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극과 특징은
배상화서가 달리며 꽃은 단성, 5수성이고, 대개 방사상칭이다. 암술을 이루는 심피는 보통 3개
[대극속의 종 검색표] 출처 : 미기록 귀화식물 아메리카대극과 털땅빈대 논문(2011년 식물분류학회)
1. 선체에 부속체가 없다.
2. 선체의 수는 4~5개이다.
3. 3차 포엽은 3장이다; 종자의 표면은 망상이다. ----- 등대풀
3. 3차 포엽은 2장이다; 종자의 표면은 평활하다.
4. 총포의 직경은 3mm이상이다.
5. 원줄기의 잎은 호생한다. ----- 붉은대극
5. 원줄기의 잎은 윤생한다. ----- 낭독
4. 총포의 직경은 3mm이하이다.
6. 선체가 초승달 모양이고 삭과의 표면은 평활하거나 능선부에만 소돌기가 있다.
7. 삭과의 능선부에만 소돌기가 있다. ----- 흰대극
7. 삭과는 평활하다. ----- 개감수
6. 선체가 타원형이고 삭과의 표면 전체가 돌기가 있다.
8. 포엽은 연황색이고, 전연이다; 화주는 중열한다. ----- 암대극
8. 포엽은 녹색이고, 불규칙한 거치가 있다; 화주는 심열한다.
9. 3차 포엽과 3차 화경이 있다. ----- 대극
9. 3차 포엽과 3차 화경이 없다. ----- 두메대극
2. 선체의 수는 보통 1개이다.
10. 원줄기 잎은 대생 및 호생한다; 선체 입구는 장타원형이다. ----- 톱니대극
10. 원줄기 잎은 호생한다; 선체 입구는 원형이다. ----- 아메리카대극
1. 선체에 부속체가 있다.
2. 줄기는 포복한다.
3. 삭과는 털이 없다. ----- 땅빈대
3. 삭과는 털이 있다.
4. 잎 표면에 적갈색 반점이 있다; 삭과 전체에 털이 있다. ----- 애기땅빈대
4. 잎 표면에 적갈색 반점이 없다; 삭과 능선부만 털이 있다. ----- 누운땅빈대
2. 줄기는 비스듬히 위를 향하거나 직립한다.
5. 삭과는 털이 없다. ----- 큰땅빈대
5. 삭과는 털이 있다. ----- 털땅빈대
* 꽃차례 가장자리에는 흰색 또는 담홍색의 꽃잎 모양의 부속체가 4개가 있고, 그 안쪽에 녹자색의 선체가 4개가 있다.
[기재문]
학명은 Euphorbia pekinensis Rupr. 유독식물.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5-2.8cm, 폭 6-12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중륵에 흰빛이 돈다.
꽃은 6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달리며 윗부분에서 5개의 잎이 윤생하고 5개의 가지가 산형으로 갈라진다.
총포엽은 넓은 난형, 삼각상 원형 또는 난상 원형으로서 길이 5-12mm이며 배상화서의 선체는 긴 타원형이고
지름 1.5mm정도로서 검은 갈자색이다. 1개의 암술로 구성된 1개의 암꽃과 1개의 수술로 구성된 몇개의 수꽃이
소총포안에 들어 있으며 암술대는 3개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삭과는 납작한 구형이고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으며 유면이 3각편으로 개열하고 종자는 광타원형이며 길이
1.8mm로서 겉이 밋밋하다.
높이가 80cm에 달하고 곧추 자라지만 밑부분에서 흔히 가지가 갈라지고 자르면 유액이 나오며 꼬부라진 털이 있다.



'15.5.15. / 서산
'초본식물 > 다, 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떡잎골무꽃 꽃(5.2, 꿀풀과) (0) | 2015.08.29 |
---|---|
독미나리(5.21) (0) | 2015.07.18 |
덩굴곽향 (Teucrium viscidum var. miquelianum (Maxim.) Hara) (0) | 2015.04.05 |
대반하 (Pinellia tripartita (Blume) Schott) (0) | 2014.12.08 |
두루미천남성(5.30, 천남성과) (0) | 2014.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