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207 뿔이삭풀 '17.5.14 / 부안 2017. 6. 4. 진들피 '17.5.14 / 진안 진들피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7815 2017. 6. 4. 진들피 '17.5.14 / 진안 진들피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7814 2017. 6. 4. 긴까락빕새귀리 '17.5.14 / 부안 까락빕새귀리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7807 2017. 6. 2. 유럽육절보리풀 '17.4.23 / 진안 2017. 5. 27. 뿔이삭풀 '17.4.9 / 신안 뿔이삭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7652 2017. 5. 20. 뿔이삭풀 '17.4.16 / 부안 2017. 5. 12. 물그령(9.25) '16.9.25 / 전북물그령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756 2016. 11. 2. 까락구주개밀 까락구주개밀 열매 '23.7.23 hyunsik.tistory.com '16.6.13 / 군산 까락구주개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183 구주개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7232 2016. 8. 19. 각시미꾸리광이(5.30) [벼과 속 검색표]1. 제1포영과 제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 겨이삭속, 산새풀속, 갈풀속, 향모속 등1. 제1포영과 제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2.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 갈대속 2.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없다.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소화는 1개 있다. 4. 한 개의 소수에 한개의 임성소화만 있다. ----- 산기장속, 담상이삭풀속, 쥐꼬리새속 4. 한 개의 소수에 2개의 소화가 있으나 임성소화는 1개뿐이다. ----- 기장속, 좀조개풀속,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소화는 2개 이상 여러 개이다. .. 2016. 7. 15. 진들피 '16.5.29 / 진안 진들피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415 2016. 7. 12. 수크령 '15.9.15 / 완산 2016. 5. 24. 대만피(9.5) 논피에 비해 제포영의 길이가 소수 길이의 1/2이하이며 첫째 호영이 성숙하면 광택이 나면서 볼록해진다.[피속 종 검색표] - 일년초 -1. 영과가 성숙하여도 지속성으로 붙어 있고, 소수는 넓은 난형이고, 화서가지가 안쪽으로 구부러지며 재배한다. ----- 피1. 영과가 성숙하면 탈락하고, 소수는 난형 혹은 난상 타원형이며 화서가지가 안쪽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야생식물이다. 2. 제1호영이 등쪽으로 볼록하며 윤기가 있다. ----- 대만피 2. 제1호영이 등쪽으로 편평하고 초질이다. 3. 소수는 난형, 3.8~6mm; 줄기는 곧추서고, 좁게 포기를 이룬다. ----- 나도논피 3. 소수는 타원상 난형, 대개 2~4mm; 줄기는 좀 퍼져나고 성글게 포기를 이룬다.. 2016. 4. 10. 큰뚝새풀(6.28) 큰조아재비 (산조아재비속)산조아재비속이며 동속에는 외래식물인 작은조아재비와 북방계 식물인 산조아재비가 있다.(조아재비는 강아지풀속임) 멀리서 보면 큰뚝새풀과 유사하다. 유럽에서 목초용으로 도입되었으나hyunsik.tistory.com '15.6.28 / 무주 2015. 12. 4. 털조릿대풀 '15.7.4 / 태안 털조릿대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661 2015. 11. 15. 갯드렁새(8.29) [갯드렁새 근연속과의 검색표] 출처 :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좀갯드렁새와 갯드렁새의 분류학적 실체1. 일년생 또는 다년생으로 엽설은 길이 3-10(-15) ㎜이며, 예두 또는 찢어진 모양이다; 소수는 길이 5-12 ㎜이며, 소화는 5∼20개이다. ----- Diplachne 갯드렁새속1. 다년생으로 엽설은 길이 0.5-3 ㎜이며, 가는 털이 있다; 소수는 길이 1-5 ㎜이며, 소화는 2∼5개이다. ----- Leptochloa 드렁새속[갯드렁새속 근연분류군과의 검색표]1. 다년생이다. ----- D. fusca subsp. fusca(원종) 1. 일년생이다. 2. 제2포영은 길이 1.5-2.5㎜; 호영은 길이 2-3.5 ㎜,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지고 가시 모양의 돌기가 발달.. 2015. 11. 12. 담상이삭풀 담상이삭풀 (담상이삭풀속)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 hyunsik.tistory.com '15.8.29 / 태안 담상이삭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553 2015. 11. 6. 조릿대풀 '15.8.29 / 태안 조릿대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926 조릿대풀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927 털조릿대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661 2015. 10. 30. 숲개밀 '15.8.23 / 광주 숲개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556 http://blog.daum.net/watcher/8765656 민숲개밀 보기 : 2015. 10. 18. 민바랭이새(9.6) '15.9.6 / 완산군 2015. 10. 16. 제주조릿대(조릿대속/7.27) [기재문] 학명은 Sasa quelpaertensis Nakai이며 제주도에 분포하고 한반도 특산식물이다. 부식질이 많은 사질양토의 산지 위턱에서 자라는 상록 목본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가 길게 뻗는다. 줄기는 높이 10~80cm, 지름 3~4mm이고 털이 없으며 녹색이고 마디가 도드라지며 마디 주위가 약간 자주색이다. 잎집 모양의 잎은 길이 5~8.7cm, 지름 6mm 정도이고 끝에 엽편이 있으며 기부가 둥글고 잎집의 견모는 잘 발달하지 않으며 때로 빈약하게 나타난다. 잎은 가지 끝에 2~3개가 붙어 있다. 잎몸은 길이 7~20cm, 너비 1.5~2cm의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넓게 뾰족하다. 잎 윗면은 연한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아랫면은 회녹색이고 잔털이 약간.. 2014. 10. 27. 흰겨이삭(6.29) '14.6.29 흰겨이삭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554 2014. 8. 5. 조아재비 '13.9.18일 / 정읍 조아재비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405 http://blog.daum.net/watcher/8764384 2013. 10. 6. 수염개밀 '13.8.4일 2013. 8. 16. 카나리새풀(6.9) '13.6.9일 / 대구 카나리새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115애기카나리새풀 보기 :날개카나리새풀 보기 : 2013. 7. 14. 띠 '13.5.8일 / 포항 2013. 7. 3. 왕잔디 '13.5.6일 / 포항 왕잔디 종자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951 2013. 5. 26. 진퍼리새 '12.9.2일 / 대구 2012. 9. 27. 그령 '12.9.2일 / 대구 그령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794597 2012. 9. 27. 무망시리아수수새 '12.9.2일 / 대구 시리아수수새비하여 무병소수에는 까락이 없다. 무망시리아수수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999 2012. 9. 26.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