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치식물/양치식물 신엽77

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 신엽(4.16, 5.7) [족제비고사리 근연종 비교]1. 우축 뒷면에     - 인편이 납작한 것들 : 큰족제비, 애기족제비, 족제비(실처럼 가늘고)    - 인편이 빵빵한 것들 : 광릉족제비, 바위족제비, 산족제비, 꼬리족제비(기부만 바가지 모양으로 )    - 인편이 거의 없는 것들 : 금족제비, 가는잎족제비고사리2. 엽병의 인편 (최하의 소우편 열편)    - 산족제비고사리 : 선형 또는 피침형 (안으로 말리며 밋밋하다)    - 애기족제비고사리 : 선상 피침형    - 큰족제비고사리 : 실처럼 가늘다. (톱니가 있다)[비교] 애기족제비고사리, 산족제비고사리, 큰족제비고사리종 명애기족제비고사리(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 포함)산족제비고사리큰족제비고사리우축 뒷면의 인편 모양납작함올챙이배처럼 빵빵함납작함엽병색깔볏짚색황갈색 또는 갈색볏.. 2025. 1. 26.
십자고사리 신엽(4.1) 십자고사리 신엽(관중과/4.2)[기재문] 학명은 Polystichum tripteron (Kunze) C.Presl 산지 숲속에서 하록성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곧추서며, 끝과 밑부분에 진한 갈색의 피침형 비늘조각이 빽빽하게 달린다. 잎은 모여나며,hyunsik.tistory.com 십자고사리(4.20)[기재문] 학명은 Polystichum tripteron (Kunze) C.Presl 산지 숲속에서 하록성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곧추서며, 끝과 밑부분에 진한 갈색의 피침형 비늘조각이 빽빽하게 달린다. 잎은 모여나며,hyunsik.tistory.com 십자고사리 포자낭군(4.22)십자고사리 신엽(관중과/4.2) [기재문] 학명은 Polystichum tripteron (Kunze) C... 2024. 12. 28.
퍼진고사리 신엽(5.2) [특징]1. 포복지가 있다. 엽병의 중심부가 흑갈색의 큰 인편이 많이 붙는다.2. 최하 우편의 하향 제1소우편이 가장 길다.3. 엽신은 3회 우상 심열~전열이며, 열편의 끝이 침처럼되거나 날카로운 톱니가 된다.4. 포자낭군은 둥근 콩팥모양이다.[관중속의 종 검색표]1. 소우축이나 열편의 중륵에는 기부가 주머니모양인 비늘조각이 없다.    2.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또는 1회 우상으로 갈라지나 잎몸 하부에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2. 잎몸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14. 잎몸은 긴타원상 피침형이며, 잎에 황색 샘털이 있다. ----- 주저리고사리        14. 잎몸은 난상 피침형이거나 삼각상이며, 잎에 샘털이 없다.              15. 열편 톱니의 끝은 .. 2024. 5. 5.
참새발고사리 신엽(4.23) 엽병은 적갈색을 띠고 중축과 더불어 샘털이 밀생한다. 참새발고사리 신엽(4.15)개고사리과의 속 검색표1. 포막이 있다.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V자형이고, 포막은 말굽모양 또는 갈고리형이다. --hyunsik.tistory.com 2024. 4. 26.
관중 엽신의 전개(4.16) '24.4.16 2024. 4. 21.
곱새고사리 신엽(4.16) [비교] 왕지네고사리, 곱새고사리 * 왕지네고사리의 특징 엽병의 인편이 엽병에 달라 붙고, 소우편 엽연이 날카롭고 맥은 45도, 중축의 골은 V자형. 군락을 형성 * 곱새고사리의 특징 우축에 날개가 있고 최하 소우편 중 중축에 있는 열편이 작다. 빽빽하게 뭉쳐난다. [개고사리과 진고사리속 종 검색표] 1. 잎몸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2. 잎몸은 2회 우상이고, 포막은 원형이거나 말굽모양이다. ----- 진퍼리개고사리 2. 잎몸은 3회 우상이고, 포막은 말굽모양과 갈고리모양이다. ----- 푸른개고사리 1.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3. 뿌리줄기는 굵고, 짧게 서거나 기며, 잎자루의 기부는 부풀어 오르고 통기공이 있으며 포막은 두껍다. 4. 우축은 날개가 없고 잎맥은 단순하며 포자낭군은 장.. 2024. 4. 18.
왕지네고사리 신엽(관중과/4.17) [비교] 왕지네고사리, 곱새고사리 * 왕지네고사리의 특징 엽병의 인편이 엽병에 달라 붙고, 소우편 엽연이 날카롭고 맥은 45도, 중축의 골은 V자형. 군락을 형성 * 곱새고사리의 특징 우축에 날개가 있고 최하 소우편 중 중축에 있는 열편이 작다. 빽빽하게 뭉쳐난다. [관중속의 종 검색표] 1. 소우축이나 열편의 중륵에는 기부가 주머니모양인 비늘조각이 없다. 2.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또는 1회 우상으로 갈라지나 잎몸 하부에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3.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4. 우편은 얕게 또는 중간 정도 갈라진다. 5. 잎몸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지 않거나 약간 좁아지며, 우편의 아랫부분이 귀모양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6. 포자낭군은 우편의 중륵 가까이에 붙는다. 7. 포막은.. 2024. 4. 18.
음양고비 신엽(4.16) [비교] 고비과, 야산고비과- 고비과 : 잎은 이형, 엽신 중축에 홈이 없다.(고비, 꿩고비, 음양고비)- 야산고비과 : 잎은 이형, 엽신 중축에 홈이 있다.(청나래고사리, 야산고비, 개면마)[고비과의 속 검색표]1. 성숙한 영양엽의 중축 뒷면에 털이 없다. ----- 고비속(고비, 음양고비)1. 성숙한 영양엽의 중축 뒷면에 털이 남아 있다. ----- 꿩고비속(꿩고비)속명잎몸잎몸 상태성숙 후 우편 뒷면의 털고비속1~2회 우상2가지 모양이거나 부분적 2가지 모양없음꿩고비속1회 우상뚜렷한 2가지 모양있음  꿩고비 영양엽 상부 형태 및 잎맥'23.6.2hyunsik.tistory.com 음양고비 꿩고비 영양엽 비교[음양고비] [꿩고비]hyunsik.tistory.com 꿩고비 신엽(4.22)'23.4.22h.. 2024. 4. 16.
청나래고사리 신엽(4.12) [비교] 고비과, 야산고비과- 고비과 : 잎은 이형, 엽신 중축에 홈이 없다.(고비, 꿩고비, 음양고비)- 야산고비과 : 잎은 이형, 엽신 중축에 홈이 있다.(청나래고사리, 야산고비, 개면마)[야산고비과의 속 검색표] 출처 : 한국의 양치식물(이창숙, 이강엽)1. 잎자루의 표면에 홈이 있으며, 잎몸은 기부로 가면서 좁아진다. ----- 청나래고사리속(청나래고사리 1종)1. 잎자루의 표면에 홈이 없이 약간 납작하고, 잎몸은 기부로 가면서 좁아지지 않는다.     2. 뿌리줄기는 길게 기며, 잎맥은 그물맥이고 유리맥이 거의 없고, 포자엽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소우편은 염주알 모양이다. ----- 야산고비속(야산고비 1종)     2. 뿌리줄기는 짧고, 잎맥은 유리맥이고, 포자엽은 1회 우.. 2024. 4. 14.
십자고사리 신엽(관중과/4.2) [기재문] 학명은 Polystichum tripteron (Kunze) C.Presl 산지 숲속에서 하록성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곧추서며, 끝과 밑부분에 진한 갈색의 피침형 비늘조각이 빽빽하게 달린다. 잎은 모여나며, 잎자루는 길이 10~30cm, 지름 2mm쯤이며, 비늘조각은 바짝 달라붙고 가장자리에 털이 없으며 쉽게 떨어진다. 잎몸은 1회 깃 모양으로 갈라지고, 길이 30~50cm로 맨 아래 깃조각이 크게 발달해 전체가 십자 모양을 이룬다. 깃조각 중축에 붙는 비늘조각은 비교적 오래 남는다. 포자낭군은 주맥과 가장자리의 중간에 대개 일렬로 붙고, 포막은 방패형으로 일찍 떨어진다. 포자기는 7~9월이다. . 잎이 십자 모양이므로 쉽게 구분된다. 십자고사리 포자낭군(4.22) '23.4.22 .. 2024. 4. 6.
큰족제비고사리 신엽 (5.11, 관중과, 관중속) [족제비고사리 근연종 비교]1. 우축 뒷면에     - 인편이 납작한 것들 : 큰족제비, 애기족제비, 족제비(실처럼 가늘고)    - 인편이 빵빵한 것들 : 광릉족제비, 바위족제비, 산족제비, 꼬리족제비(기부만 바가지 모양으로 )    - 인편이 거의 없는 것들 : 금족제비, 가는잎족제비고사리2. 엽병의 인편 (최하의 소우편 열편)    - 산족제비고사리 : 선형 또는 피침형 (안으로 말리며 밋밋하다)    - 애기족제비고사리 : 선상 피침형    - 큰족제비고사리 : 실처럼 가늘다. (톱니가 있다)[비교] 애기족제비고사리, 산족제비고사리, 큰족제비고사리종 명애기족제비고사리(누른애기족제비고사리 포함)산족제비고사리큰족제비고사리우축 뒷면의 인편 모양납작함올챙이배처럼 빵빵함납작함엽병색깔볏짚색황갈색 또는 갈색볏.. 2024. 2. 6.
큰지네고사리 신엽 반들지네고사리 : 소우편 끝이 뾰족한 편이고 잎은 광택이 있다. 큰지네고사리 : 소우편 끝이 둥근 편이고 잎은 광택이 없는 편이다. '20.4.1 2024. 1. 22.
나도좀진고사리 신엽 (4.5 / 개고사리과, 진고사리속) 학명은 Deparia pseudoconilii (Seriz.) Seriz.개고사리과(관다발은 2개)의 속 검색표1. 포막이 있다.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V자형이고, 포막은 말굽모양 또는 갈고리형이다. ----- 개고사리속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U자형이고, 포막은 대부분 선형이다. ----- 주름고사리속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지 않으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 진고사리속1. 포막이 없다. ----- 뿔고사리속속명중축과 우축의 홈중축과 우축 모서리의 돌기다세포성 털포막개고사리속연결됨있음없음선형, 갈고리형, 말굽형 등 다양주름고사리속연결됨없음없음선형진고사리속연결안됨없음있.. 2024. 1. 22.
물고사리 신엽 (봉의꼬리과, 물고사리속) 학명은 Ceratopteris gaudichaudii Brongn. var. vulgaris Masuyama & Watano. 한해살이 정수성 또는 침수성 수생식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곧게 자란다. 잎은 뿌리줄기에 모여나는데 영양잎과 포자잎 두 가지 모양이 있다. 잎 앞면 또는 갈라지는 데서 무성아가 생긴다. 잎자루는 녹색, 드물게는 비늘조각이 있으며, 길이 30~40cm이다. 영양잎은 난상 삼각형, 길이 5~20cm, 폭 2~17cm로 2~3회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포자잎은 영양잎보다 크고 1~3회 깃꼴로 갈라지며 열편의 폭이 좁고 자루가 없다. 포자낭군은 열편의 가장자리가 뒤로 말린 안쪽에 달린다. 포자는 삼지형이고 표면의 무늬는 과립 모양이다. 포자기는 8~10.. 2023. 12. 3.
왕지네고사리 신엽(4.20) '23.4.20 2023. 7. 24.
털고사리 신엽 및 엽병 흰털고사리는 엽병에 흰인편이 없는 털고사리의 변종 '23.6.10 2023. 6. 11.
뱀고사리 신엽 '23.4.22 2023. 5. 28.
점고사리 신엽 '22.4.28 2022. 8. 7.
개고사리 신엽(4.30) 뱀고사리로 보임 '20.4.30 2022. 6. 3.
가는잎족제비고사리 신엽(4.30) '20.4.30 2022. 6. 2.
가는잎처녀고사리 신엽 가는잎처녀고사리 '20.6.8 hyunsik.tistory.com '20.3.29 2022. 5. 18.
개고사리 신엽(3.29) '19.3.29 2022. 5. 17.
비늘고사리 신엽 '19.3.27 2022. 5. 8.
실고사리 신엽 '18.5.3 2022. 2. 16.
별고사리 신엽 '18.4.16 2022. 1. 26.
푸른각시고사리 신엽 '18.4.16 2022. 1. 24.
진퍼리고사리 신엽(3.29) '20.3.29 2021. 6. 8.
돌잔고사리 신엽 '19.3.31 2021. 5. 23.
곰비늘고사리 신엽 '19.3.31 2021. 5. 23.
왁살고사리 신엽, 뿌리 [관중과의 속 검색표]1. 포막은 둥근 방패형이고, 중앙에 부착점이 있다.    2. 잎맥은 규칙적으로 복잡한 그믈맥을 이룬다. ----- 쇠고비속    2. 잎맥은 거의 유리맥이다. ----- 십자고사리속1. 포막은 콩팥모양으로 중심부까지 갈라져서 그 아래 부착된다.    3. 소우편, 열편은 아래쪽으로 먼저 갈라진다. ----- 쇠고사리속    3. 소우편, 열편은 위쪽으로 먼저 갈라진다. ----- 관중속 [비교] 가는잎족제비고사리, 왁살고사리* 공통 : 엽신의 5각형이며 하향 제1소우편이 길게 자란다. 구분과/속갈라짐우축에 털엽병의 인편소우편 뒷가는잎족제비고사리관중과/관중속3회거의 없다검은색 피침인편이 없음왁살고사리관중과/쇠고사리속3~4회(열편은 더 깊게 갈라짐)잔털이 있다밝은 갈색의인편이 밀생막.. 2021. 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