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의 속 검색표]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3. 소수의 기부에 백색 긴 털이나 자모가 발달한다. ----- 띠속, 강아지풀속
3. 소수의 기부에 털이 없다.
4. 포영은 소화보다 적다. ----- 보리속, 나도잔디속, 갯율무속, 좀물뚝새속, 도랭이피속
4. 포영은 소화보다 크며 소화를 둘러 싼다. ----- 산조아재비속, 쇠돌피속, 뚝새풀속, 향기풀속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 줄속, 벼속, 겨풀속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5. 무병, 유병소수 또는 장병, 단병소수가 짝지어 붙는다.
6. 유병소수와 무병소수 모두 양성이다. ----- 기름새속
6. 유병소수는 웅성, 무병소수는 양성이다. ----- 나도기름새속, 수수속
5. 화서의 화축 작은 자루에 소수는 한 개씩 붙는다.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6. 소수에 한 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 나래새속, 나도겨이삭속, 나도딸기광이속, 겨이삭속, 산새풀속
6. 소수에 2개 이상의 소화가 들어 있다.
7. 한 개의 소수에 임성(양성)소수는 1개뿐이다. ----- 흰털새속, 새속, 향모속, 갈풀속
7. 한 개의 소수에 임성소수는 2개 이상이다.
8. 호영에 까락이 없다. ----- 기장대풀속
8. 호영에 까락이 있다. ----- 귀리속, 은털새속, 좀새풀속, 물대속
4. 제1, 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5.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 갈대속
5.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없다.
6.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가 1개 있다.
7. 한 개의 소수에 한 개의 양성소화만 있다. ----- 산기장속, 담상이삭풀속, 쥐꼬리새풀속
7. 한 개의 소수에 2개의 소화가 있으나 양성소화는 1개뿐이다. ----- 기장속, 좀조개풀속
6.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는 2개 이상이다.
7. 호영에 까락이 발달한다.
8. 호영의 등 쪽 중앙부근에서 까락이 생긴다. ----- 개나래속
8. 호영의 끝 쪽에서 까락이 생긴다.
9. 호영의 끝 쪽에서 까락이 생긴다. ----- 김의털속
9. 호영의 끝이 V자로 갈라지며 갈라진 사이에서 까락이 생긴다.
----- 대새풀속, 잠자리피속, 참새귀리속
7. 호영에 까락이 없다.
10. 호영에 확실한 7~13맥이 있다. ----- 방울새풀속, 왕쌀새속, 진들피속
10. 호영에 3~5맥이 있고 또는 불분명한 맥이 있다.
11. 호영은 녹색 양지질이다. ----- 용수염속, 진퍼리새속
11. 호영은 막질이다.
12. 호영의 기부에 면모(철모)가 있다. ----- 포아풀속
12. 호영의 기부에 면모가 없다. ----- 오리새속, 그령속, 김의털속, 고사리새속, 갯겨이삭속
-------------------------------------------------------------
[김의털속 종 검색표]
소수는3~10 소화로 호영은 털이 없고 끝은 까락이 된다.
특히 호영이나 소화기반에 털이 없는 것은 대개 이 속에 속한다.
1. 1년생으로 근경이 없다.
2. 호영은 긴 털이 없다. ----- 들묵새
2. 호영은 위쪽에 긴 털이 있다. ----- 큰묵새
1. 다년생으로 근경이 있다.
3. 잎은 폭이 0.3~3.0mm로 가늘다
4. 잎은 아래쪽이 폭이 좁은 잎과 위쪽에 폭이 넓은 잎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 사방김의털
4. 잎은 포기 3mm이하로 같은 모양의 잎을 가진다.
5. 제1포영은 제1소화에 비해 극히 짧고 난형이며 둔두이다.
6. 호영의 까락은 길이 5~12mm이다. 화서의 중축 마디에서 가지는 1개씩난다. ----- 김의털아재비
6. 호영의 까락은 없다. 화서의 중축 마디에서 가지는 2개씩 난다. ----- 산묵새
5. 제1포영은 피침형으로 예두이다.
7. 줄기는 기부에서부터 직립한다. 호영은 길이 3.5~4.5mm, 끝의 까락은 길이 2mm이하이다.
8. 줄기는 높이 15~20cm, 고산지대에 자라며, 화서의 길이 2~3cm이다. ----- 두메김의털
8. 줄기는 높이 15~40cm, 평지 또는 산지에 자라며, 화서의 길이 4~8cm이다.
9. 화경의 윗부분에 털이 없고, 호영의 끝에 길이 2mm이하의 까락이 있다. ----- 김의털
9. 화경의 윗부분에 털이 있고, 호영의 끝에 까락이 없거나 있어도 길이 1mm 이하이다. ----- 참김의털
7. 줄기의 기부는 비스듬히 위를 향한다. 호영은 길이 4~7mm, 끝의 까락은 길이 0.5~3.0mm이다. ----- 왕김의털
3. 잎은 폭이 3.0mm이상이며 편평하다.
10. 근경이 짧고 비스듬히 위를 향한다. 소수의 까락은 길이 4~7mm이다. ----- 왕김의털아재비
11. 줄기는 높이 15~35cm이다. 화서의 길이 4~10cm,
소수는 3~4개의 소화로 구성되며 길이 6~10mm이다. ----- 개묵새
11. 줄기는 높이 70~110cm이다. 화서의 길이 10~40cm,
소수는 5~8개의 소화로 구성되며 길이 9~12mm정도이다. ----- 큰김의털
[기재문]
학명은 Festuca japonica Makino.
습지나 길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가 있고, 줄기는 여러 대가 모여나며, 2~3개의 마디가 있고, 높이는 30~70cm이다.
잎집은 털이 없고, 잎혀는 1mm 이하로 끝이 납작하다. 잎몸은 길이 5~15cm, 너비 1.2~2.2mm로서 윗면에는 털이 있고,
뒷면에는 없다. 꽃은 5~6월에 핀다. 전체 꽃차례는 길이 8~15cm이고 각 마디의 한쪽에 2개의 가지가 달리며, 가지 끝에 1~4개의 작은이삭이 달린다. 자루가 있는 작은이삭은 타원형이고 길이 4~6mm, 꽃이 3~4개 들어 있다.
제1포영은 길이 1.2~2.0mm이고, 제2포영은 2.0~2.8mm이다. 호영은 5개의 뚜렷하지 않은 맥이 있고 3~4mm이고,
까락은 없다.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비슷하다.
산묵새 (김의털속)
습지나 길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가 있고, 줄기는 여러 대가 모여나며, 2~3개의 마디가 있고, 높이는 30~70cm이다. 잎집은 털이 없고, 잎혀는 1mm 이하로 끝이 납작하다. 잎몸은
hyunsik.tistory.com
산묵새 (Festuca japonica Makino
'16.6.25
hyunsik.tistory.com
'17.5.25
'벼과 >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포아풀(7.4) (0) | 2024.07.14 |
---|---|
산새풀(6.7, 6.19) (0) | 2024.06.20 |
큰개사탕수수 (개사탕수수속) (0) | 2024.01.06 |
좀조개풀(10.4) (0) | 2023.11.12 |
실새풀 (9.10, 산새풀속) (0) | 2023.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