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나103

나도공단풀 (11.4) [비교] 공단풀, 나도공단풀 종 명엽병잎 거치꽃잎 기부공단풀(나도공단풀에 비해) 길다전체에 거치가 있다노란색나도공단풀(공단풀에 비해) 짧다하부는 거치가 없다붉은색            '18.11.4 / 제주도나도공단풀 더보기 :나도공단풀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9486공단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661 2018. 11. 15.
네모골 (10.4) [비교] 네모골, 좀네모골종명네모골(Eleocharis tetraquetra Nees ex Wight)좀네모골(Eleocharis wichurae Boeck.)줄기 단면은 예리한 4릉형. 높이는 5~90cm.단면은 둔하고 3릉~원형이지만 보통 4릉.높이는 30~60cm.인편 길이3~4mm으로 좀네모골에 비해 작다.4~6mm으로 네모골에 비해 길다.암술대암술대 기부는 수과 너비의 3/4,길이는 수과의 1/2~1/3. 유두상 돌기가 간혹 있다.길이는 수과와 비슷. 유두상 돌기가 조밀.수과 크기 길이 1.5mm, 너비 1.2mm로 좀네모골에 비해 작다. 길이 2mm, 너비 1.5mm로 네모골에 비해 크다.공통암술머리가 3개. 화피편은 6개이지만 좀네모골의 화피편은 깃털 모양이 더부룩해 지저분해 보인다.주1. .. 2018. 10. 23.
넓은잎물억새 (10.5) [잎 너비 비교]- 넓은잎물억새 : 3~5cm- 물억새 : 1~3cm- 가는잎물억새 : 0.5~1cm[비교] 물억새, 억새종 명까락줄기의 잎번식물억새없다.줄기 상부에만 잎이 달린다.길게 뻗는 지하경이 있어 옆으로 군락을 이룬다.억새있다.줄기 하부에 모여난다.짧은 지하경이 있어 줄기는 모여나는 편이다.  가는잎물억새 (9.25)[비교] 물억새, 억새종 명까락줄기의 잎번식물억새없다.줄기 상부에만 잎이 달린다.길게 뻗는 지하경이 있어 옆으로 군락을 이룬다.억새있다.줄기 하부에 모여난다.짧은 지하경이 있어 줄기는hyunsik.tistory.com 물억새(10.4)[비교] 물억새, 억새종 명까락줄기의 잎번식물억새없다.줄기 상부에만 잎이 달린다.길게 뻗는 지하경이 있어 옆으로 군락을 이룬다.억새있다.줄기 하부에 모.. 2018. 10. 10.
나도논피(9.27) [특징]1. 총은 근연종과 달리 위로 뻗는다. 2. 소수의 형질은 논피와 유사하지만 까락 매우 길며 균일하다.3. 주로 남부지방에 분포한다.[피속(일년초, 엽설이 없다) 종 검색표] 1. 영과가 성숙하여도 지속성으로 붙어 있고, 소수는 넓은 난형이고,    화서가지가 안쪽으로 구부러지며 재배한다. ----- 피1. 영과가 성숙하면 탈락하고, 소수는 난형 혹은 난상 타원형이며     화서가지가 안쪽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야생식물이다.    2. 제1호영이 등쪽으로 볼록하며 윤기가 있다. ----- 대만피    2. 제1호영이 등쪽으로 편평하고 초질이다.        3. 소수는 난형, 3.8~6mm; 줄기는 곧추서고, 좁게 포기를 이룬다. ----- 나도논피        3. 소수는 타원상 난형, 대개 2~.. 2018. 10. 1.
논피(9.9) [피속(일년초, 엽설이 없다) 종 검색표] 1. 영과가 성숙하여도 지속성으로 붙어 있고, 소수는 넓은 난형이고,    화서가지가 안쪽으로 구부러지며 재배한다. ----- 피1. 영과가 성숙하면 탈락하고, 소수는 난형 혹은 난상 타원형이며     화서가지가 안쪽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야생식물이다.    2. 제1호영이 등쪽으로 볼록하며 윤기가 있다. ----- 대만피    2. 제1호영이 등쪽으로 편평하고 초질이다.        3. 소수는 난형, 3.8~6mm; 줄기는 곧추서고, 좁게 포기를 이룬다. ----- 나도논피        3. 소수는 타원상 난형, 대개 2~4mm; 줄기는 좀 퍼져나고 성글게 포기를 이룬다.             4. 화총이 말끔하게 4열로 배열되며 가지를 내지 않고 좀 떨어져 .. 2017. 9. 20.
노랑원추리, 열매(8.1) 원추리속은 10종이 있고 재배은 2종, 자생은 8종이다. 이 중 남한에서는 5종이 자생하는데특정지역에서 자생하는 것을 제외하면 주변에서는 흔히 백운산원추리만 볼 수 있다.* 자생종(8종) - 애기원추리 : 북부, 두만강 주변 만주 - 골잎원추리 : 두만강과 만주지방 저지대 숲 가장자리나 초지 - 각시원추리 : 북부 고산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   ========================================= - 큰원추리 : 중북부의 고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 - 노랑원추리 : 서남 해안가 저지대 - 태안원추리 : 안면도 해안 주변의 저지대, 숲 가장자리나 초지 - 홍도원추리(한국특산) : 홍도, 가거도, 흑산도 - 백운산원추리(한국특산) : 중남부 저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 재배종(2.. 2017. 8. 23.
나도생강 꽃 (7.28 / 닭의장풀과, 나도생강속) '17.7.28 / 여수 / 식재 추정나도생강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533 2017. 8. 17.
누른하늘말나리(7.16, 백합과, 백합속) 하늘말나리로 통합됨.백합과 특징은 꽃이 6갈래로 갈라졌으며 심피는 3개이고 합생하고 씨방은 상위 내지 반하위이고,3개의 자방실로 이루어짐. [백합속 열매 비교]* 열매는 날개가 발달하고 구형(최하 잎은 돌려난다) : 말나리, 하늘말나리, 섬말나리* 열매는 날개가 미발달하고 원통형(잎은 촘촘하게 어긋난다) :  솔나리, 하늘나리, 큰솔나리, 날개하늘나리,                                                                                                    땅나리, 털중나리, 중나리 하늘말나리 꽃 (백합과, 백합속)학명은 Lilium tsingtauense Gilg이며 종소명 tsingtauense는 중국 '칭다오산의' 의미. 해발고.. 2017. 7. 29.
날개골풀 (6.4) [뿌리]1. 지하경이 짧고 불분명한 종류 : 날개골풀, 별날개골풀, 참비녀골풀, 눈비녀골풀2. 지하경 절간이 긴 종류 : 비녀골풀3. 포복경과 식아가 발달하는 종류 : 청비녀골풀[잎의 격막]1. 단관질, 완전 격막형 : 눈비녀골풀, 비녀골풀, 청비녀골풀2. 다관질, 불완전 격막형 : 날개골풀, 별날개골풀, 참비녀골풀[종 검색표1] 출처 : 한국식물도해도감1. 줄기는 납작하고, 날개가 있다. 잎은 납작하고, 다관질에 불완전 격말을 각는다.    2. 수술은 6개이며, 밀집화는 컵모양이다. ----- 날개골풀    2. 수술은 3개이며, 밀집화는 별모양이다.         3. 줄기는 너비 2.2~2.9mm이고, 직립하거나 비스듬히 위로 향한다. 잎은 너비 2.5~2.7mm.             삭과는 화.. 2017. 6. 11.
나도독미나리(5.28) '17.5.28 / 군산나도독미나리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7855 2017. 6. 10.
놋젓가락나물 (8.21) 투구꽃속 특징은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 조각 5개는 떨어져 달리며, 암술과 수술도 떨어져 달린다.[투구꽃속 비교] (출처는 한길숲 연구소 이호영 박사의 강의 자료)1. 덩굴성 : 국내에는 놋젓가락나물만 분포한다.종 명놋젓가락나물(A. ciliare DC.)줄바꽃(A. alboviolaceum Kom.)참줄바꽃(A. neotortuosum Nakai)가는줄돌쩌귀(A. volubile Pall.)화경의 털잔털퍼진 털 밀생퍼진 털 밀생긴 털열매(골돌) 5개, 털이 없다.3개. 짧은 털이 있다.5개. 털이 없다.5개. 털이 없다.잎 갈라짐전열세열(2회)세열(2회)세열(2회)분포전국 숲 가장자리북부지방강원 이북강원 이북 2. 꽃받침 상악이 오리형 : 진범과 흰진범은 유사하여 꽃색보다는 암술의 유모 또는 골돌의 유.. 2016. 9. 2.
눈포아풀 (6.25) 중부지방의 다소 건조한 초지에서 자생하며 줄기는 성글게 모여나며 드물게 기부에서 가지를 치기도 한다.화서 가지는 비스듬히 서고 마디에서 3~8개 나온다. 맨 아래에서 나오는 가지는 화서의 1/2~1/3 정도로 길다. 가지의 절반 위쪽으로 소수가 달린다.엽설은 2~3mm이며 소수는 2.5~5mm이다.[벼과 속(포아풀속) 검색표]1. 화서의 화축 작은 자루에 소수는 한 개씩 붙는다.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2. 소수에 한 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 겨이삭속 등    2. 소수에 2개 이상의 소화가 들어 있다.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양성) 소수는 1개뿐이다. ----- 새속, 갈풀속 등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양성) 소수는 2개 이상이다. ----- 귀리속.. 2016. 8. 29.
나도옥잠화 잎, 열매(6.5) '16.6.5. / 설악산 2016. 7. 21.
눈양지꽃 (Potentilla egedei var. groenlandica (Tratt.) Polunin) '16.6.6 / 강원도 고성 눈양지꽃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448 눈양지꽃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7831 근생엽은 1회우상복엽이며 길이 10-40cm이고 소엽은 13-19개이며 엽축에 달려 있는 소엽편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 2-5cm, 폭 7-20mm로서 표면에 털이 없거나 긴 털이 있으며 뒷면에 백색 면모가 있어 흰빛이 돌고 특히 맥위에 긴 견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포복지의 잎은 극히 작고 탁엽은 건막질이며 엽병에 붙어 있다. 꽃은 8월에 피고 지름 2-3cm로서 황색이며 소화경은 포복지에서 1개씩 액생하고 특히 윗부분에 털이 다소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끝이 뾰족.. 2016. 7. 19.
넓은잎각시붓꽃 (5.1) 각시붓꽃의 변종.각시붓꽃의 잎 너비는 2~5mm인데 반해, 넓은잎각시붓꽃은 2~10mm이다.[비교] 붓꽃절, 솔붓꽃절구분붓꽃절솔붓꽃절해당 종각시붓꽃, 넓은잎각시붓꽃솔붓꽃, 난장이붓꽃종자의 가종피 모양의 배봉선없다있다포대형이며 꽃 밑테 바로 붙지 않는다.과기시 포가 삭과를 싸지 않는다.소형이며 꽃 밑에 바로 붙는다.과기시 포가 삭과를 싼다.[비교] 각시붓꽃, 솔붓꽃, 난장이붓꽃* 각시붓꽃(전국의 산지) : 포는 2~3개로 꽃 아래 바로 붙지 않는다. 뿌리는 모여난다.* 솔붓꽃(경기도, 충청도, 대구)  : 꽃대 끝에 2개의 포가 꽃을 감싼다. 근경이 옆으로 뻗는다.* 난장이붓꽃(강원도 높은 산) : 포 가장자리는 자색을 띠고 포 아래 꽃대가 길다. 근경이 옆으로 뻗는다.[금붓꽃계열 종 검색표]금붓꽃 계열은.. 2016. 5. 26.
노랑붓꽃 (4.16) 노랑붓꽃은 금붓꽃과 달리 화경 끝에 2개의 꽃이 달리는 점(1개가 달리기도 )과 자방이 돌출된다.외화피 뒷면의 색은 노랑붓꽃은 노랑색이며, 금붓꽃은 갈색이다.[붓꽃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특산식물도감(김무열 저)1. 외화피에 장식털이 없다.     2. 화경은 차상으로 분지한다. ----- 대청부채(Iris dichotoma Pall.)    2. 화경은 분지하지 않는다.        3. 내화피가 인편으로 퇴화했다. ----- 부채붓꽃(Iris setosa Pall. ex Link)        3. 내화피가 있다.            4. 잎은 뒤틀려있다. ----- 타래붓꽃(Iris lactea var. chinensis (Fisch.) Koidz.)            4. 잎은 반듯하다. .. 2016. 5. 15.
나팔꽃 하늘색 (8.21, Pharbitis nil (L.) Choisy) '15.8.21 / 군산 2015. 11. 2.
나래박쥐나물 (6.28) 1. 줄기에 털 유형    - 유모 : 나래박쥐나물    - 무모 : 민박쥐나물, (한국산)게박쥐나물, 귀박쥐나물2. 엽병의 날개 유형   - 날개가(좁거나 넓게 발달) 있음 : 나래박쥐나물, 민박쥐나물   - 날개가 없음 : (한국산) 게박쥐나물, 귀박쥐나물3. 잎 귀모양의 기부가 귀처럼 넓어지는 유형     - 존재형 : 귀박쥐나물, 나래박쥐나물    - 부재형 : (한국산) 게박쥐나물, 민박쥐나물4. 경생엽의 수   - 3개∼5개 : (한국산) 게박쥐나물   - 6개∼10개 : 귀박쥐나물, 나래박쥐나물   - 11개 이상 : 민박쥐나물5. 개화기의 줄기의  중부잎 형태(잎의 형태는 상·중·하부잎으로 구분)   ① 삼각상극저형 : 잎의 형태가 삼각형으로 기부 열편이 다소 뾰족하고, 중앙축과 약 90°.. 2015. 9. 21.
나도제비란 (Orchis cyclochila (Franch. & Sav.) Maxim.) '15.5.25 / 전남 나도제비란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228 특산식물 잎은 1개이며 뿌리에서 나고 자루가 있다. 잎몸은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4~7cm, 폭 2.5~5cm이다. 꽃은 5~9월에 피고 보통 2개씩 달리며 연한 홍색이고 보통 줄기 끝에 2개씩 달리며 포는 좁고 긴 난형으로 길이 1~2.5cm이.. 2015. 7. 23.
노루참나물(9.7) 그늘참나물 = 가는참나물참나물 및 노루참나물과 형태적으로 유사하나, 잎이 깊게 갈라지거나 결각상으로 갈라진다노루참나물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2회 3출복엽이며 소엽은 5-9개다참나물잎은 3출엽        '14.9.7 / 정읍그늘참나물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438     http://blog.daum.net/watcher/8768427한라참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119큰참나물 보기 :대마참나물 보기 :백야기참나물 보기 :  다년초. 전국 각지엽병은 근생엽의 것은 길며 경생엽의 것은 위로 갈수록 짧아지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얼싸안는다. 잎은 3출복엽이며 소엽은 결각상으로 깊게 갈라지거나 좁.. 2015. 1. 8.
눈범꼬리 (Bistorta suffulta (Maxim.) Greene ex H.Gross) '14.07.27 / 제주도 눈범꼬리 뿌리잎 보기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넓은 난형으로 길이가 5-10cm, 폭 3-7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장저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흰색이다. 윗부분의 경생엽은 난상 심장형으로서 원줄기를 감싸며 엽액에서도 화서가 자란다.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5-7월에 피고 백색이며 화경은 높이 20-40cm 로서 3-5개의 잎이 달리고 화수(花穗)는 길이 1-3cm로서 원주형이며 꽃이 많이 달린다. 암수한그루로 이삭화서이다. 포는 막질이고 갈색이며 길이 3-4mm로서 난상 피침형이고 화피는 5개로 갈라지며 길이 2.5mm이고 소화경은 길이 1mm정도이다. 수술은 8장, 암술대 3개이다. 열매는 수과로 세모진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2.5m이고 광택이 있는 갈.. 2014. 12. 29.
눈여뀌바늘 (7.25) [기재문]학명은 Ludwigia ovalis Miq.제주도에 자생하는 다년초.잎은 호생하며 넓은 난형, 난상 원형 또는 타원상 원형이고 길이 1-2.5cm, 폭 1-2cm로서 양끝이 둔하며 측맥은 4-6쌍이고 엽병은 길이 0.7mm정도이다.꽃은 7-10월에 피고 연한 황록색이며 엽액에 1개씩 달리고 소화경이 없으며 소포는 작고 자방 밑부분에 붙어 있다. 꽃받침잎은 4개이며 삼각형이고 길이 2mm정도로서 끝이 뾰족하며 꽃잎은 없고 수술은 4개, 암술대는 1개이며 꽃중심부에 화반이 있고 자방 하위로서 끝에 꽃받침이 남아 있다.삭과는 타원형 또는 타원상 구형이며 길이 4-5mm이고 종자는 난형이며 길이 0.8mm정도로서 적갈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한쪽에 부수체가 있다.길이 20-40cm이고 보통 자갈색이 돌며 .. 2014. 11. 27.
노랑투구꽃 (Aconitum sibiricum Poir.) '14.9.13 / 정선 노랑투구꽃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728 잎은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매우 길며 퍼진 털이 있고 위로 갈수록 짧아지며 3개로 갈라지고 측열편은 다시 깊게 갈라져서 마치 5개로 갈라진 것 같다.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지며 표면에 꼬부라진 털이 나고 뒷면 맥위에 긴 털이 밀생한다. 꽃은 9월에 피며 황색이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짧고 꽃받침과 더불어 꼬부라진 털이 밀생하며 꽃받침 안쪽에 긴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꽃잎같고 황색이다. 열매는 골돌로서 3개이고 난상 타원형이며 털이 없고 암술대가 뒤로 젖혀진다. 곧게 서고, 전체에 잔털이 밀생한다. 2014. 11. 12.
나도풍란 (7.26) '14.7.26 / 제주도 상록 다년초로 착생식물. 멸종위기식물.잎은 3-5개가 2줄로 달려 마주 자라며 육질이며 두껍고 긴 타원형이고 길이 8~15cm, 폭 1.5~2.5cm로서 표면의 주맥이 들어가며 끝은 둔하거나 오목하다.꽃은 6-8월에 피고 연한 녹백색이며 화경(花莖)은 옆에서 나오고 길이 5-12cm로서 4-10개의 꽃이 총상으로 달린다. 포는 난형이며 길이 4~5mm로서 끝이 둔하고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11~13mm로서 끝이 둔하다. 꽃잎은 꽃받침보다 짧고 순판은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며 3개로 갈라지고 도란형에 끝이 둥글다. 측열편은 작고 중앙열편은 도란상 쐐기형이며 끝이 둥글고 빗살같은 톱니가 있으며 측열편과 더불어 연한 홍색 반점이 있다. 거(距)는 통같고 안으로 굽는다.줄기는.. 2014. 10. 12.
노랑토끼풀 (Trifolium campestre Schreb.) '14.5.16일 / 울릉도 노랑토끼풀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514 노랑토끼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8874 애기노랑토끼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511 일년초. 탁엽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잎은 3개의 소엽으로 이루어지며, 잎자루는 길이 5-10㎜이다. 소엽은 도란형으로 끝쪽에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피며 황색이다.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길이 3㎝ 정도의 가지 끝에 두상화서가 달리며 두상화서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1-1.5㎝, 30개 내외의 길이 5㎜인 접형화로 이루어진다. 꽃받침은 5열되며 열편은 크기가 모두 다르며 아래쪽 열편 3개는 통부보.. 2014. 7. 8.
눈개불알풀 (3.16) 아래쪽 잎은 마주나고, 위쪽 잎은 어긋나며 개화시에도 떡잎이 남아 있다. 잎은 원형으로 둔두이며,평저 또는 얕은 심장저로 3~5갈래로 천열한다. 3~5개의 둔한 거치가 있고 표면에는 긴 털이 있다.윗면에는 짧은 털이 있다. 너비 6~20mm이다.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림. 꽃자루 길이와 같고, 사상. 화관 지름 4-5mm, 4심열. 꽃받침 4개, 열편 삼각형,가장자리 긴털. 수술 2개, 암술 1개.삭과열매 구형, 꽃받침보다 짧고, 폭이 넓고, 종자 4개. 종자 길이 2.5mm, 안쪽에 골짐.식물체 전체 털. 줄기 가늘고, 포복하며, 끝이 곧게 서고, 사방으로 분지.마주나기(아래쪽),어긋나기(위쪽)개화시에도 떡잎 잔존. 원형, 둔두, 평저 또는 얕은 심장저, 3-5천열, 3-5개 둔거치,표면 긴털, 윗면 짧.. 2014. 4. 2.
넓은잎갈퀴 (Vicia japonica A.Gray) '12.10.18일 / 영덕 큰등갈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456227 벳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141 갈퀴나물 보기 : 각시갈퀴 보기 : 잎은 호생하고 5-7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수우상복엽으로서 끝이 2-3개로 갈라지는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원두 또는 요.. 2012. 11. 22.
넓은잎잠자리란 (6.9) '12.6.9 전국에 분포한다.잎은 넓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10-20㎝, 나비 3-8㎝이다.6-8월 개화. 연녹색이고 수상화서는 길이 7-15㎝로서 꽃이 많이 달리며 포는 좁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꽃보다 길거나 비슷하다. 중앙부의 꽃받침잎은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길이 4-5mm로서 1맥이 있고 옆꽃받침잎은 약간 길며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다. 측열편은 작고 예리한 삼각형이며 중앙열편은 선상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둥글다. 순판은 길이 5mm정도이고 밑부분에서 3개로 갈라지며 거(距)는 길이 7-9mm로서 원통형이고 앞으로 굽는다.높이 25-50cm이고 중앙부에 2-3개의 잎이 달리며 그 위에 포엽이 약간 있다.뿌리가 옆으로 퍼지고 그 중 큰것에는 1개의 눈이 있다. 2012. 8. 5.
넓은잎제비꽃 (Viola mirabilis L.) '12.5.1일 넓은잎제비꽃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160 2012. 5. 4.
남가새 (Tribulus terrestris L.) 남가새 뿌리잎 보기 : 남가새 열매 보기 : 남가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325 2011. 8.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