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제주백서향, 백서향
종명 | 제주백서향 (Daphne jejudoensis M. Kim, 특산식물) |
백서향 (Daphne kiusiana Miq.) |
잎 | 좁은 타원형 | 넓은 타원형 |
꽃 | 백색 꽃이 7~20개 내외로 달리며, 꽃이 보다 크다. | 유백색 꽃이 3~7개 내외로 달리며, 꽃이 보다 작다 |
꽃받침 | 털이 없다. | 털이 밀생한다. |
제주백서향은
잎이 좁은 타원형이며, 화탁통 겉에 털이 거의 없었으며, 암술머리와 자방사이에 절(관절)이 없다.
꽃은 7~20개 내외로 달리며, 백서향 꽃 크기에 비해 크다. 화색은 백색이다.
백서향은
잎이 넓은 타원형이며, 화탁통 겉에 짧은 털이 밀생하며, 암술머리와 자방 사이에는 절(관절)이 있다.
꽃은 3~7개 내외로 달리며, 제주백서향에 비해 꽃의 크기가 작다. 화색은 유백색이다.
[기재문]
학명은 Daphne jejudoensis M. Kim
호생하며, 단엽이다. 엽병은 길이는 2∼4mm이고, 엽신은 도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표면은 녹색을 띠고, 이
면은 연녹색을 띤다. 엽정은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엽연은 전연이며, 엽저는 예저 또는 쐐기형이다.
표면과 이면에 털이 없이 매끈하다. 암수딴그루, 2월 말∼3월에 개화하며, 가지 끝에 총상화서로 밀집하여 달린다.
화경은 백색의 짧은 털이 드물게 있다. 포엽은 조락성으로 피침형으로 6∼8개가 달리고, 연녹색을 띤다.
10∼16개의 꽃이 모여 달리며, 꽃잎은 없고, 향기가 난다. 꽃받침은 백색으로 크기는 12.2∼18 × 15∼23mm이다.
꽃받침은 관상으로 4개로 갈라지는데 짧은 열편 2개, 긴 열편 2개로 난형이며, 정단부는 예두이다.
꽃받침통은 원주형으로 백색 또는 연한 황백색이며, 크기는 1∼15 × 1.5∼4mm이고, 털은 없다.
수술은 8개로 4개식 2열하며, 수술대는 짧다. 약은 타원형으로 황색을 띠며, 자방은 1개이며, 타원상으로 연녹색을 띠고
털은 없다. 암술머리는 구형으로 1개이다. 5월∼6월에 익으며, 장과로 난형 또는 난상 원형, 아원형이다.
외과피는 녹색에서 광택이 나는 붉은색, 또는 주황색으로 익는다. 크기는 1cm 내외이고, 털은 없으며, 매끈하다.
열매에 독성이 있다. 종자는 난형 또는 난상 원형, 아원형으로 종피는 갈색, 흑색 등으로 익는다.
털은 없으며, 매끈하고 광택이 있다. 오래된 수피는 갈색 또는 적갈색을 띠고, 소지는 적갈색 또는 녹색을 띠며, 털은 없다. 겨울눈은 피침상 원주형으로 녹색을 띠고, 여러 장의 포에 싸여 있으며, 털은 없다.
'18.11.4 / 제주도
백서향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8703
'목본식물 > 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굴피나무 (Pterocarya stenoptera DC) (0) | 2020.11.14 |
---|---|
잣나무 (7.5, 소나무속) (0) | 2019.07.08 |
종가시나무, 열매, 수피 (10.18, 8.1) (0) | 2018.10.27 |
중국풀싸리 (8.25, 9.1) (0) | 2017.09.22 |
조도만두나무 (Glochidion chodoense J.S.Lee & H.T.Im) (0) | 2017.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