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추리 특징]
1. 재배종이며 학명은 Hemerocallis fulva (L.) L.
2. 꽃은 하늘을 향해 피며 종자는 결실되지 않는다.(불임성)
3. 지하경이 있다. (원추리와 왕원추리를 제외하고 그 외 원추리속은 지하경이 없다)
4. 유사종에 비해 개화시기가 빠른편이다.
원추리속은 10종이 있고 재배은 2종, 자생은 8종이다. 이 중 남한에서는 5종이 자생하는데
특정지역에서 자생하는 것을 제외하면 주변에서는 흔히 백운산원추리만 볼 수 있다.
* 자생종(8종)
- 애기원추리 : 북부, 두만강 주변 만주
- 골잎원추리 : 두만강과 만주지방 저지대 숲 가장자리나 초지
- 각시원추리 : 북부 고산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
=========================================
- 큰원추리 : 중북부의 고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
- 노랑원추리 : 서남 해안가 저지대
- 태안원추리 : 안면도 해안 주변의 저지대, 숲 가장자리나 초지
- 홍도원추리(한국특산) : 홍도, 가거도, 흑산도
- 백운산원추리(한국특산) : 중남부 저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
* 재배종(2종)
- 원추리 : 중국원산 재배종
- 왕원추리 : 중국원산 재배종(원추리의 변종. 겹꽃)
[비교] 노랑원추리, 태안원추리, 홍도원추리, 백운산원추리
- 노랑원추리 : 화경은 5cm 이상 분지, 화피통부의 길이는 3~5cm, 화피열편은 도난형
- 백운산원추리 : 화경은 5cm 이상 분지, 잎 폭이 1.8~2.0cm,
외화피/내화피 길이 7.2~9.5/7.0~9.5cm
- 태안원추리 : 화경은 2~4cm 분지, 잎의 길이는 32~46cm, 화경 직경 2~3mm,
외화피/내화피 길이 4.8~7.1/5.4~6.8cm
- 홍도원추리 : 화경은 2~4cm 분지, 잎의 길이는 55~93cm, 화경 직경 약 5mm 정도
[원추리속 검색표] 출처 : 한국산 원추리속 분류학적 연구(2012년)
노랑원추리(8.19)
원추리속은 10종이 있고 재배은 2종, 자생은 8종이다. 이 중 남한에서는 5종이 자생하는데특정지역에서 자생하는 것을 제외하면 주변에서는 흔히 백운산원추리만 볼 수 있다.* 자생종(8종) - 애기
hyunsik.tistory.com
큰원추리 (백합과, 원추리속/6.28)
원추리속은 10종이 있고 재배은 2종, 자생은 8종이다. 이 중 남한에서는 5종이 자생하는데특정지역에서 자생하는 것을 제외하면 주변에서는 흔히 백운산원추리만 볼 수 있다.* 자생종(8종) - 애기
hyunsik.tistory.com
백운산원추리(8.4)
원추리속은 10종이 있고 재배은 2종, 자생은 8종이다. 이 중 남한에서는 5종이 자생하는데특정지역에서 자생하는 것을 제외하면 주변에서는 흔히 백운산원추리만 볼 수 있다.* 자생종(8종) - 애기
hyunsik.tistory.com
![](https://blog.kakaocdn.net/dn/47DMi/btsIfkPj3um/mvNxNUF6JWgladU0kRoCi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yObAP/btsId6YKD63/YHzkqYNrvsFmHPkQcTPtK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moaR/btsIgk8CSln/IwweQokHXn1X004RztVKV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yzVwA/btsIejKljq0/IbSwmQaDOTT2K0KGgqf9P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bsER/btsIfkuYJsl/5hUZq7CLwsxIny9haqv29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EunoH/btsIeArEFPo/mAudlmoDgRcaKMlOhHQkM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04sbp/btsIeASDcTX/COTqjKHoMzQvi4XETt6P1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7q8L4/btsIglzHt7L/kld7kdfhKiBeALx5AZLsx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I0I69/btsIghD4PJS/meGJQtUpNPg7ri9Uq1r7P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dYXSI/btsId05qdSO/0aUqsJLsgStmcn4ZkMr7e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hnJH/btsIeUcjqhO/nbOKCI8gEssi9mib0Qpen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gyYPv/btsIfys0cdb/FcwZZmhK93wZPAMKFHBK8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zkz0/btsIeDolBaM/h7JoHNisPQo8b0GB65bRQ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xPSh/btsIeF0GsvD/YFWSKW30YNaxJQ5iLVCIk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NqiJC/btsIghD4S3C/fQczpKt48fCpxnukpecRh0/img.jpg)
'24.6.27.
'초본식물 > 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삭단엽란(7.31, 이삭단엽란속) (0) | 2024.08.02 |
---|---|
연잎꿩의다리 꽃, 잎(7.4) (0) | 2024.07.09 |
얼치기대가래(5.22) (0) | 2024.05.26 |
유럽미나리아재비 꽃(3.14) (0) | 2024.03.24 |
얼룩닭의장풀(3.12, 브라질달개비, 원예종) (0) | 2024.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