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생 및 수변식물/수생·습지식물242

개쉽싸리 '17.9.17 / 부안 2024. 2. 19.
애기개올미 (사초과, 애기개올미속) 학명은 Diplacrum caricinum R.Br. 일년생. 근경이 없이 모여나고, 뿌리는 실 모양이며, 적자색이다. 줄기 높이 3-15cm로 식물체는 작다. 무모이고, 직립하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단면은 삼각형이다. 잎 엽초에 좁은 날개가 있고, 날개는 위쪽일수록 더 넓으며, 엽설은 없다. 엽신은 선형이고, 길이는 1-4 cm, 너비는 1.5-3mm이며, 끝은 예두 혹은 서서히 좁아진다. 포엽과 소포엽 잎모양 또는 인편모양이고, 길이 3-10mm이다. 화서는 두상 또는 취산화서로 짧은 자루가 있고, 몇 개 또는 많은 소수가 엽액에 모여 달린다. 소수 자성화의 기부에 작은 웅성화가 붙는다. 웅인편 좁은 난형이고, 둔두이다. 자인편 장타원형이고, 길이 1.5-2mm, 끝은 예두이거나 3열되며, 중앙열편은.. 2024. 2. 1.
가시개올미 (사초과, 너도고랭이속) 학명은 Scleria rugosa R.Br.이며 종소명 rugosa는 '주름이 있는' 의미. 주로 남부지방에 분포하지만 수원에서 처음 발견된 한해살이풀이다. 식물체는 높이 10~30cm로 작고 연하며 전체에 털이 있다. 잎은 털이 조밀하고 너비는 2mm이며 길이는 각각 다르고 끝이 다소 뭉툭하다. 꽃차례는 잎겨드랑이와 줄기 끝에 달리고, 수꽃으로 구성된 작은이삭과 암꽃으로 구성된 작은이삭이 각각 하나씩 달리며, 길이는 2-4mm이다. 열매는 공 모양에 가까운 타원형이며 지름은 1.5~2mm이다. 열매가 익어서 마르면 흰색이고 표면은 광택이 있으며 불규칙한 그물 무늬가 있다. 열매 아래의 부속체는 세 갈래이고 끝은 뭉툭하다. [너도고랭이속 식물] * 너도고랭이 : 화서는 원추상이며 수과 표면은 세로로 긴 .. 2024. 2. 1.
산비늘사초(5.22) 학명은 Carex heterolepis Bunge [비교] 산비늘사초, 산뚝사초 * 공통 : 암술머리는 2개, 맨 아래 자소수는 대가 있다. 구 분 산비늘사초 산뚝사초 생육지 강뚝 주변의 모래땅이나 습지 주변 전국 산지 계곡이나 임도의 축축한 곳 근경 근경이 길게 뻗으므로 군락을 형성한다. 근경이 짧아 줄기는 조밀하게 모여난다 잎 너비는 3~6mm, 뒷면은 흰빛이 돈다 너비는 2~4mm 측소수 지름은 4~5mm로 뚱뚱해 보인다. 지름은 2~4mm 자인편 중앙부에 녹색 맥이 있고 가장자리는 담갈색 중앙부에 녹색 맥이 있고 가장자리는 자갈색 웅인편 중앙부는 연녹색~흰색이며 가장자리는 갈색 중앙부는 녹색이며 가장자리는 흑갈색 과낭 2.5~3mm. 유두상 미세돌기가 빽빽하다 부리 길이는 0.5mm 미만 3~4m.. 2024. 2. 1.
이삭귀개 '20.9.22 2024. 1. 23.
민구와말 (현삼과, 구와말속) [구와말과 민구와말 비교] * 구와말 - 종자 크기는 0.6mm이며 밝은 갈색을 띰. - 줄기에 연모가 없음. - 화병과 과병이 없음. * 민구와말 - 종자 크기는 0.3mm이며 암갈색을 띰. - 줄기에 연모가 있음. - 화병이 있고 열매 성숙시 과병은 화병보다 길어짐. 줄기에 털 유무나 화병/과병 유무는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와말 (현삼과, 구와말속) 학명은 Limnophila sessiliflora (Vahl) Blume이며 종소명 sessiliflora는 '꽃자루가 없는' 의미. [구와말과 민구와말 비교] * 구와말 - 종자 크기는 0.6mm이며 밝은 갈색을 띰. - 줄기에 연모가 없음. - 화병과 과 hyunsik.tistory.com 민구와말 열매 (현삼과, 구와말속) * 구와말 종자.. 2024. 1. 20.
구와말 (현삼과, 구와말속) 학명은 Limnophila sessiliflora (Vahl) Blume이며 종소명 sessiliflora는 '꽃자루가 없는' 의미. [구와말과 민구와말 비교] * 구와말 - 종자 크기는 0.6mm이며 밝은 갈색을 띰. - 줄기에 연모가 없음. - 화병과 과병이 없음. * 민구와말 - 종자 크기는 0.3mm이며 암갈색을 띰. - 줄기에 연모가 있음. - 화병이 있고 열매 성숙시 과병은 화병보다 길어짐. 줄기에 털 유무나 화병/과병 유무는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와말 열매 (현삼과, 구와말속) 학명은 Limnophila sessiliflora (Vahl) Blume이며 종소명 sessiliflora는 '꽃자루가 없는' 의미. [구와말과 민구와말 비교] * 구와말 - 종자 크기는 0.6mm이며 밝은.. 2024. 1. 20.
도깨비사초 학명은 Carex dickinsii Franch. & Sav. 이며 종소명 dickinsii는 식물 채집가에서 유래. 꽃은 5~6월에 피며 소수는 2-4개이지만 흔히 3개이며 웅소수는 줄기끝에 달리고 대가 길며 선형으로서 곧추선다. 자소수는 옆에 달리고 타원형 또는 약간 원형이며 길이 1.5-2cm, 지름 1.5cm로서 대가 없고 옆으로 향한다. 포는 잎같으며 엽초가 없고 화경보다 길며 자화영은 좁은 난형이고 뒷면에 3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암술대는 굽으며 밑부분이 넓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과포는 포영보다 훨씬 옆으로 퍼지고 넓은 난상 원추형이며 매우 부풀고 길이 1㎝로서 윤채가 나는 황색이며 털이 없고 맥이 많으며 밑부분은 둥글고 대가 짧으며 윗부분은 점점 좁아져서 긴 부리로 되고 끝이 2개로 .. 2024. 1. 19.
바늘꽃 (바늘꽃과, 바늘꽃속) 학명은 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 바늘꽃 (바늘꽃과, 바늘꽃속) 바늘꽃과 특징은 꽃이 대개 4수성으로 꽃잎과 꽃받침잎이 각각 4장. 학명은 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 산지의 축축한 곳이나 개울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고 가지를 hyunsik.tistory.com 바늘꽃 열매 돌바늘꽃 열매 (바늘꽃과, 바늘꽃속) 학명은 Epilobium amurense subsp. cephalostigma (Haussknecht) C. J. Chen et al이며 호바늘꽃의 아종이다. 여기서 종소명 amurense는 러시아 '아무르 지역의' 의미이다. 열매는 hyunsik.tistory.com 바늘꽃 (바늘꽃과,.. 2024. 1. 19.
숫잔대 꽃 (초롱꽃과, 숫잔대속/10.7) 학명은 Lobelia sessilifolia Lamb.이며 종소명 sessilifolia는 `대가 없는 잎`의 뜻으로 잎에 엽병이 없음을 나타낸다. 강한 햇볕이 드는 계곡의 습지나 냇가 근처 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짧으며 옆으로 눕는다. 줄기는 외대로 곧추서며 높이 40~10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조금 빽빽하게 달리고 잎자루가 없다. 잎몸은 피침형으로 길이 4~7cm, 폭 0.5~1.5cm이며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피는데 줄기 끝의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푸른빛이 도는 보라색 또는 드물게 붉은빛이 도는 흰색이다. 꽃자루는 5~12mm이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며 갈래는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꽃부리는 깊게 갈라진 입술 모양이며 윗입술은 2갈래, 아랫.. 2024. 1. 18.
큰물칭개나물 꽃 (현삼과, 개불알풀속) 학명은 Veronica anagallis-aquatica L.이고 종소명 anagallis-aquatica는 '수중에서 자라는 뚜껑별꽃(anagallis)' 이라는 뜻에서 유래.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냇가나 물가의 습한 곳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높이 30~60cm, 곧게 자라고, 전체에 털이 없으나 드물게 꽃차례의 축과 꽃자루, 꽃받침, 열매에 샘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4~7cm, 폭 8~15mm,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잔 톱니가 있으며, 밑은 둥글고 줄기를 반쯤 감싼다. 꽃은 8월에 피는데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4~6mm이다. 포는 넓은 선형으로 길이 4~6.. 2024. 1. 6.
물냉이 (배추과, 물냉이속/5.12) 배추과 특징은꽃차례는 일반적으로 총상화서이지만 개화 초기에는 산방화서처럼 보이며, 꽃싸개는 대부분 없다.꽃은 양성이며, 4수성, 방사상칭 또는 드물게 좌우상칭(서양말냉이속 등)이다.꽃받침조각은 4장이고, 2열로 배열되며, 빨리 떨어진다.꽃잎은 4장이고, 2장씩 마주 배열하며, 간혹 퇴화되거나 없고,흔히 기부에 화조(꽃잎 밑 부분의 좁아지는 구조)가 발달하며, 빨리 떨어진다.수술은 6개이나, 드물게 2개, 4개 또는 8개 이상이고, 2열로 배열되며,구성된 수술 중 안쪽에 배열된 4개가 다른 수술보다 긴 사강웅예이다.암술은 합생하는 심피 2개로 이루어지며, 자방은 상위이다.학명은 Nasturtium officinale W.T.Aiton이며 종소명 officinale는 '약효가 있는' 의미... 2024. 1. 6.
물고추나물 (물레나물과, 물고추나물속) '23.10.4 2023. 12. 16.
자주땅귀개 (통발과, 통발속) 학명은 Utricularia uliginosa Vahl이며 종소명 uliginosa는 '질퍽질퍽한 곳에 산다는' 의미. 희귀멸종위기식물. 자주땅귀개는 통발과 여러해살이풀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이다. 식물체의 높이는 8cm 내외이다. 땅속줄기는 실처럼 뻗으며 밑부분에 벌레잡이주머니가 달린다. 꽃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추선다. 잎은 땅속줄기에서 나는데 긴 달걀형 또는 주걱 모양, 길이 3∼6mm이고 녹색이다. 꽃은 길이 5∼15cm의 꽃자루 끝에 1∼4개의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화경에 관절이 있다. 여러 개의 비늘잎이 달리는데, 꽃싸개잎은 비늘잎처럼 생기고 길이 1∼1.5mm이다. 꽃부리는 끝이 입술 모양이며 아랫입술 꽃잎은 난형이다. 길이 2∼3mm의 뾰족한 꽃뿔은 아래로 향한다. 윗입술꽃잎은.. 2023. 12. 11.
바늘꽃 (바늘꽃과, 바늘꽃속) 바늘꽃과 특징은 꽃이 대개 4수성으로 꽃잎과 꽃받침잎이 각각 4장. 학명은 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 산지의 축축한 곳이나 개울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고 가지를 치며, 높이 20~70cm, 전체에 구부러진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지만, 줄기 윗부분에서는 어긋나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2~10cm, 폭 0.5~3cm, 끝은 둔하고 밑은 둥글며, 줄기를 감싼다. 잎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잎맥에 짧은 털이 있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7~9월에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핀다. 꽃받침은 길이 4~6.5mm로 끝부분에 4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피침형, 꽃잎은 도란형이다. 나비바늘꽃.. 2023. 11. 4.
사마귀풀 흰꽃 (닭의장풀과, 사마귀풀속) 학명은 Murdannia keisak (Hassk.) Hand.-Mazz. 물기가 많은 논이나 늪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아래쪽이 비스듬히 땅을 기면서 뿌리를 내리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30cm이다. 줄기는 연한 녹색이지만 홍자색이 돌며, 겉에 한 줄로 털이 나 있다. 잎은 어긋나며 좁은 피침형, 길이 2~6cm, 폭 4~8mm이다. 줄기 밑부분은 길이 1cm의 잎집으로 되며 잎집 전체에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피며, 연한 홍자색, 지름 약 13mm이다. 꽃자루는 길이 1.5~3cm이며 선상 꽃싸개잎이 1개 있다. 꽃받침잎은 피침형, 끝이 둔하고, 길이 4mm쯤이다. 꽃잎은 난형, 끝이 둥글고 길이 5mm, 꽃받침잎과 더불어 3개씩이며 연한 홍.. 2023. 9. 29.
벗풀 (택사과, 보풀속) 학명은 Sagittaria trifolia L.이고 종소명 trifolia는 '3엽의' 의미이고 종소명이 trifolia인 식물은 조름나물, 탱자나무가 있다. 늪, 물웅덩이, 논 등의 고인 물, 느리게 흐르는 얕은 물가에서 여러해살이풀 수생식물이다. 땅속줄기 끝은 굵어져서 덩이줄기가 된다. 어린잎은 선형, 잎자루와 잎몸의 구분이 없다. 성숙한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잎몸은 좁거나 넓은 세모꼴의 창 모양이다. 잎몸은 길이 3~25cm, 폭 1~6cm,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맥은 3~5개이다. 꽃은 6~8월에 길이 30~100cm의 꽃줄기에 층을 이루어 피며 꽃자루가 3개씩 돌려난다. 암꽃의 꽃자루는 길이 0.5~1.5cm이다. 꽃받침잎은 3장, 뒤로 젖혀지고 길이 4~7mm이다. 이 종은 .. 2023. 9. 18.
가는마디꽃 (부처꽃속, 마디꽃속) '23.8.22 2023. 8. 29.
어른지기 '23.8.17 2023. 8. 18.
땅귀개 꽃, 신엽 '23.8.17 2023. 8. 17.
애기쉽싸리 '23.8.13 2023. 8. 15.
어리연꽃 (조름나물과, 어리연속) '23.8.13 2023. 8. 14.
물질경이 (자라풀과, 물질경이속) '22.8.13 2023. 8. 14.
이삭귀개 '23.8.13 2023. 8. 14.
주름물개구리밥 '21.11.5 2023. 7. 19.
가는가래 '23.7.6 2023. 7. 11.
큰하늘나리 하늘나리(Lilium concolor Salisb.)의 변종으로 학명은 Lilium concolor var. megalanthum Wang & Tang 습한 초원에서 자란다. 잎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작은 돌기가 있다. 꽃은 6~7월경에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곧추 위를 향해 1~5개가 핀다. 화피열편은 6개이고 옆으로 퍼지며 길이 2~5cm로서 도피침형 끝이 둔하고 짙은 분홍색이지만 안쪽에 자주색 반점이 흩어져 있다. 꿀샘에 털이 없으며 돌기 같은 점이 있고 암술대는 씨방과 길이가 비슷하며 꽃밥은 화피와 색깔이 같다. 이 종은 하늘나리에 비해 잎이 길고 넓은 점, 화피에 자색 점이 있는 점에서 구분되며 잎이 돌려나기로 달리는 하늘말나리에 비해 큰하늘나리는 잎이 어긋나기로 줄기에 퍼져 있는 점에서.. 2023. 7. 10.
생이가래 '23.6.11 2023. 6. 28.
큰마름 '22.8.4 2023. 2. 16.
석창포 '23.2.1 2023. 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