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벼과/벼과

큰새포아풀

by 곰보배추 2022. 9. 13.

습지에서 자생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축축한 임도에서도 자생하는 것 같다.

근연분류군과의검색표

1. 화서와 가지는 짧고 뻣뻣한 털이 없어 매끈하다.
   2. 소수는 무성아를 형성한다 ··································································· P. bulbosa subsp. vivipara 이삭포아풀

   2. 소수는 무성아를 형성하지 않는다 ··························································P. annua 새포아풀

 

1. 화서와 가지는 짧고 뻣뻣한 털이 있어 거칠다.

     3. 잎목 가장자리에 연모가 없다.

         4. 줄기의 절간 이상의 긴 지하경을 가진다.

             5. 줄기의 마디는 2−3개이다.

                 6. 잎몸 표면과 드물게 잎집에 털이 있다 ··················································· P. matsumurae 가는포아풀

                 6. 잎몸 표면과 잎집에 털이 없다 ·····························································P. pratensis 왕포아풀

            5. 줄기의 마디는 5−9개이다.

                     7. 잎혀는 재두, 길이 0.5 mm이상; 호영 측맥은 뚜렷하지 않다.

                         8. 소화축과 내영의 두 용골 사이에 연모가 있다 ····································P. nemoralis 선포아풀

                         8. 소화축과 내영의 두 용골 사이에 연모가 없다 ····································P. compressa 좀포아풀

                    7. 잎혀는 둔두, 길이 0.2−0.3 mm; 호영 측맥은 뚜렷하다·····························P. takeshimana 섬포아풀

         4. 거의 없는 듯한 짧고 굵은 지하경을 가진다.

                            9. 제 1 포영은 1맥; 호영의 측맥은 뚜렷하다 ······································P. trivialis 큰새포아풀

                            9. 제 1 포영은 3맥; 호영의 측맥은 뚜렷하지 않다.

                                10. 잎혀는 둔두, 길이 0.7−2.0 mm이다 ·········································P. viridula 청포아풀

                                10. 잎혀는 예두, 길이 2.5 mm이상이다.

                                      11. 마디는 3−4개; 잎집은 짧고 뻣뻣한 털이 있어 거칠다 ··············P. sphondylodes 포아풀

                                      11. 마디는 6−8개; 잎집은 짧고 뻣뻣한 털이 없어 매끈하다 ···········P. palustris 눈포아풀

     3. 잎목 가장자리에 연모가 있다.

         12. 호영은 맥을 제외한 표면에 연모가 없음; 내영의 두 용골 사이에 연모가 없다.

               13. 줄기는 납작하지 않음; 잎혀는 재두; 소화축은 거침; 호영의 측맥은 뚜렷하지 않다. ····· P. hisauchii 구내풀

               13. 줄기는 납작함; 잎혀는 예두; 소화축은 매끈 함; 호영의 측맥은 뚜렷하다 ············· P. nipponica 큰꾸러미풀             12. 호영 맥과 표면에 전체적으로 연모가 있음; 내영의 두 용골 사이에 연모가 있다.

                  14. 줄기의 기부가 부풀지 않고 일정하다 ·························· P. acroleuca 실포아풀

                  14. 줄기 기부의 1−4개의 마디 사이가 부풀어 올라 염주모양을 이룬다.

                       15. 호영의 기반에 털이 있다 ···········P. acroleuca var. submoniliformis 마디포아풀

                       15. 호영의 기반에 털이 없다 ·········· P. tuberifera 성긴포아풀

'22.5.18

'벼과 >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도잔디 (나도잔디속)  (0) 2022.11.18
단망개밀(소수 유모형/5.26)  (0) 2022.09.19
방울새풀  (0) 2022.08.09
단망개밀(소수 유모형/5.15)  (0) 2022.05.17
대새풀  (0) 2021.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