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벼과207

물억새(10.4) [비교] 물억새, 억새종 명까락줄기의 잎번식물억새없다.줄기 상부에만 잎이 달린다.길게 뻗는 지하경이 있어 옆으로 군락을 이룬다.억새있다.줄기 하부에 모여난다.짧은 지하경이 있어 줄기는 모여나는 편이다.[잎 너비 비교]- 넓은잎물억새 : 3~5cm- 물억새 : 1~3cm- 가는잎물억새 : 0.5~1cm 넓은잎물억새 (10.5)[잎 너비 비교]- 넓은잎물억새 : 3~5cm- 물억새 : 1~3cm- 가는잎물억새 : 0.5~1cm[비교] 물억새, 억새종 명까락줄기의 잎번식물억새없다.줄기 상부에만 잎이 달린다.길게 뻗는 지하경이 있어 옆으로 군hyunsik.tistory.com 가는잎물억새 (9.25)[비교] 물억새, 억새종 명까락줄기의 잎번식물억새없다.줄기 상부에만 잎이 달린다.길게 뻗는 지하경이 있어 옆으로 .. 2022. 5. 11.
큰개사탕수수 '18.10.10 2022. 5. 9.
'19.5.23 2022. 4. 19.
염주 '18.8.18 2022. 3. 29.
고려용수염 '18.7.18 2022. 3. 16.
잠자리피 (잠자리피속)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4. 제1, 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5.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5.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없다. 6.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가 1개 있다. 6.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는 2개 이상이다. 7. 호영에 까락이 발달한다. 8. 호영의 등 쪽 중앙부근에서 까락이 생긴다. 8. 호영의 끝 쪽에서 까.. 2022. 3. 2.
큰김의털(5.27, 김의털속) [김의털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벼과(2011년)1. 1년생으로 근경이 없다.    2. 호영은 긴 털이 없다. ----- 들묵색(들묵새속으로 변경)    2. 호영은 위쪽에 긴 털이 있다. ----- 큰묵새(들묵새속으로 변경)1. 다년생으로 근경이 있다.    3. 잎 폭이 0.5~3.0mm로 가늘다.         4. 잎은 아래쪽의 폭이 좁은 잎과 위쪽의 폭이 넓은 잎 두 가지 종류가 있다. ----- 사방김의털         4. 잎은 폭이 3mm이하로 같은 모양의 잎을 갖는다.              5. 제1포영은 제1소화에 비해 극히 짧고 난형이며 둔두이다.                   6. 호영의 까락은 길이 5~12mm이다. 화서의 중축 마디에서 가지는 1개씩 난.. 2022. 2. 28.
능수참새그령(5.27, 그령속) [그령속의 종 검색표1]1. 화서에 황색 선점이 뚜렷이 있다.    2. 소수 자루에 선점이 있다. ----- 그령    2. 소수 포영과 호영에 선점이 있다.        3. 식물체는 작고, 소수에 소화가 3~16개 있다. ----- 좀새그령        3. 식물체는 크고, 소수에 소화가 10~40개 있다. ----- 참새그령1. 화서에 황색 선점이 없거나 희미하다.    2. 다년초이다. ----- 능수참새그령    2. 1년초이다.         3. 화서 가지짬에 긴 털이 있다. ----- 큰비노리        3. 화서 가지짬에 털이 없다.            4. 화서는 적자색이 강하고, 소수는 2mm 미만이다. ----- 각시그령            4. 화서는 암녹색이고, 소수는 2mm.. 2022. 2. 27.
진들피(미꾸리광이속/5.28) 동속에는 왕미꾸리광이, 대택광이, 육절보리풀 등이 있다.'17.5.28 2022. 2. 26.
우산잔디 '17.7.22 2022. 2. 18.
미국개기장 (기장속) 학명은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일년초. 개기장에 비해 교란된 지역에 자라고 소수가 소수축에 붙는다. 소수는 좁은 난형으로 3~4mm, 제1포영은 소수의 1/6~1/3이며 제2포영은 소수 길이와 같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길가와 빈터, 하천 변 등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 아랫부분이 비스듬히 서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많은 줄기가 나온다. 높이는 30~100cm이다. 잎집은 털이 없으며, 잎몸은 길이 20~40cm, 너비 10~15mm이다. 엽초에 세로줄이 있고 잎혀는 1~2mm로 끝은 털이 있다. 전체 꽃차례에는 긴 가지가 달리고, 다시 갈라지며, 전체 길이는 10~25cm이다. 작은이삭은 자루가 길이 2.5mm로 길고, 2개의 꽃이 들어 있으며, 하나는.. 2022. 2. 12.
물뚝새(10.24) [비교] 물뚝새, 좀물뚝새 소수좀물뚝새 : 화서는 길이 1~3cm이고, 소수는 녹색이며 호영에 털이 있다물뚝새 : 화서는 3~13cm이며 좀물뚝새에 비해 굵고, 소수는 흔히 자주빛을 띠며 호영에 짧은 털이 있거나 없다. 물뚝새(9.27)[비교] 물뚝새, 좀물뚝새 소수좀물뚝새 : 화서는 길이 1~3cm이고, 소수는 녹색이며 호영에 털이 있다물뚝새 : 화서는 3~13cm이며 좀물뚝새에 비해 굵고, 소수는 흔히 자주빛을 띠며 호영에 짧은 털이hyunsik.tistory.com 물뚝새(10.9)[비교] 물뚝새, 좀물뚝새 소수좀물뚝새 : 화서는 길이 1~3cm이고, 소수는 녹색이며 호영에 털이 있다물뚝새 : 화서는 3~13cm이며 좀물뚝새에 비해 굵고, 소수는 흔히 자주빛을 띠며 호영에 짧은 털이hyunsik.t.. 2022. 1. 20.
잔디바랭이 (9.24/ 잔디바랭이속) [벼과 속 검색표]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2. 소수는 자루가 없다.  ----- 염소풀속, 외대쇠치기아재비속, 수염개밀속, 호밀풀속,                                                갯잠자리피속, 갯보리속    2. 소수는 자루가 있다.        3. 자루 중간에 소수가 달린다. ------ 물잔디속        3. 자루 끝에 소수가 달린다.            4. 소수 기부에 긴 총포모가 있다.  ------  수크령속            4. 소수 기부에 총포모가 없다.  ------  잔디속, 호밀속, 밀속, 호오리새속, 숲개밀속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2. 잎 겨드랑이에 총이 달린다.         3. 화축과 소수의 폭이.. 2021. 11. 24.
좀겨풀(9.25)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3. 소수의 기부에 백색 긴 털이나 자모가 발달한다.  -----  띠속, 강아지풀속        3. 소수의 기부에 털이 없다.            4. 포영은 소화보다 적다.  -----  보리속, 나도잔디속, 갯율무속, 좀물뚝새속, 도랭이피속            4. 포영은 소화보다 크며 소화를 둘러 싼다.  -----  산조아재비속, 쇠돌피속, 뚝새풀속, 향기풀속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  줄속, 벼속, 겨풀속      .. 2021. 11. 23.
큰참새피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2. 잎 겨드랑이에 총이 달린다. 2. 꽃자루 끝에 총이 달린다. 3. 총이 윤생상 또는 2~3층을 이룬다. 4. 총이 꽃자루 끝에 2개 이상 정생한다. 5. 총이 2개가 밀접하여 한 개의 화수처럼 보인다. 5. 총이 여러 개가 정생한다. 4. 총이 2개 이상 층을 이루며 무병소수와 유병소수, 단병소수와 장병소수가 짝을 짓는다. 3. 총이 꽃자루 끝에서 아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한다. 4. 총이 한쪽으로 치우쳐 붙거나 우상으로 배열된다. ----- 나도개피속, 참새피속 나도개피속 참새피속 제1포영은 퇴화하여 기반고 합쳐져 소수 밑에 흰색의 환상부속체를 만들며 소수자루 끝에 긴 총포모가 있다. 제1포영은 소실되었.. 2021. 11. 19.
대새풀, 뿌리(9.5) [기재문]학명은 Cleistogenes hackelii (Honda) Honda전국 숲속의 건조한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엽신은 3~15cm, 너비 3~5mm이다. 3~15cm 3~5mm 엽초는 엽신보다 짧고 절간 길이와 비슷하다.엽설은 길이 0.3~0.5mm, 가장자리는 짧은 털이 있다. 화서는 2~3개의 총(raceme)이 중축에 달려 전체가 원추형을이루며 길이 4~8cm, 가지에 1~4개의 소수가 성기게 달린다. 소수는 길이 5~9mm, 2~5개의 소화가 있다.제1포영은 길이 0.7~2.0mm, 1맥, 제2포영은 길이 1.5~3.0mm, 1맥이다. 호영은 길이 4~5mm, 5맥, 가장자리하반부에 털이 있고, 끝은 톱니 2개로 갈라지며 사이에서 길이 2~4mm의 까락이 나온다. 내영은 호영과 .. 2021. 10. 17.
좀보리풀(5.18) '21.5.18 2021. 10. 2.
꼬인새 꼬인새 (꼬인새속) 다년초. 외래식물. 포영(1, 2포영의 길이는 같다)은 소수보다 길며, 소수는 작은 소수가 2개씩 쌍으로 4~5개 정도 달리고 소화는 4~9개정도 된다. (2번째 소화는 짧은 자루가 있고, 소수 끝에 달리는 hyunsik.tistory.com '21.6.27 2021. 9. 29.
진들피 '21.4.26 2021. 7. 30.
진들피 '21.4.26 2021. 6. 26.
큰이삭풀 '19.4.17 2021. 5. 15.
개밀 '19.4.13 2021. 5. 13.
새포아풀(2.28) [포아풀속 종 검색표1]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1 벼과1. 화서는 매끈하고, 소화의 기반은 털이 있거나 없다.    2. 줄기 기부는 부풀어 구근처럼 되고, 소화기반의 털은 드물게 있거나 없다.        소수는 무성아를 형성한다. --- 이삭포아풀 P. bulbosa subsp. vivipara    2. 줄기 기부는 구근처럼 되지 않으며, 소화기반의 털은 없다.        소수는 무성아를 형성하지 않는다. --- 새포아풀 P. annua1. 화서는 거칠고, 소화의 기반에는 털이 있다.    3. 잎목 가장자리에 연모가 있고, 내영 용골에 털 또는 자상돌기가 있다.         4. 호영 맥과 표면에 전체적으로 털이 있고, 내영의 두 용골 사이에 털이 있다.             5. 줄기 기.. 2021. 4. 25.
수크령 '20.10.22 2021. 4. 10.
물뚝새(9.27) [비교] 물뚝새, 좀물뚝새 소수좀물뚝새 : 화서는 길이 1~3cm이고, 소수는 녹색이며 호영에 털이 있다물뚝새 : 화서는 3~13cm이며 좀물뚝새에 비해 굵고, 소수는 흔히 자주빛을 띠며 호영에 짧은 털이 있거나 없다. 물뚝새(10.24)[비교] 물뚝새, 좀물뚝새 소수좀물뚝새 : 화서는 길이 1~3cm이고, 소수는 녹색이며 호영에 털이 있다물뚝새 : 화서는 3~13cm이며 좀물뚝새에 비해 굵고, 소수는 흔히 자주빛을 띠며 호영에 짧은 털이hyunsik.tistory.com'19.9.27 2021. 4. 1.
조아재비 '19.8.18 2021. 2. 27.
민주름조개풀 화서축에 털이 없다. '19.8.17 2021. 2. 26.
흰줄갈풀(5.30) 갈풀의 변종'20.5.30 2021. 2. 9.
들비노리(10.21) [비교] 비노리, 큰비노리, 들비노리종명비노리큰비노리들비노리화서개방형. 화서축은 무모2차 가지를 내기도 한다.화서가 수평으로 퍼진다.개방형. 화서축에 가는 털이 있다.2차 가지를 내기도 한다.개방형 또는 가끔 응축1차가지만 난다.개화기6~9월7~9월8~10월소수길이는 2.5~4.5mm이며소화는 3~10개. 암녹색길이는 3~10mm이며소화는 4~14개길이는 4.5~8mm이며소화는 5~18개. 어두운 홍자색줄기~ 60cm~ 60cm~ 30cm엽초상부는 무모이거나 몇 개의짧은 털이 있다.상부는 잔털이 있다.구부는 2~2.5mm의수염털이 있거나 없다.포영제1포영은 약 0.6mm제2포영은 1mm제1포영은 약 0.4~0.9mm제2포영은 0.7~1.3mm제1포영은 약 0.5~1.5mm제2포영은 1~2mm호영길이 1... 2021. 2. 1.
참쌀새(5.19) '20.5.19 2021. 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