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벼과/벼과

우산잔디 (우산잔디속)

by 곰보배추 2023. 7. 4.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2. 소수는 자루가 없다.  ----- 염소풀속, 외대쇠치기아재비속, 수염개밀속, 호밀풀속,

                                                갯잠자리피속, 갯보리속

    2. 소수는 자루가 있다.

        3. 자루 중간에 소수가 달린다. ------ 물잔디속

        3. 자루 끝에 소수가 달린다.

            4. 소수 기부에 긴 총포모가 있다.  ------  수크령속

            4. 소수 기부에 총포모가 없다.  ------  잔디속, 호밀속, 밀속, 호오리새속, 숲개밀속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2. 잎 겨드랑이에 총이 달린다.

         3. 화축과 소수의 폭이 거의 같다.  -----  뿔이삭풀속, 쇠치기풀속

         3. 화축은 소수의 폭보다 가늘다.  -----  쇠풀속, 나도솔새속, 개솔새속, 솔새속

    2. 꽃자루 끝에 총이 달린다.

         3. 총이 윤생상 또는 2~3층을 이룬다.

             4. 총이 꽃자루 끝에 2개 이상 정생한다.

                 5. 총이 2개가 밀접하여 한 개의 화수처럼 보인다.  ------  쇠보리속

                 5. 총이 여러 개가 정생한다.  ------  바랭이속, 잔디바랭이속, 우산잔디속, 왕바랭이속,

                                                                        나도바랭이속, 지네발새속

바랭이속 잔디바랭이속 우산잔디속
  농경지나 도시주변에 자라며 소수는
  피침형~장타원형, 제1포영이 작다.
  산지 초원 습지에 자라며 소수는
  1소화로 되며 긴까락이 달린다. 
  줄기는 지면에 포복하며 잔디처럼
  보이고, 소수는 1소화로 되며 포영은
  끝이 뾰족하다.
왕바랭이속 나도바랭이속 지네발새속
  농경지, 도시주변 공한지에 자라며
  소수는 납작하고 여러 개의 소화가
  있으며 까락은 없다.
  화서가 긴 털로 덮이며 소수는 3~4개의    소화로 되지만 최하소화만 양성이고
  소화마다 잔털이 있다.
  화축의 끝은 소수가 없어서 발톱모양
  으로 노출되며 소수는 3~5개의 소화가      있다. 제1포영의 끝은 까락이 된다.

            4. 총이 2개 이상 층을 이루며 무병소수와 유병소수, 단병소수와 장병소수가 짝을 짓는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3.6.4

'벼과 >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는포아풀  (0) 2023.07.08
큰겨이삭(7.2)  (0) 2023.07.08
좀포아풀(7.2)  (0) 2023.07.03
개밀(6.11)  (0) 2023.06.28
좀포아풀 소수(6.25)  (0) 2023.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