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타

태백개별꽃, 뿌리(석죽과, 개별꽃속/3.31)

by 곰보배추 2023. 4. 1.

큰개별꽃(화경과 꽃받침에 털이 없음)과 유사하지만,

태백개별꽃은 개화 이후 화경이 더 길어져서 결실기가 되면 땅바닥에 고꾸라진다.

지리산개별꽃(결실기에 소화경이 줄기 기부까지 굽고, 폐쇄 소화경의 길이가 길음)과 유사하지만, 

태백개별꽃은 괴경이 가는 방추형이고, 소화경에 털이 없으며 꽃잎이 5~9장이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괴경은 가는 방추형으로 3–56개가 달리며, 지상부 줄기는 1–43개로 괴경을 통해 이웃하여 연결되어 있다. 

소화경에는 털이 없거나 기부에 부분적으로 털이 있으며, 개화기 소화경 길이는 2.7–6.1 cm이고,

결실기 소화경의 길이는 4.5–8.2 cm이다.

꽃받침은 5–9개이고, 꽃잎은 5–9장이고,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예두이며, 암술대의 수는 2–5개이고,

수술의 수는 10–18개이고, 길이는 2.9–4.6 mm이다. 폐

쇄화는 엽액과 정단부에 2–13개 달리며, 폐쇄화 소화경의 길이는 10–25 mm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5–6월 결실하며, 4–20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강원, 충북, 전북(무주), 경북, 경남, 대구 등에 분포한다. 

태백개별꽃은 큰개별꽃의 생태형으로 보는 견해와 독립된 종으로 보는 견해,

지리산개별꽃의 변종으로 보는 견해 등 종의 지위에 대한 견해차가 있는 분류군이다.

 

태백개별꽃 열매(4.13)

'23.4.13

hyunsik.tistory.com

 

태백개별꽃 열매, 종자(4.22)

'23.4.22

hyunsik.tistory.com

'23.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