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포아풀에 대한 벼과 사초과 생태도감의 기재문이 국생종과 다소 상이하고 기재된 사진들 중에서도 달라 보이는
사진이 있어 국생종의 기재문을 기준으로 검토함
제가 관찰한 이 종은 다음과 같다
- 냇가 근처의 축축한 곳에서 자생한다.
- 화서 가지가 까끌거린다
- 소수 길이는 약 3mm 정도이며 소화는 2개다.
- 1, 2포영은 3맥이며 용골이 까끌거린다(제1포영이 3맥인 점이 특징)
- 호영의 맥은 희미한 5맥이다
- 유사종에 비해 키가 크고 화서와 엽설이 길다
포아풀속에서 위의 내용에 충족되는 종은 눈포아풀이다.
-----------------------------------------------------------------------------------------
[벼과 속(포아풀속) 검색표]
1. 화서의 화축 작은 자루에 소수는 한 개씩 붙는다.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2. 소수에 한 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 겨이삭속 등
2. 소수에 2개 이상의 소화가 들어 있다.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양성) 소수는 1개뿐이다. ----- 새속, 갈풀속 등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양성) 소수는 2개 이상이다. ----- 귀리속 등
1. 제1포영, 제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2.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는 2개 이상 여러 개이다.
3. 호영에 까락이 발달한다.
3. 호영에 까락이 없다.
4. 호영에 확실한 7~13맥이 있다. ----- 진들피속 등
4. 호영에 3~5맥이 있고 또는 불분명한 맥이 있다.
5. 호영은 녹색 양지질이다. ----- 용수염속 등
5. 호영은 막질이다.
6. 호영의 기부에 면모(철모)가 있다. ----- 포아풀속
포아풀속의 소수는 여러 개의 소화가 있으며 까락은 없고 호영의 끝은 뭉뚝하며, 등쪽에 용골이 발달한다. 소화의 기반에 긴 털(면모)이 뭉쳐난다. 1포영은 1맥 또는 3맥이나, 2포영은 3맥이다. 원추화서 |
[포아풀속 종 검색표1]
1. 1년초이다. ----- 새포아풀류
2. 키가 작다(10~40cm) ----- 새포아풀, 성긴포아풀, 큰꾸러미풀
2. 키가 크다(30~120cm)
3. 호영 표면의 맥 외에는 털이 없다. ----- 구내풀
3. 호영 표면 전체적으로 털이 있다.
4. 줄기 기부의 마디가 부푼다. ----- 마디포아풀
4. 줄기 기부의 마디가 부풀지 않는다. ----- 실포아풀
1. 다년초이다. ----- 포아풀류
2. 엽초의 길이에 비해 엽신이 매우 짧아 1/2 이하이다. ----- 왕포아풀
2. 엽신이 엽초에 비해 그리 짧은 것이 아니다.
3. 줄기가 납작하다. ----- 좀포아풀, 가는포아풀
3. 줄기가 둥글다.
4. 최상위 엽신이 아래로 꺾인다. ----- 포아풀
4. 최상위 엽신이 꺾이지 않는다.
5. 귀화종으로 주로 들에서 자란다. ----- 큰새포아풀
5. 자생종으로 주로 산지에서 자란다. ----- 선포아풀, 눈포아풀, 갑산포아풀, 울릉포아풀, 섬포아풀
[포아풀속 종 검색표2]
1. 화서는 매끈하고, 소화의 기반은 털이 있거나 없다.
2. 줄기 기부는 부풀어 구근처럼 되고, 소화기반의 털은 드물게 있거나 없다.
소수는 무성아를 형성한다. ----- 이삭포아풀
2. 줄기 기부는 구근처럼 되지 않으며, 소화기반의 털은 없다.
소수는 무성아를 형성하지 않는다. ----- 새포아풀
1. 화서는 거칠고, 소화의 기반은 털이 있다.
2. 잎목 가장자리에 연모가 있고, 내영 용골에 털 또는 자상돌기가 있다.
3. 호명 맥과 표면에 전체적으로 털이 있고, 내영의 두 용골 사이에 털이 있다.
4. 줄기 기부가 구근처럼 부풀어 굵어진다. ----- 마디포아풀
4. 줄기 기부가 굵어지지 않는다. ----- 실포아풀
3. 호명 맥을 제외한 표면에 털이 거의 없고, 내영의 두 용골 사이에 털이 없다.
4. 줄기는 납작하지 않고, 엽설은 절두이다. 소화축은 거칠고 호영의 측맥은 뚜렷하지 않다. ----- 구내풀
4. 줄기는 납작하고, 엽설은 예두이다. 소화축은 매끈하고 호영의 측맥은 뚜렷하다. ----- 큰꾸러미풀 2. 잎목 가장자리에 연모가 없고, 내영 용골에 자상돌기가 있다.
3. 지하경이 길게 뻗고, 엽초는 매끄럽거나 털이 있으며, 드물게 잎 표면에 털이 있다.
4. 줄기의 마디는 2~3개이고, 잎과 엽초 표면은 털이 있거나 없다.
5. 잎 표면과 드물게 엽초에 털이 있다. ----- 가는포아풀
5. 잎 표면과 엽초에 털이 없다. ----- 왕포아풀
4. 줄기의 마디는 5~9개이고, 잎과 엽초 표면은 털이 없다.
5. 엽설은 재두이고, 길이는 0.5mm 이상이다. 제1포영은 3맥이고, 호명의 측맥은 뚜렷하지 않다.
6. 소화축과 내영의 두 용골 사이에 연모가 있다. ----- 선포아풀
6. 소화축과 내영의 두 용골 사이에 연모가 없다. ----- 좀포아풀
5. 엽설은 둔두이고, 길이는 0.2~0.3mm이다. 제1포영은 1맥(드물게 3맥)이고,
호명의 측맥은 뚜렷하다. ----- 섬포아풀
3. 줄기 기부에 짧고 굵은 지하경이 있고, 엽초는 매끄럽거나 거칠며, 잎에 털이 없다.
4. 제1포영은 1맥, 호영의 측맥은 뚜렷하다. ----- 큰새포아풀
4. 제1포영은 3맥이고 호영의 측맥은 뚜렷하지 않다.
5. 엽설은 둔두이고, 길이는 0.7~2.0mm이다. ----- 청포아풀
5. 엽설은 예두이고, 길이는 2.5~3.9mm이다.
6. 마디는 3~4개, 엽초는 거칠다. ----- 포아풀
6. 마디는 6~8개, 엽초는 매끈하다. ----- 눈포아풀
[포아풀속 종 검색표3]
1. 화서와 가지는 짧고 뻣뻣한 털이 없어 매끈하다.
2. 소수는 무성아를 형성한다. ----- 이삭포아풀
2. 소수는 무성아를 형성하지 않는다. ----- 새포아풀
1. 화서와 가지는 짧고 뻣뻣한 털이 있어 거칠다.
3. 잎목 가장자리에 연모가 없다.
4. 줄기의 절간 이상의 긴 지하경을 가진다.
5. 줄기의 마디는 2−3개이다.
6. 잎몸 표면과 드물게 잎집에 털이 있다. ----- 가는포아풀
6. 잎몸 표면과 잎집에 털이 없다. ----- 왕포아풀
5. 줄기의 마디는 5−9개이다.
7. 잎혀는 재두, 길이 0.5 mm이상; 호영 측맥은 뚜렷하지 않다.
8. 소화축과 내영의 두 용골 사이에 연모가 있다. ----- 선포아풀
8. 소화축과 내영의 두 용골 사이에 연모가 없다 . ----- 좀포아풀
7. 잎혀는 둔두, 길이 0.2−0.3 mm; 호영 측맥은 뚜렷하다. ----- 섬포아풀
4. 거의 없는 듯한 짧고 굵은 지하경을 가진다.
9. 제 1 포영은 1맥; 호영의 측맥은 뚜렷하다. ----- 큰새포아풀
9. 제 1 포영은 3맥; 호영의 측맥은 뚜렷하지 않다.
10. 잎혀는 둔두, 길이 0.7−2.0 mm이다. ----- 청포아풀
10. 잎혀는 예두, 길이 2.5 mm이상이다.
11. 마디는 3−4개; 잎집은 짧고 뻣뻣한 털이 있어 거칠다 . ----- 포아풀
11. 마디는 6−8개; 잎집은 짧고 뻣뻣한 털이 없어 매끈하다. ----- 눈포아풀
3. 잎목 가장자리에 연모가 있다.
12. 호영은 맥을 제외한 표면에 연모가 없음; 내영의 두 용골 사이에 연모가 없다.
13. 줄기는 납작하지 않음; 잎혀는 재두; 소화축은 거침; 호영의 측맥은 뚜렷하지 않다. ----- 구내풀
13. 줄기는 납작함; 잎혀는 예두; 소화축은 매끈 함; 호영의 측맥은 뚜렷하다. ----- 큰꾸러미풀
12. 호영 맥과 표면에 전체적으로 연모가 있음; 내영의 두 용골 사이에 연모가 있다.
14. 줄기의 기부가 부풀지 않고 일정하다. ----- 실포아풀
14. 줄기 기부의 1−4개의 마디 사이가 부풀어 올라 염주모양을 이룬다.
15. 호영의 기반에 털이 있다. ----- 마디포아풀
15. 호영의 기반에 털이 없다. ----- 성긴포아풀
[포아풀속 종(19종) 비교(도감기준)]
* 다년생(14종) : 이삭포아풀, 가는포아풀, 왕포아풀, 선포아풀, 좀포아풀, 섬포아풀, 큰새포아풀, 청포아풀,
포아풀, 눈포아풀, 성긴포아풀, 갑산포아풀, 울릉포아풀, 개이삭포아풀
* 1년초(5종) : 새포아풀, 마디포아풀, 실포아풀, 구내풀, 큰꾸러미풀
* 잎목 가장자리에 연모가 있다 : 구내풀, 큰꾸러미풀, 실포아풀, 마디포아풀, 성긴포아풀
* 화서 가지, 포영의 용골 및 소화축이 거칠다 : 마디포아풀, 실포아풀, 구내풀, 가는포아풀, 왕포아풀, 좀포아풀
섬포아풀, 큰새포아풀, 청포아풀, 포아풀, 눈포아풀, (울릉포아풀)
* 화서 가지, 포영의 용골은 거칠고 소화축은 매끄럽다 : 큰꾸러미풀
* 화서 가지, 포영의 용골은 거칠고 소화축은 연모가 있다 : 선포아풀
* 화서 가지, 포영의 용골 및 소화축이 매끄럽다 : 새포아풀, 개이삭포아풀
* 긴지하경이 있다 : 섬포아풀, 좀포아풀, 선포아풀, 왕포아풀, 가는포아풀,
* 줄기는 납작하다 : 좀포아풀, 가는포아풀, 실포아풀, 마디포아풀, 큰꾸러미풀, 울릉포아풀
* 잎집이 납작하다 : 울릉포아풀
* 1포영은 1맥 : 이삭포아풀, 왕포아풀(또는 3맥), 마디포아풀(드물게 3맥), 실포아풀, 구내풀, 큰꾸러미풀,
가는포아풀(또는 3맥), 섬포아풀(드물게 3맥), 새포아풀, 큰새포아풀, 갑산포아풀, 울릉포아풀
* 1포영은 3맥 : 선포아풀, 좀포아풀, 청포아풀, 포아풀, 눈포아풀
[종별 특징(도감기준)]
1. 이삭포아풀
줄기 기부는 구근처럼 부풀어 오른다. 화서는 길이 5.8~6.0cm이고 매끄럽다. 화서 가지는 1.4~1.8cm로 짧아 화서축에 밀집되어 있다. 소수는 무성아가 발달하여 소화가 까락처럼 길게 자란다. 포영의 용골은 거칠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 2.3~2.4/2.5~2.7mm, -------, 도시주변의 길가 |
2. 새포아풀
1년초. 잎목 가장자리는 큰꾸러미풀과 달리 매끄럽다. 줄기 마디는 3~4개. 엽설의 길이는 0.2~2.4mm이며 둔두이다. 화서는 길이 5~17cm이고 화서의 가지는 매끈하다. 가지는 한 마디에서 2개가 나오며 길이는 1.1~8.0cm. 포영의 용골과 소화축은 매끈하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2.8~6.0mm, 1.3~2.3/1.5~3.0mm, 3~6개, 들판 |
3. 마디포아풀
1년초. 실포아풀과 비슷하나 줄기 기부는 구근처럼 부풀어 오른다. 줄기는 납작하다. 엽초는 매끄럽고 잎목 가장자리에 연모가 있다. 엽설의 길이는 0.5~1.8mm이며 예두이다. 화서는 길이 5~17cm이고 거칠며, 가지는 한 마디에 2(~5)개가 나온다. 화서 가지의 길이는 1.9~8.5cm. 포영의 용골과 소화축은 거칠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3~5mm, 2.0~2.6/2.3~3.0mm, 2~4개, 진도 및 제주도 저지대 초원 |
4. 실포아풀
1년초. 구내풀과 비슷하지만 마디포아풀과 같이 호영의 표면에 연모가 있다. 줄기는 납작하다. 엽초는 매끄럽고 잎목 가장자리에 연모가 있다. 엽설의 길이는 0.8~2.9mm이며 예두이다. 화서의 길이는 5~23cm이고 거칠며, 가지는 한 마디에 2(~5)개가 나온다. 화서 가지의 길이는 2.7~6.5cm. 포영의 용골과 소화축은 거칠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3~6mm, 1.6~2.7/2.0~3.3mm, 3~4개, 저지대와 낮은 산기슭 |
5. 구내풀
1년초. 마디포아풀과 실포아풀과 달리 줄기는 납작하지 않다. 화서는 길이 8~15cm이고 거칠며 가지는 한 마디에서 2~3개가 나온다. 화서 가지의 길이는 2.9~6.5cm. 포영의 용골과 소화축은 거칠다. 호영표면에 털이 없고 호영 용골과 가장자리맥에 털이 있다.(5개의 맥에서 3개의 맥에 털이 있음)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3.4~6.0mm, 1.6~2.6/2.2~3.1mm, 2~4개, 산지 음습지 |
6. 큰꾸러미풀
1년초. 새포아풀과 달리 줄기는 납작하며 마디는 3개이다. 엽초는 매끄럽고 잎목 가장자리에 연모가 있다. 화서의 길이는 6.7~11.6cm로 새포아풀보다 짧고 화서의 가지는 거칠다. 화서 가지의 길이는 2.4~5.2cm. 포영의 용골은 거칠고, 소화축은 매끄럽다. 엽설의 길이는 0.8~1.5mm이고 예두이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3.2~4.6mm, 2.0~2.6/2.2~3.1mm, 3~5개, 대개 인가주변 |
7. 가는포아풀
다년초. 줄기 마디는 2~3개로 적다. 엽초는 매끄럽고 연모가 이다. 긴지하경을 가지고 있다. 엽신 표면에 연모가 있으며 약간 거칠다. 엽설은 길이 0.8~1.4mm이고 재두이다. 화서는 줄기에 비해 길지 않고 가지는 거칠다. 화서의 가지는 마디에서 2~5개가 나온다. 화서 가지의 길이는 3.8~8.4cm. 포영의 용골과 소화축이 거칠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3.8~4.8mm, 2.2~2.8/2.6~3.3mm, 2~4개, 깊은 산 |
8. 왕포아풀
다년초. 긴지하경을 가지고 있다. 줄기의 마디는 2~3개이다. 엽설의 길이는 0.9~1.3mm이며 재두이다. 화서는 6.7~14.5cm이고 거칠며 가지는 한 마디에 4~6개가 나온다. 화서 가지의 길이는 3.9~7.6cm. 포영의 용골과 소화축은 거칠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3~6mm, 1.8~3.0/2.0~3.5mm, 3~6개, 도시주변의 길가나 초원 |
9. 선포아풀
다년초. 긴지하경을 가지고 있다. 줄기의 마디는 6~7개이다. 엽설의 길이는 0.5~0.7mm이고 재두이다. 화서의 길이는 8.9~13.8cm이며 거칠며 가지는 한 마디에 3~4개가 나온다. 화서 가지 길이는 4.2~4.5cm. 포영의 용골은 거칠다. 소화축에 연모가 있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2.9~5.5mm, 2.5~3.0/2.7~3.3mm, 2~3개, 강원도의 깊은 산 음지 |
10. 좀포아풀
다년초. 긴지하경을 가지고 있다. 줄기는 납작하며 마디는 5개이다. 엽설은 길이 0.7~2.0mm이고 재두이다. 화서는 길이 5.6~10.0cm이고 거칠고 가지는 한 마디에서 3~5개가 나온다. 화서 가지 길이는 1.5~3.5cm. 포영의 용골은 거칠며 소화축은 거칠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3.8~5.0mm, 1.9~2.6/2.0~2.7mm, 4~6개, 습한 평지나 늪지대 |
11. 섬포아풀
가는포아풀의 변종 또는 가는포아풀의 이명으로 처리하자는 의견이 있다. 다년초. 긴지하경을 가지고 있으며 줄기는 납작하고 마디는 6~9개로 많다. 엽설의 길이는 0.2~0.3mm이고 둔두이다. 화서는 8.4~9.5cm이고 거칠며 가지는 한 마디에 2~3개가 나온다. 화서 가지의 길이는 1.8~4.5cm 포영의 용골과 소화축은 거칠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2.9~6.0mm, 1.4~2.8/1.5~3.2mm, 2~5개, 울릉도의 숲속의 절벽이나 임도 경사지 |
12. 큰새포아풀
다년생. 짧은 지하경이 있으며 줄기의 마디는 3~5개이다. 엽설의 길이는 4~7mm이며 예두이다. 화서는 길이 8.4~18.7cm이고 거칠며 가지는 한 마디에 4~6개가 나온다. 화서 가지 길이는 2.8~8.5cm. 포영의 용골과 소화축은 거칠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2.8~3.4mm, 1.6~2.5/2.0~2.8mm, 2~3개, 강가나 임도의 축축한 곳 |
13. 청포아풀
다년생. 짧은 지하경을 가지며 줄기의 마디는 3~5개이다. 엽설의 길이는 0.7~2.0mm이고 둔두이다. 화서의 길이는 6.2~16.4cm이고 거칠며 가지는 한 마디에서 2~4개가 나온다. 화서 가지의 길이는 6.2~16.4cm. 포영의 용골과 소화축은 거칠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3.7~5.7mm, 2.3~3.1/2.6~3.4mm, 2~4개, 산지의 숲속과 초원 |
14. 포아풀
다년초. 짤은 지하경을 가지며 줄기는 모여나며 줄기의 마디는 3~4개이다. 맨 위의 엽신이 엽설부근에서 꺾여 90도 이상 젖혀진다. 엽설의 길이는 2.%~7.2mm이며 예두이다. 화서는 길이 7.4~15.2cm이고 거칠며 가지는 한 마디에서 3~6개가 나온다. 화서 가지 길이는 1.5~4.5cm. 포영의 용골과 소화축은 거칠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3.6~6.5mm, 1.8~3.0/2.1~3.1mm, 3~7개, 평지의 길가나 밭둑 |
15. 눈포아풀(Poa palustris L.)
다년초. 짧은 지하경을 가지며 모여난다. 줄기의 마디는 6~8개이다. 엽설의 길이는 3.3~3.9cm이고 예두이다. 화서의 길이는 16.0~26.7cm이고 거칠며 가지는 한 마디에서 4~5개가 나온다. 화서 가지의 길이는 3.3.~9.1cm. 포영의 용골과 소화축은 거칠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2.7~3.8mm, 2.1~2.5/2.2~2.5mm, 2~4개, 습한 평지나 늪지대 |
16. 성긴포아풀
줄기 기부가 마디포아풀처럼 부풀어 난형의 구경으로 된다. 엽설의 길이는 1mm이고 자른 모양이거나 둔한 모양이다. 화서 길이는 2~15cm이고 화서가지는 한 마디에서 1~2개씩 나와 수평으로 퍼지며 수개의 소수가 달린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4.5~6.0mm, ----/-----mm, 2~4개, 제주도 활엽수림 |
17. 갑산포아풀(Poa ussuriensis Roshev.)
다년초. 줄기는 밀생하고 털이 없이 매끈하다. 잎은 나비 5mm이고 표면이 거칠고 엽설 길이는 1mm 정도이고 둔두이다. 화서 길이는 10~20cm이며 성기게 달리고 가지는 잔돌기가 있으며 길이 7cm 이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3~5mm, 1.5/2.0mm, 3~5개, 북부지방 숲속의 물가 |
18. 울릉포아풀
다년초. 엽초는 닫히고 가장 밑의 엽초는 자주색이다. 줄기와 엽초는 납작하고 가는 능선이 있다.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며 밑이 구부러지며 마디는 5~8개이다. 잎몸은 매우 좁은 선형이고 대가 안으로 말리며 털이 없다. 엽설은 매우 짧아 길이 0.2mm이며 평두이다. 화서는 응축형이며 길이 5~10cm이고 거칠며 가지는 한 마디에서 2~5개가 나온다. 포영의 용골은 거칠거나 매끄럽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2.8~5mm, 1.2~2.2/1.7~2.8mm, 2~4개, 울릉도의 숲 |
19. 개이삭포아풀(Poa bulbosa L.)
다년생. 이삭포아풀에 비해 화서에 무성아가 없으며 호영맥에 긴 털이 있다. 줄기는 키가 15~60cm 정도이며 가지를 치지 않으며, 털이 없고, 밑 부분이 길이 1cm 정도의 구근을 만든다. 잎은 대부분 기저부 또는 하부 줄기에 나고, 털이 없고 접혀 있거나 평평하며, 끝 부분이 보트 모양이다. 엽초는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아래쪽에서 융합된다. 엽설은 길이 2~4mm이고 끝이 무디며 털처럼 갈라지지 않는다. 마디는 매끄럽다. 화서는 타원형으로 길이 3~10cm 정도이며, 마디에서 2~5개의 가지가 비스듬히 붙고, 표면은 매끈하거나 까끌거린다. 소수는 길이 3~5mm 정도이고 3~7개의 소화 있다. 소수축은 매끈하다. 포영은 3맥이 있고 길이 2~3mm이며, 용골이 까끌거린다. 호영은 길이 3~4mm 로 예두이며 용골의 2/3까지 잔털이 있다. 내영의 용골은 까끌거린다. |
===================================================================================
[종별 특징(도감 외)]
20. 관모포아풀(Poa urssulensis Trin. var. kanboensis (Ohwi) Olonova & G.Zhu) : 갑산포아풀의 변종
다년초. 엽신과 엽초는 거칠며 엽설은 길이 0.2~0.5mm 키는 40~50cm이며 줄기는 많이 모여나고 마디는 4~5개이다. 화서는 8~20cm이고 마디에 2~3개의 가지가 나온다. 유사종인 갑산포아풀과 달리 호영기반에 거미집 털이 없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3~5mm, 2.5~4(3맥)/3~4mm, 2~3개, 북한의 관모봉에서 자란다. |
21. 금강포아풀(Poa kumgansanii Ohwi)
다년초. 엽초와 잎의 표면은 꺼칠꺼칠하고 엽설의 길이는 0.2~0.5cm. 화서는 성기게 퍼지고 좁으며 길이 8~20cm이고 각 마디에 위로 향하는 가지가 2~3씩 달린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3~5mm, 2.5~4(3맥)/3~4mm, 2~3개, 금강산 이북지역 |
22. 긴왕포아풀(Poa angustifolia L.) : 정보 없음
23. 두메포아풀(Poa malacantha Kom. var. shinanoana (Ohwi) Ohwi)
다년초. 줄기 높이는 15~30cm. 잎은 안으로 오그라들거나 편평하고 길이는 4~6cm, 나비 4~5mm로서 표면은 분백색 엽설은 2~4mm이고 반원형이다. 화서 길이는 5~7cm이며 끝이 처지고 가지가 밋밋하며 2개씩 달리고 옆으로 퍼진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6~8mm, 3~4/4~5mm, -----개, 백두산 지역 등 고산지대 |
24. 북왕포아풀(Poa hatusimae Ohwi) : 정보 없음
25. 시베리아포아풀(Poa sibirica Roshev.)
다년초. 잎몸은 선형이고 폭 3.5~6mm. 엽초는 꺼칠꺼칠하고 엽설의 길이는 1mm이며 둔하다. 근경이 있어 줄기는 밀생한다. 화서 길이는 6~18cm으로 성글게 달린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4~5mm, -----/-----mm, 3~4개, 북부의 풀밭 |
26. 애기포아풀( Poa versicolor Besser ) : 정보 없음
27. 자주포아풀(Poa glauca Vahl)
다년초. 크기는 20~30cm이고 밀생하며 곧게 선다. 잎은 분백이고 엽초는 마디보다 길고 때로는 부분적으로 자주색이 돌며 털이 없고 매끈하다. 엽설의 길이는 2.5mm정도이며 둔두이다. 화서의 길이는 3~7cm로 짧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3~4mm, 2.5/3mm, 2~3개, 태백산 이북 |
28. 좀새포아풀(Poa deschampsioides Ohwi)
다년초. 잎몸은 길이 5cm, 폭은 2.3mm로 표면은 꺼칠꺼칠하고 엽설의 길이는 1mm 내외이다. 크기는 30cm이내이며 줄기는 성기게 모여 달리며, 밑은 길고 가냘프다. 마디는 1~2개로 털이 있다. 화서는 5~6cm이며 자주색이다. 소수축에 긴 털이 있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4.5~5mm, -----/-----mm, 3~5개, 중부지방 초원 |
29. 코마로브포아풀(Poa komarovii Roshev.)
다년초. 키는 10~35cm. 줄기는 밀생하며 털이 없고 줄기의 잎몸은 폭 1.2~3mm이고 엽설은 2~3mm이다. 화서 길이는 5~7cm이며 성기게 퍼진다. 소수길이, 포영1/2 길이, 소화개수, 생육지 : 3~8mm, -----/-----mm, 수개, 관모봉 고산의 풀밭 |
30. 푸른선포아풀(Poa alta Hitchc.) : 정보 없음
'24.7.4
'벼과 >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바랭이, 소수(10.3) (0) | 2024.08.05 |
---|---|
좀바랭이, 소수(8.4/바랭이속) (0) | 2024.08.05 |
큰개사탕수수 (개사탕수수속) (0) | 2024.01.06 |
좀조개풀(10.4) (0) | 2023.11.12 |
실새풀 (산새풀속) (0) | 2023.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