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아140

애기쉽싸리 (Lycopus maackianus (Maxim. ex Herder) Makino) '19.7.30 / 경남 '19.6.21 / 경남 애기쉽싸리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510 애기쉽싸리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509 잎은 대생하고 옆으로 퍼지며 밑부분의 잎은 넓은 피침형이고 예두 원저이며 길이 4-8cm, 폭 5-15mm로서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좁은 피침형 또는 넓은 선형이고 길이 1.5-3cm, 나비 1.5-5mm로서 톱니가 없는 것도 있으며 양끝이 좁다. 꽃은 7-9월에 피고 흰색이며 엽액에 몇 송이씩 밀생하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녹색이고 화관은 아래위로 갈라진 순형으로서 상순이 얕게 2개로 갈라져서 곧게 서며 하순은 옆으로 퍼지고 3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2019. 8. 2.
유럽뚝새풀 (Alopecurus geniculatus L.)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3. 소수의 기부에 백색 긴 털이나 자모가 발달한다. ----- 띠속, 강아지풀속 3. 소수의 기부에 털이 없다. 4. 포영은 소화보다 적다. ----- 보리속, 나도잔디속, 갯율무속, 좀물뚝새속, 도랭이피속 4. 포영은 소화보다 크며 소화를 둘러 싼다. ----- 산조아재비속, 쇠돌피속, 뚝새풀속, 향기풀속 산조아재비속 : 소수는 1개의 소화가 있다. 포영은 기부가 붙지 않으며 중앙맥 부위가 용골을 만들고 끝은 단단한 까락이 된다. 쇠돌피속 : 소수는 작으며 포영은 같은 모양 같은 크기로 길고 곧은 까락이 있다. 논이나 하천변 습지에 .. 2019. 7. 13.
여름개밀 (Elymus shandongensis B. Salomon) 중국의 중남부에 넓게 분포(중국 고유종) 봄철에 개화하는 개밀과 속털개밀에 비해 여름철(7~8월)에 꽃이 피는 것과 작은이삭(소수)에 털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19.7.2 / 경남 개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915 2019. 7. 11.
왕도깨비가지 (가지과, 가지속/11.4) [기재문] 학명은 Solanum viarum Dunal 목장, 초지, 길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 귀화식물로 줄기, 가지, 잎에 털이 많고 길고 날카로운 가시가 드문드문 난다. 줄기는 높이 50-100cm이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넓은 난형으로 길이 6-13cm, 너비 6-12cm, 가장자리는 3-5갈래로 갈라지고, 잎자루는 길이 3-7cm이다. 꽃은 6-9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난 짧은 꽃대에 1-5개가 달리고, 짧은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자루는 길이 4-6mm이다. 가장 아래쪽의 꽃은 양성화이고, 나머지는 모두 수꽃이다. 꽃받침은 종 모양으로 길이 1cm이다. 화관은 흰색 또는 녹색이며, 갈래는 피침형으로 길이 2.5mm, 너비 10mm쯤이다. 열매는 장과이며, 지름 2-3cm로 둥글고, .. 2018. 11. 13.
애기실부추 실부추 : 4~6 애기실부추 : 1~3 '14.5.31 / 대청도 애기실부추 보기 : '한국의들꽃'에 의하면, "실부추는 북부지방 및서해 도서의 바위지대, 풀밭 등에 자생하는 반면 애기실부추는 남해안 도서지방에 분포하며, 애기실부추에 비해 대형이고 꽃자루가 길고 결실기엔 서로 다른 것이 특징이다." 2018. 10. 29.
애기물꽈리아재비 (현삼과, 물꽈리아재비속/8.12) 학명은 Mimulus tenellus Bunge이며 종소명 tenellus는 '연약한' 의미.물꽈리아재비 학명은 Mimulus tenellus Bunge var. nepalensis (Benth.) P.C.Tsoong이며 애기물꽈리아재비의 변종.[비교] 애기물꽈리아재비, 물꽈리아재비종 명꽃자루 길이잎 길이꽃받침 길이줄기상부 엽병잎 거치수애기물꽈리아재비(희귀멸종위기식물)원종4~7mm6~12mm5~8mm있다5~6개물꽈리아재비변종15~22mm10~40mm-없다3~4개주) 물꽈리아재비의 잎의 거치수는 5~6개인 경우가 있어 동정 형질로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물꽈리아재비'15.6.6 / 대구hyunsik.tistory.com 물꽈리아재비 열매, 종자(7.23)[비교] 애기물꽈리아재비와 물꽈리아재비 종 명 .. 2018. 8. 19.
암대극 (8.1) '18.8.1 암대극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9944 2018. 8. 16.
애기분홍낮달맞이꽃 (Oenothera rosea L'Hér. ex Aiton) '15.7.11 / 부산 애기분홍낮달맞이꽃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284 애기분홍낮달맞이꽃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368 2018. 5. 18.
연등심붓꽃 꽃(6.10) 2016년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연등심붓꽃과 등심붓꽃의 분류학적 재검토" 논문에 의하면 연등심붓꽃은 화관의 밑부분(화통)이 긴 항아리 모양, 열매와 씨가 큰 점에 의해 등심붓꽃과 구별되며 꽃이 연보라색이어서 국명을 연등심붓꽃이라고 신칭하였다 학명은 Sisyrinchium micranthum Cav. [비교] 등심붓꽃, 연등심붓꽃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연등심붓꽃과 등심붓꽃의 분류학적 재검토' 논문의 적요는 다음과 같다. 제주도 서귀포시 일대에서 미기록 귀화식물 연등심붓꽃이 발견되었다. 이 종은 중남미가 원산이 hyunsik.tistory.com 등심붓꽃 꽃(5.18) 학명은 Sisyrinchium angustifolium Mill. 잎은 밑부분에 많이 달리며 선형이고 길이 4~10cm, 폭 2~3mm이.. 2017. 6. 27.
왕그늘사초 (Carex pediformis var. pedunculata Maxim.) '17.5.23 / 정선 그늘사초 보기 : 왕그늘사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7990 http://blog.daum.net/watcher/8767991 2017. 6. 6.
어수리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16.8.21 / 태백 좁은어수리 보기 : 서양어수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860 2016년 환경부 지정 위해 우려종 2016. 10. 23.
애기개올미 (Diplacrum caricinum R.Br.) '16.9.11 / 신안 [특징] 화서가 잎 짬에 거의 구형으로 액생 애기개올미 수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8424 2016. 9. 29.
유럽육절보리풀 (Glyceria declinata Breb.) '16.5.29 / 진안 특징 : 육절보리풀에 비해 화서축 아랫부분이 개방. 내영이 둔한 모양으로 끝부분이 3개의 열편으로 갈라져 둔하게 삐져 나온다. 유럽육절보리풀 더보기 : 유럽육절보리풀 영과 보기 : 육절보리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400 왕미꾸리광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581 진들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415 2016. 7. 8.
육절보리풀 (Glyceria acutiflora Torr.) '16.5.29 / 진안 특징 : 유럽육절보리풀에 비해 개화시 화서는 응축되고 내영이 호영보다 길다. 내영이 예두로 호영 밖으로 뾰족하게 삐져 나온다. 육절보리풀 더보기 : 육절보리풀 영과 보기 : 유럽육절보리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401 왕미꾸리광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581 진들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415 http://blog.daum.net/watcher/8766416 2016. 7. 8.
아마 꽃(5.8) 아마 신엽(1.1)'17.1.1 / 군산아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285hyunsik.tistory.com 아마(5.1)'16.5.1 / 군산아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285hyunsik.tistory.com 아마 열매, 종자(6.13)'16.6.13 / 군산아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285개아마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926     http://blog.daum.net/watcher/8761393노랑개아마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148hyunsik.tistory.c.. 2016. 5. 19.
안면용둥굴레 (Polygonatum desoulavyi Kom.) 한국산 둥굴레속의 분류학적 재검토 (2002년) 1. 포가 없다. ------ 둥굴레계열 1. 초질 또는 막질의 포를 가진다. 2. 포가 초질, 난형 내지 피침형, 길이 1-3.5cm이고 맥이 3-5개: 화피통 안쪽에 털이 없다. 수술대에는 유두상 돌기 및 긴 털이 조밀하게 있다. ----- 용둥굴레계열 1. 식물체에 털이 없고, 화서에 2장의 포가 있다. 2. 포가 난형, 소화경의 기부에 부착하여 꽃을 완전히 감싼다.. ----- 용둥굴레 2. 포가 피침형, 소화경의 중부나 상부에 부착하며 꽃을 감싸지 못한다.. ----- 안면용둥굴레 1. 식물체에 꽃이 달리는 줄기 하부이외의 줄기의 상부, 잎, 소화경, 포 등에 털이 있다. ------ 목포용둥굴레 용둥굴레 줄기는 능각이 있다. 잎은 무모이고 포는 .. 2016. 3. 29.
애기나비나물 (Vicia unijuga f. minor Nakai) '14.7.27 / 제주도 나비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878 백운나비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923 긴잎나비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8582 나비나물에 비해 전체가 소형. 잎은 호생하며 1쌍의 소엽으로 구성되고 소엽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2-5㎝, 나비 1-2㎝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둔저이고 탁엽은 2개로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다. 총상화서는 엽액에서 나오며 길이 2-4㎝로서 많은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리고 화경은 길이 4㎝로서 일정하지 않으며 밑에서부터 흔히 갈라지고 꽃은 8월에 피며 길이 12-15㎜로서 홍자색이.. 2016. 3. 17.
유럽광대나물 (꿀풀과, 광대수염속/5.2) [기재문] 자주광대나물의 변종 학명은 Lemium Purpureum var. hybridum(Vill) Vill이며 종소명 Purpureum는 '자주색을 띠는' 의미. 잎은 대생, 엽병은 백색 틀이 산생하고 길이 35-cm. 엽신은 아원형에서 난형이고 심장저이며 원두이고 둔거치연이며 길이 0.2-2cm, 너비 1.4-2cm이고 양면에 백색 털이 있다. 화서는 취산화서. 포는 2장이 대생. 포엽병은 길이 0.2-1cm, 포엽신은 녹색 또는 연적색이 도는 녹색이고 난형 또는 삼각상 난형이며 유저이고 예두이며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일이 1-2.5cm 너비 1-3cm이고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액생하고 좌우상칭. 악은 연자색을 띄는 녹색이고 종형이며 길이 5-7mm이고 5개의 열편이 있으며 백색 털이 밀생. 화.. 2016. 3. 8.
원산딱지꽃 (Potentilla nipponica Th.Wolf) '15.7.11 딱지꽃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7493853 소엽은 7-13개이고 우상으로 중앙까지 갈라지며 도피침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엽병이 없고 열편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뒤로 말리듯이 도드라지며 뒷면은 백색 면모가 있어 은백색이 돌고 소엽 사이에 소열편이 없으며 탁엽은 타원형으로서 톱니가 약간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13mm로서 황색이며 화경(花莖) 끝의 산방상 취산화서에 달린다. 꽃받침잎은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6mm이며 부악편은 꽃받침과 비슷하고 꽃받침과 더불어 겉에 면모가 있다. 열매는 수과로 털이 없고 밋밋하다. 2015. 9. 22.
양뿔사초 (Carex capricornis Meinsh. ex Maxim.) '15.6.4 양뿔사초 수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066 잎은 두껍고 폭 4-6㎜로서 횡맥이 약간 뚜렷하며 밑부분의 엽초는 대개 잎이 없고 짙은 갈자색이다. 총생하며 세모진 화경(花莖)은 높이 40-70㎝이고 단단하며 곧게 선다. 소수는 4-6개가 모여 달리며 웅소수는 수꽃이삭은 줄기끝에 붙.. 2015. 8. 31.
왜방풍(6.28) [기재문]학명은 Aegopodium alpestre Ledeb.다년초.근생엽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삼각형으로 2-3회 3출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난형으로 길이 1-2.5cm, 폭 8-20mm이고 점첨두에 설저이며 앞·뒷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깊은 톱니가 있거나 3개로 갈라지며 엽병은 10-20cm이고 밑은 엽초로 되어 줄기를 싼다.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다.큰 산형화서는 정생 또는 액생하는 긴 화경끝에서 1-3개가 발달하고 산경은 8-12개로서 길이 2-3cm이며 소산화서에 10여개의 꽃이 달리고 소산경은 길이 5-8mm, 폭 1.5-2mm로서 단면은 오각형이며 능선이 가늘고 유관이 없다. 꽃은 8월에 백색으로 핀다. 총포편과 소총포가 없으며 암술대는 길이 1mm정도로서 밑부분이 둥글다.열매.. 2015. 8. 27.
애기우산나물 (Syneilesis aconitifolia (Bunge) Maxim.) '15.7.4 / 서산 애기우산나물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868 우산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177 [우산나물과 애기우산나물 비교] -우산나물 : 원추화서 -애기우산나물 : 산방화서 첫째 잎은 둥글고 지름 20-30cm로서 장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7-9개이고 2-3회 2개씩 중열되며 소열편은 나비 4-8mm로서 뒷면에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처음에는 뒤로 젖혀져서 거미줄 같은 백색 털로 덮여 있지만 점차 없어지고 엽병은 길이 10-16cm이다. 둘째 잎은 약간 작으며 지름 12-24cm이고 열편은 나비 4-5cm이며 엽병은 길이 2-6cm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2015. 8. 24.
애기바늘사초 (5.25) [비교] 애기바늘사초, 바늘사초 * 애기바늘사초 : 과포에 잔맥이 없고 꽃줄기는 둔한 삼각형 * 바늘사초 : 과포에 잔맥이 있고 꽃줄기는 예리한 삼각형 [비교] 바늘사초, 애기바늘사초, 개바늘사초, 솔잎사초 종명 바늘사초 애기바늘사초 개바늘사초 솔잎사초 소수 자화부가 길다 자화부가 길다 자화부가 길다 웅화부가 길다 줄기 예리한 삼각형이고 모서리가 까끌거림 매끈함 매끈함 매끈함 엽신 너비 1~1.5mm 약 1mm 2~3mm 0.5~1mm 인편 희미한 3맥. 과낭보다 짧다 맥이 없음. 과낭보다 짧다 희미한 3맥. 과낭보다 짧다 3맥. 과낭과 거의 비슷함 과낭 난상 장타원형, 2.5~3mm. 등쪽에 뚜렷한 맥이 있다. 장난형, 2~2.5mm. 불명확한 가는 맥이 있다. 장타원상 피침형, 3.5~4mm. 양면에.. 2015. 7. 3.
울릉산마늘 (Allium ochotense Prokh.) '14.5.17 산마늘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8877 잎은 넓고 2-3개씩 달리며 길이 20-30cm, 폭 3-10cm로서 타원형 또는 좁은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약간 흰빛을 띤 녹색이며 윤채가 없다. 엽병 밑부분은 엽초로 되어 서로 둘러싸고 윗부분에 흑자색 점이 있다. 꽃은 백.. 2015. 7. 3.
윤판나물아재비 (Disporum sessile D.Don var. sessile) '14.5.16 / 울릉도 윤판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326 윤판나물아재비 주두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737 2015. 5. 6.
애기장대 (Arabidopsis thaliana (L.) Heynh.) 애기장대 (배추과, 애기장대속) '식물의 초파리' 동물 연구에 흰쥐나 초파리를 사용한 것처럼 모델식물로 사용하는 식물이 애기장대이다. 한 세대가 매우 짧고(씨를 뿌린 후 2개월에 종자를 받을 수 있음) 유전체 수가 작아 연 hyunsik.tistory.com '15.3.24 / 충북 근생엽은 도피침형이고 총생하여 옆으로 퍼지고 길이 2~4cm, 폭 3-15mm로서 가장자리에 희미한 톱니가 있고 양면에 2개로 갈라진 털이 있으며 경생엽은 도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드문드문 달리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4~5월에 피며 백색의 십자화이고 총상화서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서 서며 꽃받침잎은 타원형이고 길이 2mm로서 뒷면에 털이 있으며 꽃잎은 도피침형이고 길이 3-3.5mm이다. 열매는 장각과로서 비스듬히 퍼.. 2015. 4. 24.
애기솔나물 (Galium verum var. asiaticum for. pusillum (Nakai) M.Park) '14.7.27 / 한라산 솔나물 보기 : 솔나물에 비해 극히 소형이다. 잎은 선형이며 원줄기에서는 각 마디에 2장의 정상엽과 잎모양의 탁엽 5-9장이 윤생하고 길이 6-8mm로서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젖혀지고 가지에서는 6개 또는 4개씩 달리며 길이 3-5mm로서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젖혀진다. 꽃은 황색이며 소형이고 가지 끝에 모여 원추화서를 이룬다. 소화경은 길이 2mm이며 화관은 지름 2mm이고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자방은 털이 없으며 수술은 4개이고 길이 1mm이며 꽃밥과 수술대는 길이가 거의 비슷하고 암술대는 2개로 갈라지며 털이 없고 암술머리는 점상이다. 열매는 소형이며 2개씩 달리고 거의 털이 없다. 줄기는 총생하며 높이 10-20cm이고 밑동이 누우며 약하고 .. 2015. 3. 6.
약난초 (Cremastra variabilis (Blume) Nakai ex Shibata) '14.11.8 / 거제도 내장산 이남 및 해안, 도서 지역에서 자란다. 잎은 1-2개가 인경 끝에서 나와 겨울이 지나면 마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25-40cm, 나비 4-5cm로서 3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과 연결된다. 개화기는 5-6월로 잎 옆에서 길이 30-50cm정도의 화경이 나와 곧추 자라며 15-20개의 연한 자줏빛이 도는 갈색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밑을 향해 달린다. 엽신이 없는 초상엽이 있고 화서는 길이 10-20㎝이며 포는 길이 7-10mm로서 선상 피침형이고 예두이다. 화피열편은 선상 도피침형이며 길이 3-3.5㎝, 나비 4-5mm이고 순판은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며 기부에 육질의 부속체가 있고 거(距)가 없다. 암술은 길이 2.5cm로서 윗부분이 약간 굵다.. 2015. 1. 19.
애기고추나물 (Hypericum japonicum Thunb.) '14.7.19 / 대구 좀고추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5904801 일년초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원줄기를 반 정도 감싸며 길이 5~13mm, 나비 3-10mm로서 투명한 유점(油點)이 있고 화서의 잎은 선형 또는 피침형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6~8mm로서 황색이.. 2014. 8. 18.
애기도라지 (7.28) [기재문] 학명은 Wahlenbergia marginata (Thunb.) A.DC. 다년초 도라지꽃과 비슷한 소화가 피기 때문에 애기도라지라고 한다.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근생엽과 더불어 도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밑부분이 좁으며 길이 2~4cm, 폭 3~8mm로서 가장자리가 흰빛이 돌고 두꺼우며 흔히 파상으로 되고 윗부분의 잎은 작으며 적다. 꽃은 6-8월에 피고 하늘색으로서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길이 2-3mm로서 곧게 선다. 화관은 깔대기모양이고 5개로 깊게 갈라지며 길이 5-8mm이다. 5개의 수술과 1개 암술이 있다. 암술머리는 2~5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곧게 서며 도원추형이고 길이 6~8mm의 삭과로서 포배에서 갈라진다. 종자는 여러 개이.. 2014.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