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미기록종

분개구리밥속???(5.13)

by 곰보배추 2024. 5. 14.

우리나라에 보고된 분개구리밥속은 남개구리밥과 분개구리밥 2종이고 세계적으로 11종이 있다.

제가 본 분개구리밥속은 아래의 이유로 남개구리밥과 분개구리밥이 아닌 미기록종이 아닐까 싶다.

- 엽상체의 길이가 약 1mm정도로, 0.5~0.8mm인 남개구리밥에 해당되지 않고

- 엽상체가 반투명하고 가장자리가 잘보여,

  불투명하고 가장자리가 잘 보이지 않는 분개구리밥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비교] 남개구리밥과 분개구리밥

* 남개구리밥(W. globosa (Roxb.) Hartog & Plas)

  - 엽상체가 투명하고 광채가 없다. 엽상체 가장가리가 투명하며 수면아래에 잠긴다.

  - 엽상체의 길이는 0.5-0.8mm

   cf. 수면아래 잠기는 엽상체 가장자리는 분개구리밥에 비해 많이 넓다.

* 분개구리밥(W. arrhiza (L.) Horkel ex Wimm.)

  - 엽상체가 불투명하고 광채가 난다. 엽상체 가장자리는 수면아래 잠기나 잘 보이질 않는다.

  - 엽상체의 길이는 0.7-1.3mm

 

[유럽의 Wolffia(분개구리밥속) 식별 키]

1. 엽상체는 너비보다 길이가 1.3-2.5 배, 깊이가 너비보다 1.5-3.0배 더 크며, 가장 넓은 너비는 수면에 있다.

    (위에서 볼 수있는 반투명 가장자리가 거의 보이지 않음. 색소세포가 있음) ----- W. australiana

1. 엽상체 길이는 폭보다 1.0-1.7 배, 깊이는 너비보다 0.75-1.5 배이며, 가장 큰 너비는 수면 아래에 있다.

    (적어도 옆면은 위에서 볼 수있는 반투명 가장자리. 색소세포가 없음)

    2. 엽상체 윗면은 짙은 녹색이고, 불투명하고 표면이 반짝이며 뚜렷하게 평평하다.

        정점이 약간 뾰족하다. ----- 분개구리밥(W. arrhiza)

   2. 엽상체 윗면은 투명한 녹색이고 광택이 없으며 다소 둥글다. 정점은 약간 뾰족하거나 둥글다. 

        3. 엽상체는 길이 0.8-1.2mm, 너비 > 0.6mm, 거의 구형 (너비의 1.0-1.3 배 길이),

           윗면의 대부분은 명확하게 둥글고, 윗부분은 편평하다. ----- W. columbiana

       3. 엽상체는 길이 0.4-0.8mm(폭은 보통 < 0.6mm) 폭보다 길다(난형-원통형으로 너비의 1.3-1.7(2) 배),

           윗면은 거의 둥글지 않고(위에서 평평함), 끝에는 뚜렷한 반투명

           가장자리가 있다. ----- 남개구리밥(W. globosa)

 

--------------------------------- 아래는 유럽 논문 자료 중 표 발췌 ----------------------------------

분개구리밥(W. columbiana, W. globosa)속 해외 논문 자료.pdf
1.02MB

1. 엽상체는 너비보다 길이가 1.3-2.5 배, 깊이가 너비보다 1.5-3.0배 더 크며, 가장 넓은 너비는 수면에 있다.

    (위에서 볼 수있는 반투명 가장자리가 거의 보이지 않음. 색소세포가 있음) ----- W. australiana

1. 엽상체 길이는 폭보다 1.0-1.7 배, 깊이는 너비보다 0.75-1.5 배이며, 가장 큰 너비는 수면 아래에 있다.

    (적어도 옆면은 위에서 볼 수있는 반투명 가장자리. 색소세포가 없음)

    2. 엽상체 윗면은 짙은 녹색이고, 불투명하고 표면이 반짝이며 뚜렷하게 평평하다.

        정점이 약간 뾰족하다. ----- 분개구리밥(W. arrhiza)

   2. 엽상체 윗면은 투명한 녹색이고 광택이 없으며 다소 둥글다. 정점은 약간 뾰족하거나 둥글다. 

        3. 엽상체는 길이 0.8-1.2mm, 너비 > 0.6mm, 거의 구형 (너비의 1.0-1.3 배 길이),

           윗면의 대부분은 명확하게 둥글고, 윗부분은 편평하다. ----- W. columbiana

       3. 엽상체는 길이 0.4-0.8mm(폭은 보통 < 0.6mm) 폭보다 길다(난형-원통형으로 너비의 1.3-1.7(2) 배),

           윗면은 거의 둥글지 않고(위에서 평평함), 끝에는 뚜렷한 반투명 가장자리가 있다. ----- 남개구리밥(W. globosa)

세계적으로 분개구리밥속은 11종이 있다.

 

남개구리밥 (분개구리밥속/11.15)

분개구리밥속 식물의 특징은 가장 작은 꽃을 피우는식물체이며 엽상체에 뿌리가 없다.우리나라는 분개구리밥속에 남개구리밥(Wolffia globosa)과 분개구리밥(Wolffia arrhiza (L.) Wimm.)  2종이 있으나유

hyunsik.tistory.com

 

분개구리밥 (Wolffia arrhiza (L.) Wimm.)

분개구리밥속 식물의 특징은 가장 작은 꽃을 피우는식물체이며 엽상체에 뿌리가 없다.우리나라는 분개구리밥속에 남개구리밥(Wolffia globosa)과 분개구리밥(Wolffia arrhiza (L.) Wimm.)  2종이 있으나

hyunsik.tistory.com

 

'24.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