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가238

구내풀 (포아풀속/4.30) 학명은 Poa hisauchii Honda. 실포아풀과 유사하나 가지가 많이 달리고 호영 맥에만 털이 있다. [포아풀속 검색표] 1. 화서와 가지는 짧고 뻣뻣한 털이 없어 매끈하다. 2. 소수는 무성아를 형성한다 ··································································· 이삭포아풀 2. 소수는 무성아를 형성하지 않는다 ··························································새포아풀 1. 화서와 가지는 짧고 뻣뻣한 털이 있어 거칠다. 3. 잎목 가장자리에 연모가 없다. 4. 줄기의 절간 이상의 긴 지하경을 가진다. 5. 줄기의 마디는 2−3개이다. 6. 잎몸 표면과 드물게 잎집에 털이 있다 ···.. 2017. 3. 14.
긴괭이싸리 (괭이싸리로 통합) '16.9.10 / 장항 8-9월에 화경의 길이가 12㎜에 달하는 화서가 엽액에서 나와 3-5개의 백색 꽃이 모여서 핀다. 꽃받침은 깊고 가늘게 5개로 갈라지며 긴 털이 밀생하고 각 열편에 3-5맥이 있으며 기판은 도란형이고 기부에 자줏빛이 돈다. 괭이싸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7082702 2017. 3. 6.
꼬인새 (Dantbonia spicata (L.) Roem. & Schult.) 꼬인새 (꼬인새속) 다년초. 외래식물. 포영(1, 2포영의 길이는 같다)은 소수보다 길며, 소수는 작은 소수가 2개씩 쌍으로 4~5개 정도 달리고 소화는 4~9개정도 된다. (2번째 소화는 짧은 자루가 있고, 소수 끝에 달리는 hyunsik.tistory.com '12.6.15 / 예천 '12.6.26 / 예천 [특징] : 포영이 소수보다 길다. 꼬인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405 2017. 2. 6.
끈적털갯개미자리 (갯개미자리속) 갯개미자리속에는 유럽개미자리, 갯개미자리, 끈적털갯개미자리 3종이 있다. 유럽개미자리(Spergularia rubra J.Presl & C.Presl) -탁엽은 이생하며 긴 삼각형(3~5mm). - 꽃받침, 화경에 샘털이 있다. 갯개미자리 (Spergularia marina (L.) Griseb.) - 탁엽은 합생하며 넓은 삼각형 또는 넓은 달걀모양(1.5~3mm). - 꽃받침에 샘털이 있고, 화경엔 샘털이 드물게 있다. 끈적털갯개미자리 (Spergularia bocconei (Scheele) Graebn.) - 탁엽은 합생하며 넓은 삼각형 또는 넓은 달걀모양(1.5~3mm). - 꽃받침, 화경, 잎 및 줄기 윗부분에 샘털이 밀생한다. '15.5.6 / 군산 '15.5.5 / 군산 2016. 11. 15.
가는수크령 (Pennisetum flaccidum Griseb.) '16.9.24 / 영천 가는수크령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816 http://blog.daum.net/watcher/8766933 http://blog.daum.net/watcher/8766934 가는수크령 영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9716 수크령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224 2016. 10. 16.
고려용수염 (Diarrhena koryeoensis Honda) '16.8.28 / 태안 고려용수염 영과 보기 : 2016. 9. 17.
강활 (산형과, 당귀속/8.7) [비교] 지리강활, 강활, 참당귀 잎[지리강활] 소엽이 만나는 부위에 보라색을 띠며 정소엽은 자루가 있다. [강활] 소엽이 만나는 부위가 보라색을 띠며 엽축이 흔히 굽고, 엽연은 거치가 크고 날카롭다. [참당귀] 소엽의 자루에 날hyunsik.tistory.com 강활 신엽(5.10)[비교] 강활, 지리강활* 강활  나물. 소엽의 분지점이 보라색을 띠며 엽축이 흔히 굽고, 엽연은 거치가 크고 날카롭다. * 지리강활  독초. 소엽의 분지점이 보라색을 띤다. 강활 (산형과, 당귀속hyunsik.tistory.com 지리강활'22.7.9hyunsik.tistory.com[기재문]학명은 Pleurospermum praeteritum Kitag. 계곡 근처의 그늘진 곳 또는 습한 곳에 생육한다. 식물체는 최소 0.. 2016. 9. 13.
갈사초 (Carex ligulata var. austrokoreensis Ohwi) '16.7.9 / 정읍 갈사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550 http://blog.daum.net/watcher/8766055 갈사초 수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589 2016. 8. 15.
귀박쥐나물 (6.5) [박쥐나물속 비교] 1. 줄기에 털 유형    - 유모 : 나래박쥐나물    - 무모 : 민박쥐나물, (한국산)게박쥐나물, 귀박쥐나물2. 엽병의 날개 유형   - 날개가(좁거나 넓게 발달) 있음 : 나래박쥐나물, 민박쥐나물   - 날개가 없음 : (한국산) 게박쥐나물, 귀박쥐나물3. 잎 귀모양의 기부가 귀처럼 넓어지는 유형     - 존재형 : 귀박쥐나물, 나래박쥐나물    - 부재형 : (한국산) 게박쥐나물, 민박쥐나물4. 경생엽의 수   - 3개∼5개 : (한국산) 게박쥐나물   - 6개∼10개 : 귀박쥐나물, 나래박쥐나물   - 11개 이상 : 민박쥐나물5. 개화기의 줄기의  중부잎 형태(잎의 형태는 상·중·하부잎으로 구분)   ① 삼각상극저형 : 잎의 형태가 삼각형으로 기부 열편이 다소 뾰족하고,.. 2016. 7. 25.
광릉골무꽃 (6.19) [기재문] 학명은 Scutellaria insignis Nakai이며 종소명 insignis는 '특별한' 의미 희귀멸종위기식물 산지의 숲속 반그늘 지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으며 능선에 털이 있다. 줄기는 높이 40~70cm에 달하고 곧추선다. 잎은 마주나며 잎몸은 길이 4~10cm, 너비 1.2~4.5cm,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앞면에 털이 약간 있고 뒷면에는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굵은 톱니가 있다. 맨 위에 있는 잎은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하다. 총상꽃차례는 정생하며 곧추선다. 포는 길이 5~10mm이고 선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다. 작은꽃자루는 길이 4mm 정도이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길이 3.5cm이고 연한 하늘색. 꽃받침은 길이 4m.. 2016. 7. 17.
각시미꾸리광이 (5.30) [벼과 속 검색표]1. 제1포영과 제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 겨이삭속, 산새풀속, 갈풀속, 향모속 등1. 제1포영과 제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2.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 갈대속    2.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없다.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소화는 1개 있다.             4.  한 개의 소수에 한개의 임성소화만 있다. ----- 산기장속, 담상이삭풀속, 쥐꼬리새속             4.  한 개의 소수에 2개의 소화가 있으나 임성소화는 1개뿐이다. ----- 기장속, 좀조개풀속,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소화는 2개 이상 여러 개이다.            .. 2016. 7. 15.
각시수련 (Nymphaea tetragona var. minima (Nakai) W.T.Lee) '16.6.6 / 고성 꼬마수련 보기 : 꼬마수련 (신칭, Nymphaea pygmaea) 암술머리가 노란색, 꽃받침이 사각형, 잎이 직경 15 cm까지 성장한다. 영양/생장 상태에 따라 잎과 꽃의 크기가 변이가 심하여, 잎과 꽃이 작을 때는 각시수련과 구분하기가 어렵다. 각시수련 (Nymphaea tetragona var. minima): 암술머리가 노란색, 꽃받침이 사각형, 잎은 직경 6 cm 이하다. 형태적, 유전적으로 꼬마수련에 가깝다. 전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고유종이며, 멸종위기종 Ⅱ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2016. 7. 12.
겨사초 (4.16) [기재문] 학명은 Carex mitrata Franch. 줄기는 짧은 근경이 있고, 기부 엽초는 갈색이다. 포엽은 가시 모양이고 화서보다 짧으며 3~4mm의 짧은 초부가 있다. 소수는 3~4개로 정생소수는 웅성으로 가는다란 선형이고 측생소수는 원기둥 모양이다. 과낭은 연한 황록색으로 자인편보다 약간 길거나 거의 같고 털이 없거나 성글게 있다. 인편은 까락이 없거나 짥은 까락이 있다.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 있고, 난형이며 길이는 1.5~2mm, 아래쪽에 짧은 자루가 있고, 끝에는 원반모양의 부속체가 있다. 겨사초(4.17) '16.4.17 / 정읍 hyunsik.tistory.com 겨사초(5.14) '16.5.14 / 정읍 hyunsik.tistory.com 겨사초 열매, 종자 (5.14) '16.5.1.. 2016. 5. 10.
검은개선갈퀴 (Galium japonicum (Maxim.) Makino & Nakai) 선갈퀴 (Asperula odorata L.) 잎은 6-10장씩 윤생하며 뒷면 중륵과 가장자리에 위를 향한 강모가 있다. 검은개선갈퀴 (Galium japonicum (Maxim.) Makino & Nakai) 잎은 6개씩 윤생하고 밑부분이 가장 넓고 끝이 뾰족하다. '15.5.8 / 전북 검은개선갈퀴 열매 (tistory.com) 검은개선갈퀴 열매 '22.8.22 hyunsik.tistory.com 검은개선갈퀴 (tistory.com) 검은개선갈퀴 '22.8.22 검은개선갈퀴 (Galium japonicum (Maxim.) Makino & Nakai) (tistory.com) 검은개선갈퀴 (Galium japonicum (Maxim.) Makino & Nakai) 선갈퀴 (Asperula odorata.. 2016. 3. 31.
기수초 (Suaeda malacosperma H.Hara) '15.10.10 / 서산 기수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765 해홍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7494732 방석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781 칠면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782 2015. 12. 13.
검정하늘지기 (Fimbristylis diphylloides Makino) '15.9.25 / 장성 물하늘지기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7525230 하늘지기 보기 : 2015. 11. 21.
겨풀 (Leersia sayanuka Ohwi) [특징] 좀겨풀에 비해 소수가 가늘며 강모가 짧다. '15.8.29 / 태안 겨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412 좀겨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357 겨풀 소수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773 나도겨풀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7882432 길이 8~15cm, 폭 5~10mm로서 부드러우나 가장자리는 껄끄럽다. 잎혀는 길이 4mm이며 막질이다. 화서는 길이 15cm 정도의 원추형이고, 8~10월에 길이 약 6mm인 10개 내외의 녹색 잔이삭이 가지에 느슨하게 달린다. 꽃차례를 이루는 가지는 2~3개로 갈라지며, 잔이삭은 가지의 밑부분에는.. 2015. 10. 9.
곤약 (천남성과, 곤약속) 학명은 Amorphophalus konjac K.Koch. 땅속줄기를 가루내어 식품으로 사용한다. '15.8.30 / 태안 곤약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609 천남성 보기 : 다년초 한때 남부지방에서 재배했다. 남부지방의 절 근처에서 간혹 볼 수 있다. 잎은 3개로 전열되고 다시 2-3개로 갈라지며 엽병은 원주형이고 연한 녹색으로서 연한 자주색 반점이 있다.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지고 축에 불규칙한 날개가 있다. 소열편은 난상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하며 엽면에 털이 없고 밑부분은 예저로서 길이 4-8㎝이다. 봄에 화경(花莖)이 나오며 길이1m정도로서 밑부분에 2-3개의 비늘같은 잎이 달리고 끝에서 길이 30-50㎝의 화.. 2015. 10. 8.
가는잎억새 가는잎억새 (억새속) 참억새의 변종으로 잎 너비가 6mm 이하이다. 소수는 장병소수와 단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개억새속인 개억새는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가는잎억새 (Miscanthus sinensis for. gracillimus (Hitc hyunsik.tistory.com '14.9.30 / 안동 2015. 9. 9.
금꿩의다리 꽃(8.7) '15.8.7 / 평창 2015. 8. 30.
김의난초 '14.5.18 / 울릉도 하순판에 노란 무늬가 있으면 김의난초. 꼬마은난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159 은난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7955 민은난초 보기 : 금난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489 2015. 7. 4.
가락지나물 (Potentilla anemonefolia Lehm.) '14.5.1 / 함안 2015. 6. 6.
각시현호색 (Corydalis misandra B.U.Oh) 남도현호색 : 종자는 거의 2열 배열. 내화판는 V자 모양. 꽃은 흰색 또는 연한 하늘색. 열매는 방추형 각시현호색 : 종자는 1열 배열. 잎에 흰색 반점이 있고 잎 테두리가 붉은색을 띔. 아래의 화판 가장자라는 마름모형 꽃은 하늘색. 열매는 선형 흰현호색 : 내화피 선단은 오목. 화경에 털이 있다. 열매는 선형 왜현호색 : 외화판변(아래의 화판 가장자리)은 원형이고, 꽃은 진한 파란색. 열매는 선형 난쟁이현호색(팔공산) : 꽃은 하늘색. 내화피 선단이 뽀족하게 돌출. 열매는 방추형 열매는 방추형 : 난쟁이현호색, 남도현호색 열매는 선형 : 각시현호색, 흰현호색, 왜현호색 내화피 선단이 - 오목 : 흰현호색 - 뽀족하게 돌출 : 난쟁이현호색 - V자 : 남도현호색 꽃 색깔이 - 흰색 : 남도현호색, 흰현.. 2015. 5. 29.
개자리 (Medicago polymorpha L.,Medicago denticulata Willd.,Medicago hispida Gaertn.) '15.4.2 / 부안 잔개자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398 좀개자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992 자주개자리 보기 : 노랑개자리 보기 : 티벳개자리 보기 : 이년초.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있고 3출엽이며 소엽은 넓은 도란형이고 원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1~2cm, 나비 7-15mm로서 윗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탁엽은 반난형이고 깊은 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피며 황색이고 엽액에 두상으로 달리며 포는 선형이고 작으며 꽃받침은 길이 2mm정도이다. 열매는 협과로 2~3회 말리고 지름 5~6mm로서 맥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갈고리같은 가시가 있다. 털이 없거나 약간 있고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옆으로 기거나 비.. 2015. 5. 6.
꼬마은난초 (Cephalanthera erecta var. subaphylla (Miyabe & Kudo) Ohwi) '14.5.17 / 울릉도 꼬마은난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127 은대난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144123 은난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7955 민은난초 보기 : 김의난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822 금난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489 은난초보다 잎이 작거나 거의 없다. 화피편은 서로 약간 떨어진다. 열매는 곧게 서며 길이 약 2cm이다. 높이 40-60cm이며 곧게 서고 털이 없으며 3-6개의 잎이 호생한다. 2015. 2. 5.
구름떡쑥 (Anaphalis sinica var. morii (Nakai) Ohwi) '14.7.27 / 제주도 다북떡쑥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572 산떡쑥 보기 : 다년초. 제주 한라산 표고 1,200~1,800m에 분포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도피침형이이며 끝이 둔하고 질이 두꺼우며 길이 1.5-2cm, 나비 3-7mm로서 밑으로 좁아져서 엽병이 없고 표면은 녹색이며 면모가 있고 뒷면은 면모가 밀생하여 회백색으로 된다. 꽃은 8-9월에 피며 연한 황색이고 두화는 끝에 1개 또는 여러개가 모여서 산방상으로 된다. 자성두화雌性頭花는 잡성이며 총포는 종형이고 길이 6mm, 지름 5mm이며 웅성두화는 수꽃뿐이고 구상 종형으로서 길이 5mm, 지름 7mm이다. 수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mm정도이다. 높이 5-20c.. 2015. 1. 14.
개억새 (Eulalia speciosa (Debeaux) Kuntze) '14.10.3 / 경남 개억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632 털개억새 보기 ; 억새아재비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432 장억새 보기 : 잎은 근생엽과 화경에 달리는 잎의 두가지가 있고 길이 30-50cm, 나비 5-7㎜이지만 약간 뒤로 말려서 지름이 2-3mm로 되며 털이 없거나 밑부분에 짧은 백색 털이 있다. 엽설은 짧고 절두이며 엽초는 윗부분에 때로 백색 털이 있고 근생엽의 밑부분 겉에는 황갈색 밀모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화서는 길이 3-4cm의 중축에 여러 개의 가지가 장상으로 달리고 길이 12-15㎝이며 황자갈색이다. 마디사이에 밀모가 있고 소수는 각 마디에 2개씩 달리며 그 중 1개는 대가 있.. 2014. 12. 22.
개연꽃(8.31) [기재문]학명은 Nuphar japonicum DC.잎은 근생이며 침수엽과 수상엽, 2형이 있다. 침수엽은 길고 좁으며 가장자리가 파상이고 막질이다.수상엽은 긴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둔두 또는 원두이고 밑부분이 전형이며 길이 20-30cm, 폭 7-12cm로서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표면은 털이 없으나 뒷면은 어릴 때 털이 약간 있으며 광채나는 혁질이다.꽃은 황색으로 8~9월에 피며 뿌리에서 원주형의 긴 화경이 나와 황색 꽃이 1개씩 달리며 꽃은 지름 5cm이고5개의 꽃받침잎은 넓은 도란형이며 원주이고 길이 2.5cm로서 꽃잎같으며 꽃잎은 많고 장방형으로서 밖으로 젖혀진다.수술은 황색으로서 많으며 밖으로 굽고 자방은 광란형이며 다실(多室)이고 암술머리는 방석처럼 퍼지며 가장자리에톱니가 있다.열매는 삭과로서.. 2014. 11. 23.
갈매기난초 (제비난초속, 6.2) [제비난초속의 종 검색표]1. 잎은 위로 가면서 서서히 작아진다.    2. 잎은 타원형 또는 좁은 타원형이며, 입술꽃잎(순판)의 가운데 갈래는 길이 13~20mm이다. ----- 갈매기란    2. 잎은 넓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입술꽃잎(순판)의 가운데 갈래는 길이 5~8mm이다. ----- 흰제비란1. 잎은 위로 가면서 갑자기 작아지며 밑부분의 1~3장만 크다.    3. 입술꽃잎은 원형, 난형, 타원형이며, 위로 말린다. ----- 고산제비란    3. 입술꽃잎은 혀 모양이며, 위로 말리지 않는다.          4. 꽃은 흰색이며, 맨 아래 2장의 잎은 마주난 것처럼 보인다. ----- 제비난초         4. 꽃은 녹색 또는 황록색이며, 맨 아래 2장의 잎은 뚜렷이 어긋나 보인다... 2014. 9. 16.
게박쥐나물 (7.27) 신규학명 부여출처 : 2023년 식물분류학회지한국산 게박쥐나물은 일본산 게박쥐나물과 다르게 총포의 형태, 총포편 수, 소화 수, 화관 판통과 판인의 비율 등의 형질로 뚜렷이 구분 되었으며, 국내에서 관찰된 개체들은 총포편이 보통 5개에서 드물게 4개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두 분류군은 외부형태적으로 뚜렷한 차이가 있어 한국산 게박쥐나물을 신종으로 인식하였고, 총포편 수가 5개인 특징으로 종소명을 pentaphylla로 부여하였다잎 표면이 광택이 난다.[박쥐나물속 비교]1. 줄기에 털 유형    - 유모 : 나래박쥐나물    - 무모 : 민박쥐나물, (한국산)게박쥐나물, 귀박쥐나물2. 엽병의 날개 유형   - 날개가(좁거나 넓게 발달) 있음 : 나래박쥐나물, 민박쥐나물   - 날개가 없음 : (한국산) 게박.. 2014.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