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나래새와 제주나래새는 학명과 속명이 수정됨('23.7.12)
[벼과 속 검색표]
* 암수꽃이 따로 피고, 총포엽이 있는 옥수수속, 율무속, 대청가시풀속은 제외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 수크령속, 잔디속, 밀속, 호밀속 등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 모새달속, 나도개피속, 우산잔디속, 억새속 등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 강아지풀속, 뚝새풀속, 보리속 등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 줄속, 벼속, 겨풀속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5. 무병, 유병소수 또는 장병, 단병소수가 짝지어 붙는다.
6. 유병소수와 무병소수 모두 양성이다. ----- 기름새속
6. 유병소수는 웅성, 무병소수는 양성이다. ----- 나도기름새속, 수수속
5. 화서의 화축 작은 자루에 소수는 한 개씩 붙는다.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6. 소수에 한 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 나래새속, 나도겨이삭속, 나도딸기광이속, 겨이삭속, 산새풀속
6. 소수에 2개 이상의 소화가 들어 있다. ----- 새속, 향모속, 갈풀속, 귀리속 등
4. 제1, 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 김의털속, 대새풀속, 쌀새속, 포아풀속 등
[나래새속의 종 검색표]
1. 화서의 가지는 길고, 옆으로 펼쳐지며 끝에 여러 개의 소수가 달린다. ----- 나래새(Achnatherum pekinense)
1. 화서의 가지는 짧고, 화축에 밀착하여 직립하고 소수는 화축에 압착되어 총처럼 보인다.
2. 잎은 폭 15~20mm, 소수는 길이 10~15mm, 포영은 7~9맥. ----- 참나래새(Achnatherum coreanum)
(Patis coreana)
2. 잎은 폭 10mm 내외, 소수는 길이 10mm, 포영은 7맥. ----- 제주나래새(Achnatherum coreanum var. kengii)
(Patis coreana var. kengii)
나래새 (8.23, 나래새속)
참나래새와 제주나래새는 학명과 속명이 수정됨('23.7.12)[벼과 속 검색표] * 암수꽃이 따로 피고, 총포엽이 있는 옥수수속, 율무속, 대청가시풀속은 제외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 수크
hyunsik.tistory.com
나래새(9.28, 나래새속)
참나래새와 제주나래새는 학명과 속명이 수정됨('23.7.12)[벼과 속 검색표] * 암수꽃이 따로 피고, 총포엽이 있는 옥수수속, 율무속, 대청가시풀속은 제외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 수크
hyunsik.tistory.com
'24.10.24.
'열매 및 종자 > 벼과(영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풀 열매, 종자(10.16) (0) | 2025.02.11 |
---|---|
가지돌피 열매, 내영(8.17) (0) | 2025.02.01 |
비노리 종자(7.16) (0) | 2025.01.28 |
왕미꾸리광이 종자(10.20) (0) | 2025.01.02 |
좀돌피 열매, 내영(9.25) (0)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