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본식물/다, 라107 동부 (Vigna unguiculata (L.) Walp.) '16.10.23 / 신안 동부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9450 동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8344 돌동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8366 [동부] 일년초. 열매는 협과로 선형으로서 약간 굽으며 옆으로 처진다. 전체에 털이 없다. [돌동부] 다년초. 열매는 길이 6~10cm로서 겉에 퍼진 .. 2016. 11. 17. 들겨이삭(6.20) [겨이삭속의 특징]-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되어 호영이 보이지 않는다.- 포영은 막질이고 반짝거리며 1맥이 있다.- 소수는 소화 1개만 있으며 길이는 2~3mm로 작다.- 포영의 용골에 잔가시가 있어 까끌거린다.[들겨이삭의 특징]- 흰겨이삭처럼 지하경이 길게 뻗는다.- 소수는 자색이 도는 갈색이다.- 소수는 흰겨이삭과 달리 화서 가지 상부에만 달린다.- 맨 아래의 화서 가지는 윤생한다.------------------------------------------------------------------------------------------------1.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포영 크기 = 소수 크기) 2. 무병, 유병소수 또는 장병, 단병소수가 짝지어 붙는다. .. 2016. 8. 12. 단망개밀(소수 무모형/5.23) [개밀속 검색표]1. 지하경이 길게 뻗는다. ------ 구주개밀1. 지하경이 없이 모여난다. 2. 화서는 비스듬히 서며, 내영이 호영보다 작다. 3. 엽신에 털이 없어 매끈하거나 까끌거린다. 4. 호영 등쪽이 까끌거리고, 가장자리에 가늘고 짧은 털이 있다. ----- 가는개밀 4. 호영 등쪽이 강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가늘고 긴털이 있다. 5. 호영 선단부 까락이 10~30mm ------ 속털개밀 5. 호영 선단부 까락이 1~3(~7)mm ----- 단망개밀 3. 엽신에 잔털이 있거나 짧고 가는 털이 있다. 4. 포영 맥과 자장자리에 가늘고 .. 2016. 6. 22. 댕돌보리 (5.15) [호밀풀속 특징]- 화서는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포엽이 없다.- 소수는 자루가 없다. - 납작한 소수의 모서리가 화축을 향한다.- 제1포영이 없거나 희미하고 제2포영은 혁질이다.- 전부 외래식물이다.참고) 갯보리속(개밀, 속털개밀 등)은 제1, 2포영이 있다[호밀풀속의 종 비교]종 명특 징호밀풀(외래) - 호영에 까락이 없으나 재배품종의 교배로 중간종들이 생김. - 제2포영은 호영 길이보다 같거나 길다.쥐보리(외래) - 호영에 까락이 있다. - 제2포영은 호영 길이보다 짧다.가지쥐보리(외래) - 쥐보리의 화서가 갈라지는 것을 가지쥐보리로 따라 구별했으나 쥐보리로 통합함댕돌보리(외래) - 포영이 소수 길이의 1/2독보리(외래) - 포영이 소수 길이보다 길다. .. 2016. 6. 13. 동강기름나물 꽃(9.17) 한국산 기름나물속의 검색표 (출처는 2022년 미로기름나물, 동강기름나물 논문)* 기름나물속 특징 : 줄기는 기부에 근생엽이 변형된 섬유가 있다.1-1 근생 및 경생엽은 1~3회 우상복엽이다. 2-1 잎의 최종열편은 선형이다. 3-1 소산형화는 20~44개의 꽃으로 구성, 유관은 6개, 1개는 등쪽면에, 2개는 접합면쪽에 있다. 4-1 잎은 2회우상복엽, 잎의 전체적인 모양은 3각형~넓은 난형, 최종열편은 선상피침형으로 예두이지만 가시모양은 아니다. 포엽은 1~2개 ----- 두메방풍(북부지방) 4-2 잎은 2~3회 우상복엽, 잎의 전체적인 모양은 난형, 최종열편은 선형.. 2015. 12. 6. 담상이삭풀 (담상이삭풀속)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4. 제1, 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5.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5.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없다. 6.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가 1개 있다. 7. 한 개의 소수에 한 개의 양성소화만 있다. ----- 산기장속, 담상이삭풀속, 쥐꼬리새풀속 7. 한 개의 소수에 2개의 소화가 있으나 양성소화는 1개뿐이다. ----- 기장속, 좀조개풀속 6... 2015. 10. 24. 닭의덩굴(마디풀과/8.30) '15.8.30 큰닭의덩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785나도닭의덩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618애기닭의덩굴 보기 :중국닭의덩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858 2015. 10. 23. 두메대극 (7.11) 대극과 특징은배상화서가 달리며 꽃은 단성, 5수성이고, 대개 방사상칭이다. 암술을 이루는 심피는 보통 3개[대극속의 종 검색표] 출처 : 미기록 귀화식물 아메리카대극과 털땅빈대 논문(2011년 식물분류학회)1. 선체에 부속체가 없다. 2. 선체의 수는 4~5개이다. 3. 3차 포엽은 3장이다; 종자의 표면은 망상이다. ----- 등대풀 3. 3차 포엽은 2장이다; 종자의 표면은 평활하다. 4. 총포의 직경은 3mm이상이다. 5. 원줄기의 잎은 호생한다. ----- 붉은대극 5. 원줄기의 잎은 윤생한다. ----- 낭독 4. 총포의 직경은 3mm이하이다. .. 2015. 9. 27. 달맞이장구채 (8.7) [기재문] 학명은 Silene latifolia Poir. subsp. alba (Mill.) Greuter & Burdet 두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30-70cm까지 자라고, 전체적으로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뿌리에서 돋은 잎은 자루가 있지만 줄기 위쪽에 달리는 잎은 자루가 없다. 잎몸은 끝이 뾰족하고 길이 3-10cm, 너비 1-2cm이며 양면에 모두 털이 있다. 꽃은 6-9월에 암꽃과 수꽃이 딴 그루에 피고, 저녁에 피며 향기가 있다. 암꽃의 꽃받침은 부풀어 있으며, 수꽃은 이보다 작고 홀쭉하다. 꽃잎은 5개로 흰색이며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다. 수꽃에는 수술이 10개, 암꽃에는 암술이 한 개이고 암술머리는 5개로 끝까지 갈라진다. 열매는 7-10월에 익는다. 유럽 원산이 귀화식물로 .. 2015. 9. 23. 떡잎골무꽃 꽃(5.2, 꿀풀과) [비교] 골무꽃, 떡잎골무꽃* 골무꽃 : 잎은 얇은 편이고 상면 엽맥의 함몰이 거의 없고, 엽형은 원형에 가까운 심장형이다. 어린 개체에서는 엽맥의 함몰이 있지만, 성장하면서 없어진다. 줄기는 거의 녹색으로 기부 일부만 자색이 돈다.* 떡잎골무꽃 : 잎은 두껍고 상면 엽맥의 함몰이 뚜렷하고, 엽형은 삼각상 심장형이다. 골무꽃의 변종. 성숙한 개체에서도 엽맥의 함몰이 뚜렷하다. 엽병과 엽신이 만나는 곳이 유저의 형태. 줄기는 3/4이상까지 뚜렷한 자색을 띤다.[골무꽃 변종 검색표] 출처 : 한국산 골무꽃속(꿀풀과) 식물의 분류 논문(1995년, 김상태, 이상태)1. 잎은 2.. 2015. 8. 29. 독미나리(5.21) [비교] 독미나리, 가는잎독미나리 (출처 : 한반도산 미나리과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2019년)종명독미나리( Cicuta virosa L.)가는잎독미나리(C. virosa var. virosa)경생엽의 최종열편좁은 피침형 내지 좁은 타원형이며, 2.2-6.8 × 0.4-1 cm선형이며 0.8-2.8 cm × 1.2-3 mm소산형화서 20-30개30-50개화경3.2~4cm길이 6~11.5cm분포 강원도 홍천군 내면 및 인제군의 일부 지역전북 군산시비고독미나리로 통합됨[기재문]학명은 Cicuta virosa L.이며 종소명 virosa는 '유독한' 의미.여러해살이풀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이다. 6~8월 작은 백색 꽃이 피며, 온몸에 유독한 성분이 있다.어린잎을 나물로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북방.. 2015. 7. 18. 대극 (5.15) 대극과 특징은배상화서가 달리며 꽃은 단성, 5수성이고, 대개 방사상칭이다. 암술을 이루는 심피는 보통 3개[대극속의 종 검색표] 출처 : 미기록 귀화식물 아메리카대극과 털땅빈대 논문(2011년 식물분류학회)1. 선체에 부속체가 없다. 2. 선체의 수는 4~5개이다. 3. 3차 포엽은 3장이다; 종자의 표면은 망상이다. ----- 등대풀 3. 3차 포엽은 2장이다; 종자의 표면은 평활하다. 4. 총포의 직경은 3mm이상이다. 5. 원줄기의 잎은 호생한다. ----- 붉은대극 5. 원줄기의 잎은 윤생한다. ----- 낭독 4. 총포의 직경은 3mm이하이다. .. 2015. 7. 17. 덩굴곽향 (Teucrium viscidum var. miquelianum (Maxim.) Hara) '14.7.11 / 청도 곽향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152 개곽향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743 덩굴곽향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382 잎은 대생하고 얇으며 좁은 또는 넓은 난형이고 밑부분이 예저이며 길이 4~8(10)cm, 폭 2~4cm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5~3cm이다. 엽병 및 잎 뒷면에 밑으로 굽은 잔털이 있다. 꽃은 7-9월에 피고 길이 8-10mm로서 연한 하늘색이며 총상화서에 달리고 화서는 길이 3-5cm이며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 달리고 밑으로 굽은 잔털이 있다. 포는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며 피침형이고 소화.. 2015. 4. 5. 대반하 (Pinellia tripartita (Blume) Schott) '14.6.27 / 통영 반하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5855397 대반하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814 http://blog.daum.net/watcher/8765026 다년초. 상록수림 밑에서 자란다. 잎은 1-4장이고 잎자루에 육아가 없다. 잎몸은 깊게 3갈래로 갈라지고 갈래는 난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 길이 10-20㎝이다. 꽃줄기는 20-50㎝, 불염포는 녹색 또는 자색을 띤 녹색이다. 길이는 6-10㎝으로 현부(舷部)는 난형이다. 내면에 소돌기가 밀생하고 외부는 매끈하다. 부속체는 길이 15-25㎜이다. 2014. 12. 8. 두루미천남성 (Arisaema heterophyllum Blume) '14.5.30 / 서쪽 섬 가는잎두루미천남성 보기 : 큰천남성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7079983 천남성 보기 : 곤약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608 잎은 1개이며 엽병은 길고 소엽은 13~19개로 도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중앙부의 것은 길이 3~15cm, 나비 1~6cm이며 측소엽은 길이 10~25cm, 나비 2~6.5cm이다. 꽃은 이가화로 5~6월에 피고 소화경이 길며 포의 현부는 난형이고 길이 7-12cm, 나비 3-7cm로서 통부(筒部)의 윗부분을 덮고 있으며 녹색이고 뒷면이 두드러지며 끝이 갑자기 좁아지면서 뾰족해진다. 육수화서(肉穗花序)의 연장부는 채찍처럼 길게 자라 높이 솟으며 화서축에 많은 꽃이 밀착한다.. 2014. 8. 25. 덩굴박주가리 (Cynanchum nipponicum Matsum.) '14.7.5 '14.9.8 왜박주가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872 흑박주가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451 개줄덩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837 (2016년 환경부 지정 위해 우려종) 덩굴박주가리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714 가는털백미 보기 : 솜아마존 보기 : 개줄덩굴 보기 : 덩굴성 다년초. 잎은 대생하고 곧추선 부분의 잎은 크며 막질이고 넓은 피침형 또는 좁은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5-12cm, 폭 1-3c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아심장저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4mm이.. 2014. 8. 24. 당아욱 (Malva sylvestris var. mauritiana Boiss.) '12.7.30일 / 단양 2012. 12. 7. 뚝지치 (6.10) '12.6.10일 2012. 8. 28. 두메애기풀 (Polygala sibirica L.) '12.5.23일 / 영월 애기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120 두메애기풀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430 2012. 6. 18. 덩굴해란초 (Cymbalaria muralis P. Gaertn.) '10.8.19일 / 부산 해란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187043 솔잎해란초 보기('12년 미기록 귀화식물로 보고) : 2012. 2. 25. 덩굴모밀 (Persicaria chinensis (L.) Nakai) '11.9.28일 / 제주도 2011. 10. 3. 땅빈대 (8.15) [기재문]학명은 Euphorbia humifusa Willd. ex Schltdl.일년초.잎은 대생하며 수평으로 퍼져서 2줄로 배열되고 긴 타원형이며 양끝이 둥글지만 밑부분의 한쪽이 좁고 길이 7-15mm, 폭 3-7mm로 표면은 청록색이며 뒷면은 회록색이고 양면에 털이 있다가 없다지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탁엽은 선형이고 8개로 깊게 갈라진다.꽃은 8-9월에 피며 배상화서는 가지 끝과 엽액에 달리고 1개의 꽃처럼 보이는 연한 적자색이며 종형의 소총포 가장자리에 있는 선체는 옆으로 퍼진 타원형이고 부속체가 달려 있다. 배상화서는 배상총포와 그 속에서 나는 1개의 암꽃과 몇개의 수꽃들이 핀다. 배상총포는 홍자색을 띤 종모양이고 웃머리에 3각상의 4개의 열편이 있으며 장타원형인 4개 선체가 있다. 배.. 2011. 8. 20. 두메고들빼기(7.15) 개씀배와 유사하다. 산씀바귀 신엽(6.27)'18.6.27hyunsik.tistory.com 두메고들빼기 종자 (왕고들빼기속/10.10)학명은 Lactuca triangulata Maxim. 수과는 타원형 또는 넓은 달걀모양으로서 길이 4mm, 넓이 2mm이며 납작스름하고 흑색 또는 암적색이며 관모는 길이 6-7mm의 백색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Max.)'11.7.hyunsik.tistory.com '11.7.15. 2011. 8. 3. 두메김의털 (Festuca ovina var. koreanoalpina Ohwi) '11.7.17일 사방김의털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037 김의털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228 큰김의털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849 참김의털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196 2011. 7. 18. 골무꽃 (Scutellaria indica L.) '11.6.3일 [골무꽃과 떡잎골무꽃 차이] : 떡잎골무꽃은 골무꽃의 변종이며 골무꽃에 비해 잎맥이 깊다. 떡잎골무꽃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085 수골무꽃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326538 참골무꽃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916 흰참골무꽃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5873608 애기골무꽃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450482 골무꽃 보기 : 호골무꽃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344 광릉골무꽃 보기 : 연지골무꽃 보기 : http://blog.daum.net/w.. 2011. 6. 5. 떡쑥 (Gnaphalium affine D. Don) 떡쑥 뿌리잎 보기 : 떡쑥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089 들떡쑥 꽃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853 왜떡쑥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7172652 다북떡쑥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572 2011. 5. 21. 들다닥냉이 (Lepidium campestre R.Br.) 들다닥냉이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696 들다닥냉이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928 큰잎다닥냉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935 2011. 5. 4. 들개미자리 (Spergula arvensis L.) 들개미자리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458 갯개미자리 : 암술머리가 3개이며 꽃잎 끝이 뾰족하고 흰색바탕에 분홍색 큰개미자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194 (암술머리가 5개로 갈라짐) 삼수개미자리 : 다북개미자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573 갯개미자리 보기 : htt.. 2011. 1. 30. 동의나물 (Caltha palustris var. membranacea Turcz.) 동의나물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553 2010. 12. 24.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384 돼지풀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119 단풍잎돼지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278 일년초. 잎은 밑부분에서는 대생하며 상부에서는 호생하고 2-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길이 3-11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뒷면.. 2010. 12. 5.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