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아

알며느리밥풀 (현삼과 며느리밥풀속)

by 곰보배추 2023. 9. 15.
 

수염며느리밥풀 (현삼과, 며느리밥풀속)

1. 잎은 난형 2. 포와 꽃받침에 털이 거의 없다. 3. 꽃이 화서에 엉성하게 달림. 포엽 기부에 가시가 존재. ----- 꽃며느리밥풀 3. 꽃이 화서에 밀집하게 달림. 포엽 전체에 가시가 존재. ----- 알며느

hyunsik.tistory.com

꽃며느리밥풀의 변종이며 학명은 'Melampyrum roseum var. ovalifolium Nakai ex Beauverd' 이고

 *  종소명 roseum은 '연한 홍색의'라는 뜻의 라틴어

반기생식물인 일년초이다.

중부 이남과 동쪽 해안을 따라 함경도까지 산지 숲속 가장자리에 분포하며

 - 꽃며느리밥풀 :  전국의 산지 숲속 가장자리

 - 수염며느리밥풀 : 남부지방과 서남 군도를 거쳐 일본에까지 분포하며 건조한 곳

포는 가장자리에 긴 가시털같은 톱니가 있고

 - 꽃며느리밥풀 :  가장자리에가시같은 돌기가 있다.

 - 수염며느리밥풀 : 다닥다닥 달리고 백색 연모가 있으며 가시 같은 톱니와 더불어 양면에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에는 다소 잔털이 있다.

 - 꽃며느리밥풀 :  맥줄에 털이 있다.

 - 수염며느리밥풀 : 긴 털이 있다.

'23.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