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표준식물목록에 의하면,
구실바위취속은 구실바위취 1종이고
범의귀속(= 바위떡풀속)은 톱바위취, 범의귀, 흰바위취, 구름범의귀, 바위떡풀, 털바위떡풀,
바위취, 씨눈바위취 8종이다. (나도범의귀는 나도범의귀속이다.)
이 중에서 국내에 자생하는 종은 구실바위취, 참바위취, 바위떡풀, 털바위떡풀
그리고 원예종으로 심는 바위취가 있으며 나머지 종은 북부지방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기재문]
유사종의 잎은 심장저이지만 유일하게 참바위치는 유저인 게 특징이다.
높은 산 고지대 바위에서 드물게 자라는 특산식물.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겉에 샘털이 있다.
뿌리잎은 타원형 또는 둥근 타원형이며 유저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1~4cm이다. 줄기잎은 1~2장이며 작다. 잎 뒷면은 보통 붉은색을 띤다.
꽃은 흰색이다. 꽃자루는 가늘며, 길이 3~12mm, 샘털이 있다.
* 참바위치는 바위떡풀에 비해서 잎은 타원형 또는 둥근 타원형으로서 더욱 길쭉하며,
잎 가장자리의 톱니가 불규칙하므로 구분된다.
[검색표]
1. 잎은 타원형이고 유저 ----- 참바위취
1. 잎은 원형~신장형이고 심장저 --- 나머지
구실바위취 (범의귀과, 구실바위취속/7.9)
[기재문]학명은 Saxifraga octopetala Nakai금강산 이북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잎은 모두 뿌리에서 돋으며 엽병은 길이 11-21cm로서 털이 있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엽신은 신장형이고 폭 5-8.5cm로서 난
hyunsik.tistory.com
바위취 (범위귀과, 바위떡풀속)
학명은 Saxifraga stolonifera Meerb.이며 종소명 stolonifera는 '포복지가 있는' 의미. 상록성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옆으로 긴다. 높이 8~45cm까지 자란다. 뿌리잎은 모여나고, 잎자루는 길이 5~10cm쯤으
hyunsik.tistory.com
바위떡풀 신엽(4.17)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의하면, 구실바위취속은 구실바위취 1종이고범의귀속(이전엔 바위떡풀속)은 톱바위취, 범의귀, 흰바위취, 구름범의귀, 바위떡풀, 털바위떡풀,바위취, 씨눈바위취 8종이다.
hyunsik.tistory.com
참바위취 (10.6 / 범의귀과, 범의귀속)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의하면, 구실바위취속은 구실바위취 1종이고범의귀속(= 바위떡풀속)은 톱바위취, 범의귀, 흰바위취, 구름범의귀, 바위떡풀, 털바위떡풀,바위취, 씨눈바위취 8종이다. (나도
hyunsik.tistory.com
'24.7.31.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배암차즈기(8.11) (0) | 2024.12.27 |
---|---|
진저리고사리(7.31, 관중속) (0) | 2024.12.27 |
나래박쥐나물 꽃(7.31) (0) | 2024.12.27 |
꿩의다리아재비(5.13) (1) | 2024.12.27 |
새며느리밥풀(7.31) (0) | 2024.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