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가

강활 (산형과, 당귀속/8.7)

by 곰보배추 2016. 9. 13.
 

[비교] 지리강활, 강활, 참당귀 잎

[지리강활] 소엽이 만나는 부위에 보라색을 띠며 정소엽은 자루가 있다. [강활] 소엽이 만나는 부위가 보라색을 띠며 엽축이 흔히 굽고, 엽연은 거치가 크고 날카롭다. [참당귀] 소엽의 자루에 날

hyunsik.tistory.com

 

강활 신엽(5.10)

[비교] 강활, 지리강활* 강활  나물. 소엽의 분지점이 보라색을 띠며 엽축이 흔히 굽고, 엽연은 거치가 크고 날카롭다. * 지리강활  독초. 소엽의 분지점이 보라색을 띤다. 강활 (산형과, 당귀속

hyunsik.tistory.com

 

지리강활

'22.7.9

hyunsik.tistory.com

[기재문]

학명은 Pleurospermum praeteritum Kitag.

계곡 근처의 그늘진 곳 또는 습한 곳에 생육한다. 식물체는 최소 0.8m에서 최대 1.2m까지 자란다.

뿌리는 수염뿌리이며, 비후하다. 줄기는 직립하며, 기부는 자색이다. 줄기의 지름은 0.6cm이며, 속이 비어 있고,

상부에서 분지하며, 표면에 주름이 나타난다.

엽축은 흔히 굽어진 형태이며, 엽병이 길게 발달하고, 엽초는 좁은 장타원형이다.

엽신은 넓은 난형 또는 삼각형이며, 상면에 강모가 산생하고, 하면은 무모이다.

소엽에는 소엽병이 발달되어 있으며, 최종열편은 넓은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이다. 근생엽은 대개 조락한다.

화경은 소수이며, 전체에 강모가 산생한다. 총포편은 1개이거나 없으며,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다.

소화경은 길이가 균일하지 않다. 꽃은 악편이 발달하지 않으며, 화판은 백색이고, 도란형이다.

8월에서 9월 사이에 개화하며, 결실기는 10월이다. 우리나라 강원도에 분포한다.

 

 

 

 

 

 

 

 

 

 

 

 

 

 

'15.8.7 / 평창

강활 열매 보기 :

지리강활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404

구릿대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