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
1. 지하경이 짧고 불분명한 종류 : 날개골풀, 별날개골풀, 참비녀골풀, 눈비녀골풀
2. 지하경 절간이 긴 종류 : 비녀골풀
3. 포복경과 식아가 발달하는 종류 : 청비녀골풀
[잎의 격막]
1. 단관질, 완전 격막형 : 눈비녀골풀, 비녀골풀, 청비녀골풀
2. 다관질, 불완전 격막형 : 날개골풀, 별날개골풀, 참비녀골풀
[종 검색표1] 출처 : 한국식물도해도감
1. 줄기는 납작하고, 날개가 있다. 잎은 납작하고, 다관질에 불완전 격말을 각는다.
2. 수술은 6개이며, 밀집화는 컵모양이다. ----- 날개골풀
2. 수술은 3개이며, 밀집화는 별모양이다.
3. 줄기는 너비 2.2~2.9mm이고, 직립하거나 비스듬히 위로 향한다. 잎은 너비 2.5~2.7mm.
삭과는 화피보다 과도하게 길다. ----- 별날개골풀
3. 줄기는 너비 1.4~1.7mm이고, 직립하거나 흔히 옆으로 누워 자란다. 잎은 너비 1.3~1.7mm.
삭과는 화피보다 짧거나 비슷하다. ----- 참비녀골풀
1. 줄기는 아원통이고, 날개는 없다. 잎은 원통형 또는 아원통형이고, 단관질에 완전한 격막을 갖는다.
2. 잎은 원통형이고, 선단부는 예두이다. ----- 눈비녀골풀
2. 잎은 아원통형이고, 선단부는 원두이다.
3. 지하경의 절간은 길고, 포복경은 없다. ----- 비녀골풀
3. 지하경의 절간은 짧고, 포복경이 발달하며, 식아를 형성한다. ----- 청비녀골풀
[줄기와 잎의 횡단면]
종명 | 눈비녀골풀 | 비녀골풀 | 청비녀골풀 | 날개골풀 | 별날개골풀 | 참비녀골풀 |
줄기 | 아원통형 | 납작한 날개 | ||||
잎 | 원통형 | 아원통형 | 납작형 |
[종별 비교표]
종명 | 눈비녀골풀 | 비녀골풀 | 청비녀골풀 | 날개골풀 | 별날개골풀 | 참비녀골풀 |
밀집화 | 5~7개 | 4~6개 | 2~4개 | 4~6개 | 4~7개 | 4~6개 |
수술 | 3개 | 3개 | 3개 | 6개 | 3개 | 3개 |
줄기 | 아원통형. 직경 1.1~1.7mm |
아원통형. 직경 3~4mm |
아원통형. 직경 1.9~2.1mm |
납작하며 날개가 있다. 너비 3.3~4.7mm |
납작하며 날개가 있다. 너비 2.2~2.9mm |
납작하며 날개가 있다. 너비 1.4~1.7mm |
경생엽 | 원통형. 직경 1.2~1.4mm 단관질에 완전 격막. 정단은 예두 |
아원통형. 직경 1.1~1.4mm. 단관질에 완전격막. 정단은 둔두 |
아원통형. 직경 2.1~3.2mm 단관질에 완전격막. 정단은 원두 |
납작하게 눌린모양. 너비 약 3.2mm. 다관질에 불완전한 격막. 정단은 예두 |
납작하게 눌린모양. 너비 약 2.6mm. 다관질에 불완전한 격막. 정단은 예두 |
납작하게 눌린모양. 너비 약 1.5mm. 다관질에 불완전한 격막. 정단은 예두 |
지하경 | 뚜렷하지 않음 | 절간이 길고 옆으로 뻗는다 |
포복경이 있고 식아를 형성 |
뚜렷하지 않음 | 뚜렷하지 않음 | 뚜렷하지 않음 |
[기재문]
학명은 Juncus wallichianus Laharpe
잎은 타원형이며 단관질이고 격막은 완전하며 2-3개가 원줄기에 달리고 원줄기보다 짧다.
정단면은 원형이며 세로로 자르며 여러 개의 격막이 보인다. 꽃은 7~8월에 피며 화서 밑의 포는 잎같고 화서보다
짧으며 두상화는 3-10개의 꽃으로 되고 옆의 꽃이 퍼진다. 화피열편은 녹색이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
이 3-3.5mm로서 내외의 것이 거의 비슷하다. 수술은 3개이며 화피 길이의 1/2정도이다. 꽃밥은 수술대보다 짧고
긴 타원형이며 암술은 1개이다. 화서에 싹이 돋는 경우가 있다. 삭과는 삼각상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5mm정도로서 화피보다 길며 갈색이고 종자는 도란형으로서 길이 0.6mm정도이다. 높이 10-50cm이고
원줄기는 둥글거나 거의 둥글고 날개가 없다. 줄기는 곧게 서고 날개는 없으며 속은 기실로서 비어 있다.
줄기는 끝 부분에서 여러 개로 가지가 갈라진다.
청비녀골풀 꽃(8.30)
[특징]1. 포복경이 있어 군락을 형성한다.2. 밀집화는 2~4개로 근연종에서 가장 적게 달린다.3. 삭과는 근연종보다 가늘고 부리모양의 돌기가 길다(0.5~0.7mm).[뿌리]1. 지하경이 짧고 불분명한 종류 :
hyunsik.tistory.com
'22.7.28.
'초본식물 >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제승마 (숙은촛대승마) 신엽 (0) | 2023.05.01 |
---|---|
넓은잔대 (10.13, 초롱꽃과, 잔대속) (0) | 2023.01.27 |
나도어저귀 (아욱과, 나도어저귀속 / Anoda cristata) (0) | 2022.09.16 |
나도송이고랭이 (6.30) (0) | 2022.09.11 |
노랑선씀바귀 (4.29) (0) | 2022.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