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개구리밥속 식물의 특징은 가장 작은 꽃을 피우는식물체이며 엽상체에 뿌리가 없다.
우리나라는 분개구리밥속에 남개구리밥(Wolffia globosa)과 분개구리밥(Wolffia arrhiza (L.) Wimm.)
2종이 있으나 유럽에서는 2종 이외에 W. australiana와 W. columbiana 총 4종이 있다.
[개구리밥과 속 비교표]
구분 | 개구리밥속 | 분개구리밥속 | 좀개구리밥속 |
뿌리 | 5~12개 | 없다 | 1개 |
해당 종 | 개구리밥, 점개구리밥 | 분개구리밥, 남개구리밥 | 좀개구리밥, 나도좀개구리밥, 동아좀개구리밥 |
[유럽의 Wolffia(분개구리밥속) 식별 키]
1. 엽상체는 너비보다 길이가 1.3-2.5 배, 깊이가 너비보다 1.5-3.0배 더 크며, 가장 넓은 너비는 수면에 있다.
(위에서 볼 수있는 반투명 가장자리가 거의 보이지 않음. 색소세포가 있음) ----- W. australiana
1. 엽상체 길이는 폭보다 1.0-1.7 배, 깊이는 너비보다 0.75-1.5 배이며, 가장 큰 너비는 수면 아래에 있다.
(적어도 옆면은 위에서 볼 수있는 반투명 가장자리. 색소세포가 없음)
2. 엽상체 윗면은 짙은 녹색이고, 불투명하고 표면이 반짝이며 뚜렷하게 평평하다.
정점이 약간 뾰족하다. ----- 분개구리밥
2. 엽상체 윗면은 투명한 녹색이고 광택이 없으며 다소 둥글다. 정점은 약간 뾰족하거나 둥글다.
3. 엽상체는 길이 0.8-1.2mm, 너비 > 0.6mm, 거의 구형 (너비의 1.0-1.3 배 길이),
윗면의 대부분은 명확하게 둥글고, 윗부분은 편평하다. ----- W. columbiana
3. 엽상체는 길이 0.4-0.8mm(폭은 보통 < 0.6mm) 폭보다 길다(난형-원통형으로 너비의 1.3-1.7(2) 배),
윗면은 거의 둥글지 않고(위에서 평평함), 끝에는 뚜렷한 반투명 가장자리가 있다. ----- 남개구리밥
분개구리밥속(Wolffia)에는 세계에 11종이 있다.
1. W. angusta Landolt
2. W. arrhiza (L.) Horkel ex Wimm. ----- 분개구리밥
3. W. australiana (Benth.) Hartog & Plas
4. W. borealis (Benth. ex Hegelm.) Landolt
5. W. brasiliensis Wedd.
6. W. columbiana H.Karst.
7. W. cylindracea Hegelm.
8. W. elongata Landolt
9. W. globosa (Roxb.) Hartog & Plas ----- 남개구리밥
10. W. microscopica (Griff.) Kurz
11. W. neglecta Landolt
[좀개구리밥속 식별 키]
1. 뿌리 부착 지점에서 발생한 잎맥이 세개이다.
2. 근관 끝이 라운드의 한가운데가 뾰족돌기가 있다. ----- 좀개구리밥
2. 근관 끝에 뾰족돌기가 없다. ----- 나도좀개구리밥
2. 엽상체 뒷면이 보라색이다. ------ 동아좀개구리밥(안동시 하천에서 발견)
1. 잎맥이 한개 뿐이고 근관 끝이 라운드이고 뾰족돌기가 없으면 L. minuta.
[개구리밥속 식별 키]
1. 엽상체 길이는 5~8mm이다. ----- 개구리밥(뿌리는 5~11개)
1. 엽상체 길이는 3mm 이하이다. ----- 점개구리밥(뿌리가 7~12개이며 제주도에 폭넓게 분포)
[비교] 남개구리밥과 분개구리밥
* 남개구리밥 : 엽상체가 투명하고 광채가 없다. 엽상체 가장가리가 투명하며 수면아래에 잠긴다.
cf. 수면아래 잠기는 엽상체 가장자리는 분개구리밥에 비해 많이 넓다.
* 분개구리밥 : 엽상체가 불투명하고 광채가 난다. 엽상체 가장자리는 수면아래 잠기나 잘 보이질 않는다.
분개구리밥 (Wolffia arrhiza (L.) Wimm.)
'17.10.8 / 부산 좀개구리밥 보기 : 나도좀개구리밥 보기 : 개구리밥 보기 : 남개구리밥 보기 :
hyunsik.tistory.com
'21.11.5.
'초본식물 >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루참나물 (8.22, 참나물속) (0) | 2023.08.29 |
---|---|
남개연꽃 (8.6 / 수련과, 개연꽃속) (0) | 2023.08.06 |
나도미국타래사초(6.22) (0) | 2023.06.23 |
나제승마 (숙은촛대승마) 신엽 (0) | 2023.05.01 |
넓은잔대 (10.13, 초롱꽃과, 잔대속) (0) | 202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