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안식물(염생식물)86

선갯장대 '13.4.15 2022. 1. 23.
땅채송화 '19.3.17 2022. 1. 9.
큰개미자리 '19.3.17 2022. 1. 7.
섬갯쑥부쟁이 '17.7.30 2022. 1. 4.
타래붓꽃(4.25) '21.4.25 2021. 11. 1.
선갯장대 '21.4.25 2021. 10. 30.
사스레피나무 암꽃 '19.3.22 2021. 5. 28.
사스레피나무 (수꽃) '19.3.22 2021. 5. 28.
해홍나물 '19.11.13 2021. 4. 30.
낭아초 '20.8.23 2021. 3. 28.
모새달 '19.8.24 2021. 3. 3.
암대극(4.4) '20.4.4 2021. 2. 7.
남가새 '20.10.14 2020. 10. 24.
남가새 '20.6.3 2020. 10. 10.
땅채송화 꽃(6.8) '20.6.8 2020. 9. 13.
개질경이 '20.6.3 / 강원도 2020. 9. 4.
애기거머리말 학명은 Zostera japonica Asch. & Graebn. 거머리말에 비하여 잎이 가늘고 작기 때문에 애기거머리말이라고 한다. 수심 1m의 얕은 바닷가에서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해양성 수생식물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고 지름 0.5~1.5mm,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마디의 길이는 1~4cm이다. 잎은 선형으로 길이 30cm 정도, 폭 0.8~1.3mm, 끝은 둔하고 잎맥은 3개이고 끝에서 합쳐진다. 잎집은 길이 6cm, 막질이고 잎혀는 길이 0.1~0.2mm이다. 꽃이 달리는 줄기는 길이 30cm 정도로 길이의 변이가 심하고 보통 2~3회 갈라진다. 꽃은 5~7월에 피는데 각 줄기마다 2~5개의 육수꽃차례가 달리며, 꽃대는 길이 1~2cm, 지름 0.5~1mm, 꽃차례는 길이 1.5~2cm,.. 2019. 4. 30.
거머리말 (거머리말과, 거머리말속) 학명은 Zostera marina L.이며 종소명 marina는 '바다속에 사는' 의미. 거머리말속에는 거머리말, 애기거머리말, 수거머리말, 왕거머리말, 좀마디거머리말, 포기거머리말 6종이 있다. 수심 1~10m의 연안 진흙에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해양성 수생식물이다. 땅속줄기는 지름 3~5mm, 마디에서 뿌리를 내린다. 잎은 2줄로 어긋나며 선형으로 길이 50~120cm, 폭 4~9mm, 끝은 둔하고 아래는 잎집으로 싸인다. 잎맥은 7개이다. 꽃차례가 나오는 가지는 길이 10cm 정도, 지름 2mm, 마디가 있다. 꽃은 4~8월에 암수한포기로 핀다. 육수꽃차례는 한쪽으로 배열하고 불염포로 싸인다. 꽃차례 위에는 수꽃이 달리고 아래는 암꽃이 달린다. 열매는 수과, 기둥 모양이다. 씨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2019. 4. 30.
갯강활 '18.6.2 / 경남 섬 2018. 12. 11.
해국 '18.11.12 / 경남 2018. 11. 22.
갯바위청사초(5.25) '18.5.25 / 경남 2018. 6. 5.
해당화 '17.5.9 / 태안 2017. 11. 11.
왕모시풀 '17.7.16 / 군산 왕모시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694 2017. 8. 2.
보리밥나무 '17.3.13 / 진도 큰보리장나무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7460 2017. 4. 10.
갯봄맞이(앵초과, 6.6) '16.6.6 / 강원도 고성 2016. 6. 21.
산비늘사초(5.21) 산뚝사초에 비해 자화서가 뚱뚱하다 '13.5.21 / 영덕 / 산비늘사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912 산뚝사초 보기 ㅣ: 구분 산뚝사초 산비늘사초 자생지 전국 산지의 냇가 전국적으로 분포 잎 나비 2-4mm로서 짙은 녹색이지만 뒷면에 흰빛이 돈다 너비 3~5m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매우 깔깔하다 소수 소수는 3-6개로서 윗부분의 것은 접근하고 밑부분의 것은 떨어지며 정소수는 수꽃이고 선형이다. 측소수는 암꽃이며 곧추서고 길이 2-5㎝, 지름 2-4mm로서 원주형이며 대가 없으나 첫째것은 대가 있다. 첫째 포는 잎같고 화서보다 짧으며 엽초가 없다. 자화영은 길이 2-3mm로서 둔두, 갈자색이며 뒷면 녹색부에 3맥이 있다. 소수는.. 2016. 3. 18.
퉁퉁마디 '15.10.10 / 태안 2016. 1. 18.
창갯능쟁이 (창명아주, 창갯는쟁이) '15.9.13 / 군산 2015. 11. 17.
천일사초 '15.6.5 / 군산 2015. 7. 29.
갯패랭이꽃(석죽과/7.25) [기재문] 학명은 Dianthus japonicus Thunb. ex Murray 바닷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근생엽은 방석처럼 퍼지며 거꿀피침모양이고 길이는 5-9cm로서 짧은 엽병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털같은 돌기가 있다. 줄기잎은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길이 5-9cm, 폭 1-2.5cm로서 밑부분이 동합하여 길이 1.5-3mm의 통으로 되고 양면에 털이 없으나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홍자색으로 피며 줄기 끝이나 근처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가지끝에 모여달린다. 포는 3쌍이며 긴 타원형이고 끝에 길이 5-6mm의 꼬리가 달려있다. 5갈래인 꽃받침은 통모양으로 길이 19-21mm이고, 꽃잎은 5장으로 갈라지며 퍼진 부분의 길이 6-7mm로서 거.. 2015. 3.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