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룹명/최근사진

진저리고사리(7.31, 관중속)

by 곰보배추 2024. 12. 27.

[특징]

1. 엽신은 오각형이며 4회 우상이다.

2. 근경은 옆으로 짧게 뻗는다.

3. 엽병 기부는 인편이 밀생한다.

4. 포자낭군은 소맥 끝에 달리며 포막은 신장형이다.

[관중속의 종 검색표]

1. 소우축이나 열편의 중륵에는 기부가 주머니모양인 비늘조각이 없다.

    2.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또는 1회 우상으로 갈라지나 잎몸 하부에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3.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2. 잎몸은 2회 이상 우상으로 갈라진다.

        3. 잎몸은 긴타원상 피침형이며, 잎에 황색 샘털이 있다. ----- 주저리고사리

        3. 잎몸은 난상 피침형이거나 삼각상이며, 잎에 샘털이 없다.

            4. 열편 톱니의 끝이 뾰족하다.

                 5. 뿌리줄기는 짧게 기고, 비늘조각은 오래 남는다. 

                     6. 최하우편의 하향 제1소우편이 가장 크고, 최하우편은 삼각형 또는

                         삼각상 난형으로 된다. ----- 퍼진고사리

                     6. 최하우편의 하향 제1소우편이 두번째보다 작고,

                         최하우편은 장타원상 피침형이다. ----- 바위틈고사리

                 5. 뿌리줄기는 길게 벋고, 비늘조각은 일찍 떨어진다. ----- 진저리고사리

            4. 열편 톱니의 끝이 둔하다.

                 5. 중축과 우측은 홈으로 연결되지 않고, 막질 비늘조각이 밀생하며,

                     다세포성 털이 있다. ----- 흰비늘고사리

                 5. 중축과 우측은 홈으로 연결되고, 막질 비늘조각이 없으며, 잎에 털이 없다. 

                     6. 잎자루, 중축, 우축의 비늘조각은 일찍 떨어진다.

                          7. 잎몸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난형 또는 긴타원상 난형이다. ----- 계곡고사리

                          7. 잎몸은 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난형 오각형 또는 난상 삼각형이다. ----- 금족제비고사리

                     6. 잎자루, 중축, 우축의 비늘조각은 오래 남는다. ----- 가는잎족제비고사리

1. 소우축이나 열편의 중륵에는 기부가 주머니모양인 비늘조각이 있다.

[기재문]

학명은 Dryopteris maximowiczii (Baker) Kuntze

다소 높은 산지 숲속에서 하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하는 키 30~70cm의 양치식물이다. 

엽병은 인편이 밀생하고 길이 15-35㎝이며 엽신은 5각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15-25㎝로서 4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양면이 모두 밝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중축은 연한 녹색이고 인편이 약간 달림.

우편은 대가 있으며 길이 10-18㎝로서 첫째 우편이 가장 크고 여기에서 갈라진 뒤쪽의 첫째 소우편이 밑으로

길게 퍼져 잎 전체가 오각형 비슷하게 된다. 소우편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짧은 대가 있고

다시 우상으로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나원형이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포자낭군은 소맥 끝에 달리며 포막은 신장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잎 가장자리에 닿으면 포자낭군 앞에

뾰족한 열편이 있다. 근경은 옆으로 짧게 뻗으며 잎이 서로 접근하여 자람.

 

진저리고사리(5.25, 관중속)

[관중속의 종 검색표]1. 소우축이나 열편의 중륵에는 기부가 주머니모양인 비늘조각이 없다.    2.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또는 1회 우상으로 갈라지나 잎몸 하부에서 2회 우상으로 갈

hyunsik.tistory.com

'24.7.31.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장풀(8.11)  (0) 2024.12.27
참배암차즈기(8.11)  (0) 2024.12.27
참바위취 꽃(7.31 / 범의귀과, 구실바위취속)  (0) 2024.12.27
나래박쥐나물 꽃(7.31)  (0) 2024.12.27
꿩의다리아재비(5.13)  (1) 2024.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