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다, 라

떡잎골무꽃 꽃(5.2, 꿀풀과)

by 곰보배추 2015. 8. 29.

[비교] 골무꽃, 떡잎골무꽃

* 골무꽃 : 잎은 얇은 편이고 상면 엽맥의 함몰이 거의 없고, 엽형은 원형에 가까운 심장형이다.

                어린 개체에서는 엽맥의 함몰이 있지만, 성장하면서 없어진다.

                줄기는 거의 녹색으로 기부 일부만 자색이 돈다.

* 떡잎골무꽃 : 잎은 두껍고 상면 엽맥의 함몰이 뚜렷하고, 엽형은 삼각상 심장형이다. 골무꽃의 변종.

                       성숙한 개체에서도 엽맥의 함몰이 뚜렷하다.

                        엽병과 엽신이 만나는 곳이 유저의 형태. 줄기는 3/4이상까지 뚜렷한 자색을 띤다.

[골무꽃 변종 검색표] 출처 : 한국산 골무꽃속(꿀풀과) 식물의 분류 논문(1995년, 김상태, 이상태)

1. 잎은 2~2.5cm 정도로 중형이다.

    2. 잎은 얇은 편이고 상면 엽맥의 함몰이 거의 없고, 엽형은 원형에 가까운 심장형이다. ----- 골무꽃

    2. 잎은 두껍고 상면 엽맥의 함몰이 뚜렷하고, 엽형은 삼각상 심장형이다.

         3. 화관의 색은 엷은 자색으로 하순에는 자주색 반점이 뚜렷하다. 

             잎은 짙은 녹색으로 윤기가 난다. ----- 떡잎골무꽃(var. tsusimensis)

         3. 화관의 색은 흰색이나 분홍색으로서 하순에 무늬는 있거나 없다. 잎은 연한 녹색이다. -

             4. 화관의 색이 백색이고, 하순의 무늬도없다.

                 줄기의 색은 녹색으로 자색을 띠지 않는다. ---- 비바리골무꽃(var.alba, 제주도)

             4. 화관의 색은 분홍색으로서 하순에 짙은 분홍색의 반점이 있다. 

                 줄기는 기부에서 짙은 자색으로 위로 갈수록 녹색이 된다. ----- 연지골무꽃(var.coccinea, 제주도)

1. 잎은 1.5cm 이하로서 매우 소형이며, 털의 밀도가 특히 높다. ----- 좀골무꽃(var. parvifolia, 전북 옥녀도)

[기재문]

학명은 Scutellaria indica var. tsusimensis (Hara) Ohwi

잎은 마주나기하며 심장형 또는 원형이고 둔두 심장저이며 길이가 2-4cm로서 표면의 맥이 들어가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한쪽으로 치우쳐서 2줄로 달리고 꽃받침조각은 길이 3mm에서 6-7mm로 자라며

위쪽에 원반모양의 부속체가 있고 겉에 털이 있다. 꽃부리는 밑부분이 꼬부라져서 곧추서며 길이 18-22mm이고

하순이 넓으며 앞으로 나오고 자주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4개로서 그중 2개가 길다.

분과는 꽃받침으로 싸여 있고 길이 1mm정도로서 돌기가 밀생한다.

긴 퍼진 털이 많으며 원줄기는 둔한 사각형이고 비스듬히 자라다가 곧추선다.

 

비바리골무꽃(5.11)

[비교] 골무꽃, 떡잎골무꽃* 골무꽃 : 잎은 얇은 편이고 상면 엽맥의 함몰이 거의 없고, 엽형은 원형에 가까운 심장형이다.                어린 개체에서는 엽맥의 함몰이 있지만, 성장하면서

hyunsik.tistory.com

 

골무꽃 (5.15 / 꿀풀과, 골무꽃속)

[비교] 골무꽃, 떡잎골무꽃* 골무꽃 : 잎은 얇은 편이고 상면 엽맥의 함몰이 거의 없고, 엽형은 원형에 가까운 심장형이다.                어린 개체에서는 엽맥의 함몰이 있지만, 성장하면서

hyunsik.tistory.com

 

떡잎골무꽃 종자(7.29)

[비교] 골무꽃, 떡잎골무꽃* 골무꽃 : 잎은 얇은 편이고 상면 엽맥의 함몰이 거의 없고, 엽형은 원형에 가까운 심장형이다.                어린 개체에서는 엽맥의 함몰이 있지만, 성장하면서

hyunsik.tistory.com

 

 

 

 

 

 

 

 

 

 

 

 

 

 

 

 

 

 

 

 

 

'15.5.2. / 군산

'초본식물 > 다, 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메대극 (7.11)  (0) 2015.09.27
달맞이장구채 (8.7)  (0) 2015.09.23
독미나리(5.21)  (0) 2015.07.18
대극 (5.15)  (0) 2015.07.17
덩굴곽향 (Teucrium viscidum var. miquelianum (Maxim.) Hara)  (0) 201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