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애기황새풀속, 황새풀속
속 명 | 애기황새풀속(2종) | 황새풀속(7종) | |
특 징 | 줄기 끝에 한 개의 소수가 달린다. |
소수는 소화를 싼 다수의 인편이 나선상으로 배열됨. 화피편은 실모양이며 결실기에는 길게 자라 면모처럼 보인다. |
|
해당 종 | 남한 분포 | 동강고랭이 | 작은황새풀(용늪, 심적습지) |
북부지방, 중국, 러시아 분포 |
애기황새풀 (백두산 선봉령) |
눈썹황새풀, 두메황새풀, 설령황새풀, 참황새풀, 큰황새풀(백두산 선봉령), 황새풀(백두산 선봉령) |
|
공 통 | 줄기는 총생하고 기부의 잎은 엽초만으로 된 잎이 있다. 과낭이 없다. 화피편이 많고 매우 길다. 암술머리는 3갈래이다. |
[사초과 식물의 속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4
1. 화서는 모든 꽃이 단성화이다. ----- 사초속(Carex) 등
1. 화서는 모두 양성화이거나 적어도 몇 개의 꽃은 양성화이다.
2. 소수의 소화는 성기게 달리며, 거의 양성화이다. ----- 골풀아재비속(Rhynchospora) 등
2. 소수는 많은 꽃이 조밀하게 달리며(단, 세대가리, 파대가리속은 1~2개의 소화로 구성),
모두 양성화이다.
3. 소수는 소화가 나선상으로 붙는다.
4. 화피편이 없다. ----- 하늘지기속(Fimbristylis), 모기골속(Bulbostylis)
4. 화피편이 있다.
5. 화피편은 인편모양이다. ----- 검정방동사니속(Fuirena)
5. 화피편은 아래로 향하는 가시가 있는 침상이거나 실모양이다.
6. 소수는 1개이며, 정생한다.
7. 암술대 기부는 비후된다. ----- 바늘골속(Eleocharis)
7. 암술대 기부는 간혹 비후되나 불분명하다. ----- 애기황새풀속(Trichophorum)
6. 소수는 1개 또는 다수이며, 정생 또는 가측생한다.
8. 화피편은 10개 이상으로 실모양이며, 평활하다. ----- 황새풀속(Eriophorum)
8. 화피편은 4~6개 이하로 침상이며, 아래로 향하는 가시가 있다 --- 매자기속(Bolboschoenus) 등
3. 소수는 소화가 2열로 붙는다. ----- 방동사니속(Cyperus) 등
[기재문]
다년초. 근생엽은 때로 화경보다 길고 편평한 삼릉형이며 급한 둔두이지만 화경에 달린 잎은 1-2개로서 짧고 침형이며
밑부분이 엽초로 된다.
화서는 단순하고 첫째포는 길이 1-2㎝로서 곧추서며 소수는 2-5개로 개화시 길이 10mm정도이고 긴 타원형이며
소수경에 돌기같은 짧은 털이 있다. 인편은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둔두로서 연한 회흑색이며 잔맥이 있다.
암술대는 길이 5-6mm로서 중앙 이하에 유두상의 돌기가 있고 끝이 3개로 갈라진다.
화피열편은 길이가 2㎝에 달하며 많고 꽃이 필 때의 수술은 길이 2-3mm이다.
수과는 긴 타원상 원주형이며 길이 3-3.5mm로서 편평한 삼릉형이고 회갈색이며 때로는 끝이 뾰족해진다.
높이 20-50cm이다.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며 밑부분에 잎이 약간 달린다.
'22.6.16
'초본식물 > 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리터리풀(6.14 / 장미과, 터리풀속) (0) | 2024.01.30 |
---|---|
지리고들빼기 꽃(11.3) (0) | 2022.12.15 |
제주싸리냉이 (4.21 / 배추과, 황새냉이속) (0) | 2022.08.28 |
좀들묵새 (Vulpia octoflora (Walter) Rydb., 들묵새속) (0) | 2022.04.26 |
줄현호색 꽃, 열매(4.10) (0) | 2022.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