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타

털잎하늘지기 (Fimbristylis sericea (Poir.) R.Br.)

by 곰보배추 2020. 10. 2.

한국산 하늘지기속(Fimbristylis)의 종 검색표

1. 소수는 약간 눌리며, 인편은 마주 보며 2열로 달린다(쇠하늘지기 절) ----- 쇠하늘지기 

1. 소수는 눌리지 않으며, 인편은 돌려 달린다

    2. 수과는 원주상이고 단면이 둥글다(밭하늘지기절)

        3. 수과 표면에 격자무늬가 없고,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다 ----- 푸른하늘지기 

        3. 수과 표면에 격자무늬가 있고, 가장자리에 돌기가 없다 ----- 밭하늘지기

    2. 수과는 도란형이거나 삼릉형으로 단면이 양철형이거나 삼릉형이다

        4.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지고, 화주에 털이 있거나 없으며,

            수과 단면이 양철형이거나 삼릉형이다(하늘지기절)

            5. 화주에 털이 없다 ----- 좀민하늘지기

            5. 화주에 털이 있다

                6. 화주 기부와 상부에 털이 있다

                    7. 인편 중륵이 까락처럼 길어 밖으로 휜다 ----- 민하늘지기 

                    7. 인편 중륵이 짧게 돌출한다 ----- 암하늘지기 

               6. 화주 기부에 털이 없고 상부에만 털이 있다

                   8. 화서에 소수는 1개가 단생한다 ----- 꼴하늘지기

                   8. 화서에 소수는 2개 이상이 복생한다

                       9. 소수는 좁고 긴 장타원형이다 ------ 바위하늘지기

                       9. 소수는 난형–장난형이다

                          10. 잎은 말려서 반 원통형이고, 인편에 털이 있으며, 수과 표면에 무늬가 없다 ----- 갯하늘지기 

                          10. 잎은 말리지 않아서 편평하고, 인편에 털이 없으며, 수과 표면에 격자무늬가 있다

                               11. 수과 표면에 12–20줄의 희미한 격자무늬가 있다

                                   12. 식물체에 털이 없고, 근경이 짧게 뻗어 느슨하게 나며,

                                         소수는 난형-장타원형이다 ----- 큰하늘지기 

                                   12. 식물체 한 군데 이상에 털이 있고, 근경이 없어 빽빽하게 모여나며,

                                         소수는 난형이다 ----- 털하늘지기 

                              11. 수과 표면에 7–11줄의 뚜렷한 격자무늬가 있다

                                    13. 근경이 없으며 있어도 짧고, 화서는 가지 끝에 1개씩 달린다 ----- 하늘지기 

                                    13. 짧지만 뻗는 근경이 있고, 화서는 끝에 2–5개씩 모여 달린다 ----- 남하늘지기

       4. 암술머리는 3개(드물게 2 개)로 갈라지고, 화주에 털이 없으나 드물게 있으며,

           수과 단면이 삼릉형이다(애기하늘지기절)

           14. 수과 표면에 돌기가 없고, 화주 기부에 약간의 돌기 털이 있다 ----- 털잎하늘지기 

           14. 수과 표면에 돌기가 있고, 화주에 털이 없다

                 15. 줄기 기부가 납작하게 눌리며, 횡단면은 십자형이다 ----- 바람하늘지기 

                 15. 줄기 기부가 납작하지 않으며, 횡단면은 십자형이 아니다

                      16. 옆으로 뻗는 지하경이 있고, 줄기는 단생한다

                            17. 화서에 소수는 10개 미만이고, 인편은 4 mm 이상이다 ----- 들하늘지기 

                            17. 화서에 소수는 20개 이상이고, 인편은 4 mm 미만이다 ----- 진도하늘지기 

                      16. 옆으로 뻗는 지하경이 없고, 줄기는 총생한다

                            18. 화서가 달리는 줄기에 엽신이 없는 초상엽만 있다

                                  19. 줄기가 잎보다 길고, 소수는 난형, 인편은 흑갈색,

                                        암술머리가 갈라지는 곳까지 화주 길이가 0.5–0.8 mm이다 ----- 검정하늘지기 

                                  19. 줄기가 잎보다 짧고, 소수는 타원형, 인편은 황갈색,

                                        암술머리가 갈라지는 곳까지 화주 길이가 0.8–1.2 mm이다 ----- 물하늘지기 

                            18. 화서가 달리는 줄기에 엽신이 있는 잎이 있다

                                  20. 다년생, 인편은 길이 2.2–3.2 mm, 약은 3개, 길이 1 mm 이상이다 ----- 어른지기 

                                  20. 일년생, 인편은 길이 1.6–2.1 mm, 약은 1개, 길이 1 mm 이하이다 ----- 애기하늘지기 

 

[생육지별 구분]

1. 바닷가형

(1) 염습지 및 기수역 생육형: 갯하늘지기, 큰하늘지기    (2) 사구 생육형: 털잎하늘지기

(3) 염전 주변 생육형: 갯하늘지기                                    (4) 바닷가 초지 생육형: 남하늘지기, 쇠하늘지기

2. 건조한 초지형

(1) 묘지 및 초지 생육형: 들하늘지기                                (2) 바위 생육형: 바위하늘지기

3. 저수지형

(1) 만수위선 주변 생육형: 물하늘지기                              (2) 저수위선 생육형 : 하늘지기, 암하늘지기, 좀민하늘지기

4. 산지습지형

(1) 임도변, 임연부 물이 고인 지역 생육형 : 검정하늘지기

(2) 산지습지 생육형 : 어른지기, 진도하늘지기, 꼴하늘지기

5. 경작지 농수로 주변 생육형 : 밭하늘지기, 애기하늘지기, 바람하늘지기

6. 임도, 사면, 나대지 등 생육형 : 하늘지기, 털하늘지기

 

털잎하늘지기 수과

'20.9.23

hyunsik.tistory.com

'20.9.23

잎은 편평하며 폭 1.5-2mm로서 화경보다 짧고 우단같은 털이 있다.

화서는 복산형이거나 가지끝에 3-10개가 두상으로 모여 달리며 포는 1-2개이고 짧다. 8-10월 개화. 소수는 좁은 난형이고 길이 6-10mm, 폭 4mm정도로서 회갈색이다. 인편은 넓은 난형이며 맥이 많고 길이 4mm정도로서 능선이 있다. 암술대는 길이 6mm정도로서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넓은 도란형이며 양쪽이 볼록하고 길이 1.5mm정도로서 흑갈색이다.

높이 10-30㎝로서 잎과 더불어 긴 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