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표준식물목록에 의하면, 구실바위취속은 구실바위취 1종이고
범의귀속(이전엔 바위떡풀속)은 톱바위취, 범의귀, 흰바위취, 구름범의귀, 바위떡풀, 털바위떡풀,
바위취, 씨눈바위취 8종이다. (나도범의귀는 나도범의귀속이다.)
이 중에서 국내에 자생하는 종은 구실바위취, 참바위취, 바위떡풀, 털바위떡풀
그리고 원예종으로 심는 바위취가 있으며 나머지 종은 북부지방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 참바위치는 바위떡풀에 비해서 잎은 타원형 또는 둥근 타원형으로서 더욱 길쭉하며,
잎 가장자리의 톱니가 불규칙하므로 구분된다.
[검색표]
1. 잎은 타원형이고 유저 ----- 참바위취
1. 잎은 원형~신장형이고 심장저 --- 나머지
털바위떡풀은 바위떡풀에 비해 잎몸과 꽃자루에 긴 털이 빽빽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바위취 (범위귀과, 바위떡풀속)
학명은 Saxifraga stolonifera Meerb.이며 종소명 stolonifera는 '포복지가 있는' 의미. 상록성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옆으로 긴다. 높이 8~45cm까지 자란다. 뿌리잎은 모여나고, 잎자루는 길이 5~10cm쯤으
hyunsik.tistory.com
바위떡풀 (범의귀과, 범의귀속 = 바위떡풀속)
높은 산의 습한 바위에 자란다. 줄기는 없다. 잎은 둥글거나 둥근 신장형, 길이 3~13cm, 폭 4~15cm, 가장자리가 11~17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잎자루는 길이 5~25cm, 보통 길고 거친 털이 있다. 꽃줄기는
hyunsik.tistory.com
털바위떡풀 (범의귀과, 바위떡풀속)
학명은 Saxifraga fortunei var. pilosissima Nakai. 바위떡풀에 비해 잎자루에 털이 많음 근생엽은 심원형이고 길이 3-15㎝, 폭 4-20㎝로서 가장자리가 얕게 갈라지며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털이 거의 없거나
hyunsik.tistory.com
참바위취 (범의귀과, 범의귀속)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의하면, 구실바위취속은 구실바위취 1종이고 범의귀속(= 바위떡풀속)은 톱바위취, 범의귀, 흰바위취, 구름범의귀, 바위떡풀, 털바위떡풀, 바위취, 씨눈바위취 8종이다. (나도
hyunsik.tistory.com
구실바위취 (범의귀과, 구실바위취속)
학명은 Saxifraga octopetala Nakai 금강산 이북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잎은 모두 뿌리에서 돋으며 엽병은 길이 11-21cm로서 털이 있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엽신은 신장형이고 폭 5-8.5cm로서 난형 또는
hyunsik.tistory.com
바위떡풀 신엽(무모형, 유모형/5.10)
털바위떡풀은 울릉도에 자생하고 암술모양이 바위떡풀과 다르다 한다. 털바위떡풀 (10.17)학명은 Saxifraga fortunei var. pilosissima Nakai.바위떡풀에 비해 잎자루에 털이 많음근생엽은 심원형이고
hyunsik.tistory.com
'16.4.17
'초본식물 > 뿌리잎'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래완두 신엽(5.8, 콩과, 나비나물속) (0) | 2024.02.17 |
---|---|
참당귀 신엽 (산형과, 당귀속/5.8) (0) | 2024.02.17 |
송이풀 신엽 (현삼과, 송이풀속/5.11) (0) | 2024.02.12 |
눈빛승마 신엽(4.17) (0) | 2024.02.07 |
오리방풀 신엽(7.24) (0) | 202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