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자

제주싸리냉이 (4.21 / 배추과, 황새냉이속)

by 곰보배추 2022. 8. 28.

학명은 Cardamine nakaiana H.Lév.

[특징] 대개 꽃잎이 퇴화되어 없으며, 싸리냉이에 비해 꽃자루/열매자루가 짧다. 

[비교] 싸리냉이, 제주싸리냉이

싸리냉이 제주싸리냉이
기부 정소엽은 심열하고
화경은 무모이며 소돌기가 없다.
기부 정소엽은 심열하지 않고
화경은 유모이며 소돌기가 있다.
드물게 자방에 성긴 연모가 있으나 자라면서 떨어진다.   자방과 과피에는 항상 모용이 있다.
과경의 편향이 뚜렷하다. 과경의 편향이 뚜렷하지 않다.

[황새냉이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산 황새냉이속(배추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2015년)

1. 다년초이며, 줄기의 기부가 특수화된 지하경, 포복경, 괴경 등이 있다. 과피는 코일처럼 말리지 않는다. 

    2. 종자산포 이후 모본의 주근이 썩지 않는다. 경생엽은 없거나 드물게 한장이며, 경생엽의 엽신 길이는 화판의

        길이와 거의 같다. 과경과 열매는 화축과 붙는다. ----- 두메냉이

    2. 종자산포 이후 모본의 주근이 썩는다. 경생엽은 여러 장이며, 경생엽의 엽신 길이는 화판보다 길다.

        과경과 열매는 화축과 떨어져 있다.

        3. 경생엽은 유병이다. 자방의 능선은 밋밋하며, 종자에는 날개가 없다.

             4. 화주가 길고 열매부리가 길다.

                 5. 지하경 또는 포복경이 길게 발달하고 지하경엽 또는 포복경엽이 있다. 뚜렷한 기부엽이 없어서

                     로제트형으로 배열하지 않는다. 경생엽의 엽병 기부는 이저가 아니며, 엽병에 날개가 없다.

                     6. 지하경이 길게 발달하고, 소엽은 피침상 난형이며, 예두 또는 첨두이다.

                         7. 주근이 없고 지하경에만 가는 뿌리가 있으며, 지하경은 짧은 마디로 연결되어 있다.

                             정소엽은 일반적으로 무병이며, 화판은 자색 계열이다. ----- 큰미나리냉이

                         7. 주근이 비후되어 있으며,지하경이 줄기 기부의 엽액에서 여러 개가 발생하여 땅속으로 자란다.

                             정소엽은 엽병이 뚜렷하며 화 판은 항상백색이다. ----- 미나리냉이

                     6. 포복경이 길게 발달하고, 소엽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원 두이다.

                         8. 측소엽은 3-5쌍이다. ----- 산냉이

                         8. 측소엽은 1-2쌍이며 드물게 3쌍이다. ----- 꽃황새냉이

                5. 근경은 짧고 지하경엽 또는 포복경엽이 없다. 기부엽은 로제트형 이며, 단엽 또는 드물게 복엽이다.

                    경생엽의 엽병 기부는 이저로서 귓불처럼 넓어지며, 엽병에 날개가 있다. ----- 는쟁이냉이

            4. 화주가 짧고 열매부리가 짧다.

                9. 길이가 다른 소수의 기부엽이 불규칙하게 배열하고, 줄기와 잎에 모용이 뚜렷하며, 화판은 항상 백색이다.

                    10. 괴경이 없고, 잎의 양면과 더불어 화경, 꽃받침, 자방, 과피에 긴 연모가 밀생한다. --- 꼬마냉이

                    10. 괴경이 있고, 잎의 표면에만 강모가 있으며 이면은 무모이다.

                         화경, 꽃받침, 자방, 과피는 무모이다. --- 벌깨냉이

                9. 길이가 일정한 다수의 기부엽이 로제트상으로 배열하고 전초 거의 무모이며

                    화판은 자색 계열이다. ----- 꽃냉이

        3. 경생엽은 무병이다. 자방의 능선부는 파상굴곡이 있으며, 종자에는 날개가 있다. --- 논냉이

1. 일년생 또는 이년생이며, 줄기의 기부가 특수화된 지하경, 포복경, 괴경 등 이 없다. 과피는 코일처럼 말린다

    11. 이년생으로 연중 1회 개화한다. 엽병의 기부는 선상 또는 피침상 이저이며, 능선은 줄기까지 흘러 날개처럼 된다.

          수술은 6개의 길이가 거의 유사하며, 측화사는 직선상으로 곧다.

          12. 기부 정소엽은 심열하고 화경은 무모이며 소돌기가 없다.

                드물게 자방에 성긴 연모가 있으나 자라면서 떨어진다. 과경의 편향이 뚜렷하다. ----- 싸리냉이

           12. 기부 정소엽은 심열하지 않고 화경은 유모이며 소돌기가 있다. 자방과 과피에는 항상 모용이 있다.

                 과경의 편향이 뚜렷하지 않다. ----- 제주싸리냉이

     11. 일년생으로 연중 2회 이상 개화한다. 엽병의 기부는 이저가 아니며, 능선은 날개처럼 되지 않는다.

           수술은 4강웅예이며, 측화사는 활처럼 휘어 있다.

           13. 연중 2회 개화하고, 기부엽은 뚜렷한 로제트상이다. 밀선은 항상 4개이고, 화판의 화조에 거치가 있다.

                 14. 줄기에는 강모가 있으며, 기부 정소엽형은 신장형이다. 화조의 양쪽에 치아상의 거치가 있다.

                       15. 기부의 정소엽이 천열하며, 화조의 거치는 비대칭이다. ---- 황새냉이

                       15. 기부의 정소엽이 중열하며, 화조의 거치는 좌우대칭이다. --- 좁쌀냉이

                 14. 줄기에는 연모가 있으며, 기부 정소엽형은 5각상 난형이다.

                       화조의 한쪽에 1개의 돌기상 거치가 있다. --- 큰황새냉이

           13. 연중 2회 이상 지속적으로 개화한다. 뚜렷한 기부엽이 없어서 로제트 상을 이루지 않는다.

                 밀선은 2-6개이고, 화판의 화조에 거치가 없다. --- 애기황새냉이

 

싸리냉이(5.1)

털싸리냉이는 싸리냉이에 비해 전초에 털이 있고 잎 모양이 다르며, 잎 앞/뒷면에 털이 있다. => 싸리냉이로 통합제주싸리냉이는 대개 꽃잎이 퇴화되어 없으며, 싸리냉이에 비해 꽃자루/열매자

hyunsik.tistory.com

'22.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