝새풀 (Alopecurus pratensis L.)
'12.5.26일 / 단양 큰조아재비와 혼생 큰조아재비와 혼생 '12.6.20일 / 단양 큰뚝새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779 큰조아재비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343 털뚝새풀 보기 : http://blog.daum
hyunsik.tistory.com
큰뚝새풀 영과
'19.6.14 / 경남 유럽뚝새풀 영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329
hyunsik.tistory.com
'19.6.14
'초본식물 > 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개구리발톱(미나리아재비과, 개구리발톱속/3.13) (0) | 2024.03.21 |
---|---|
큰하늘지기(9.17) (0) | 2024.02.19 |
큰원추리 (6.28, 백합과, 원추리속) (0) | 2024.02.14 |
큰겨이삭 (6.25) (0) | 2023.06.25 |
큰참새귀리(6.19) (0) | 2022.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