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열매 및 종자/벼과(영과)

털빕새귀리 열매, 종자(6.9)

by 곰보배추 2024. 6. 19.

소수의 길이가 1~3.5cm로 변화가 심하다.

호영은 까끌거리거나 잔털이 많고, 엽초와 엽신에도 잔털이 많다.

민둥빕새귀리는 털빕새귀리에 비해 소수에 털이 없다.

[참새귀리속 검색표]

1. 제1포영은 1맥, 제2포영은 3맥이며 호영은 선상피침형(빕새귀리류)이다.

     2. 호영은 길이 9~12mm, 까락은 길이 10~15mm이다. 

         3. 소수에 개출모가 있다. ----- 털빕새귀리

         3. 소수에 개출모가 없다. ----- 민둥빕새귀리

     2. 호영은 길이 8mm이상, 까락은 길이 15mm이상이다. 

          4. 까락은 길이 15~40mm이다. 제1포영은 길이 5~15mm, 호영은 길이 8~25mm. ----- 까락빕새귀리

          4. 까락은 길이 25~40mm이다. 제1포영은 길이 15~18mm, 호영은 길이 20~25mm. ----- 긴까락빕새귀리

1. 제1포영은 3~5맥, 제2포영은 5~7맥이며 호영은 타원형(참새귀리류)이다.

    5. 소화경은 1.0~1.5cm으로 직립한다. 원추화서는 피침형으로 응축된다.

         6. 호영 및 포영에 털이 산생한다. ----- 털참새귀리

         6. 호영 및 포영에 털이 없다. ----- 민둥참새귀리

    5. 소화경은 2cm 이상이다. 원추화서는 넓게 퍼진다.

         7. 소화경은 뻣뻣하며 직립하고 퍼지지만 아래로 굽지 않는다. ----- 큰참새귀리

         7. 소화경은 아래로 굽는다. ----- 참새귀리

[참새귀리속 비교]

1. 소수가 선상피침형(빕새귀리류) : 화서가 많이 처진다.

    2. 소수에 털이 있다 : 털빕새귀리, 

    2. 소수에 털이 없다 : 민둥빕새귀리, 까락빕새귀리, 긴까락빕새귀리

        3. 화서가지는 짧다 : 긴까락빕새귀리

        3. 화서가지는 길다 : 민둥빕새귀리, 까락빕새귀리

1. 소수가 타원형(참새귀리류) : 주로 화서가 처지지 않는다. 

    2. 까락이 매우 짧다 : 좀참새귀리

    2. 까락이 길다 : 털큰참새귀리, 큰참새귀리, 참새귀리, 털참새귀리, 민둥참새귀리, 긴털참새귀리

        3. 화서가 응축형 : 털참새귀리, 민둥참새귀리, 긴털참새귀리

            4. 엽초에 털이 많다 : 털참새귀리, 긴털참새귀리

            4. 엽초에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다 : 민둥참새귀리

        3. 화서가 개방형 : 털큰참새귀리, 큰참새귀리, 참새귀리

            4. 엽초에 털이 있다 : 털큰참새귀리, 참새귀리

                 5. 성숙하면 까락이 꺾인다 : 참새귀리

                 5. 성숙해도 까락이 꺾이지 않는다 : 털큰참새귀리

            4. 엽초에 털이 없다 : 큰참새귀리

'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