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생 및 수변식물/수생·습지식물280

물칭개나물(5.27) [비교] 물칭개나물, 큰물칭개나물종명물칭개나물큰물칭개나물꽃색백색 바탕에 연한 자주색 줄연한 자주색 바탕에 진한 자주색 줄화축의 샘털있음드물게 있음잎 가장자리물결모양의 잔톱니가 있음밋밋하거나 낮은 톱니가 드문드문 있음꽃자루(열매가 익을 때)구부러지 않음구부러짐* 미국물칭개나물은 1cm 내외의 엽병이 있어 엽병이 없는 물칭개나물, 큰물칭개나물과 구별된다. 큰물칭개나물 꽃 (현삼과, 개불알풀속)학명은 Veronica anagallis-aquatica L.이고 종소명 anagallis-aquatica는 '수중에서 자라는 뚜껑별꽃(anagallis)' 이라는 뜻에서 유래.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냇가나 물가의 습한 곳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이hyunsik.tistory.com [비교] 물칭개나물, 큰물칭개나물 열.. 2024. 5. 30.
좀개구리밥? 나도좀개구리밥?(5.13) [개구리밥과 속 비교표]구분개구리밥속분개구리밥속좀개구리밥속뿌리5~12개 없다1개해당 종 개구리밥, 점개구리밥분개구리밥, 남개구리밥좀개구리밥, 나도좀개구리밥,동아좀개구리밥[개구리밥속 식별 키]1. 길이는 5~8mm이다. ----- 개구리밥(뿌리는 5~11개)1. 길이는 3mm 이하이다. ----- 점개구리밥(뿌리가 7~12개이며 제주도에 폭넓게 분포)[유럽의 Wolffia(분개구리밥속) 식별 키]1. 엽상체는 너비보다 길이가 1.3-2.5 배, 깊이가 너비보다 1.5-3.0배 더 크며, 가장 넓은 너비는 수면에 있다.    (위에서 볼 수있는 반투명 가장자리가 거의 보이지 않음. 색소세포가 있음) ----- W. australiana1. 엽상체 길이는 폭보다 1.0-1.7 배, 깊이는 너비보다 0.75-1.. 2024. 5. 18.
개구리밥(5.8, 5.13) [개구리밥과 속 비교표]구분개구리밥속분개구리밥속좀개구리밥속뿌리5~12개 없다1개해당 종 개구리밥, 점개구리밥분개구리밥, 남개구리밥좀개구리밥, 나도좀개구리밥,동아좀개구리밥[유럽의 Wolffia(분개구리밥속) 식별 키]1. 엽상체는 너비보다 길이가 1.3-2.5 배, 깊이가 너비보다 1.5-3.0배 더 크며, 가장 넓은 너비는 수면에 있다.    (위에서 볼 수있는 반투명 가장자리가 거의 보이지 않음. 색소세포가 있음) ----- W. australiana1. 엽상체 길이는 폭보다 1.0-1.7 배, 깊이는 너비보다 0.75-1.5 배이며, 가장 큰 너비는 수면 아래에 있다.    (적어도 옆면은 위에서 볼 수있는 반투명 가장자리. 색소세포가 없음)    2. 엽상체 윗면은 짙은 녹색이고, 불투명하고 표면이.. 2024. 5. 11.
삿갓사초(4.12) [기재문]학명은 Carex dispalata Boott 습지 주변에서 키 40~100cm가량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가 길게 뻗는다. 줄기는 모여나고 거칠다. 잎은 줄기보다 짧고, 너비 4~8mm이다. 아래쪽의 잎집은 홍자색이고, 섬유질로 갈라진다. 꽃차례의 포는 잎과 모양이 같고 잎집은 없으며,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꽃은 4~6월에 피는데 가장 위의 작은이삭에는 수꽃만 달리고, 길이 4~7cm로 선형이고 갈색이다. 아래의 줄기 옆에 달리는 여러 개의 작은이삭은 암꽃으로만 구성되지만 끝에 수꽃이 몇 개 달리기도 하며, 긴 원기둥 모양으로 대는 거의 없고, 길이 3~10cm이다. 암꽃의 인편은 밝은 녹색이고 가장자리는 홍자색이며,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씨방을 둘러싼 과낭은 인편보다 길고 난.. 2024. 5. 9.
창포(5.7) [기재문]학명은 Acorus calamus L. 천남성목 창포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으며, 마디가 많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모여나며, 선형, 길이 60~90cm, 폭 5~15mm, 끝이 뾰족하고, 가운데 잎줄은 도드라진다. 꽃줄기는 가는 삼각기둥 모양, 높이 30cm쯤이다. 꽃싸개잎은 길이 20~40cm, 폭 0.5~0.8cm, 줄기가 연장된 것처럼 위로 곧추서서 꽃싸개잎겨드랑이에서 꽃차례가 나온 것처럼 보인다. 꽃은 5~8월에 피는데 육수꽃차례에 많이 달리며, 녹색이 도는 노란색이다. 꽃차례는 둥근 모양, 길이 4~7cm, 폭 0.6~1.5cm, 옆으로 비스듬히 선다. 화피는 6장, 넓은 선형, 길이 3mm쯤이다. 수술은 6개다. 수술대는 흰색, 화피와 길이가 비슷하고, .. 2024. 5. 8.
애기바늘사초(4.17) [비교] 바늘사초, 애기바늘사초, 개바늘사초, 솔잎사초 종명 바늘사초 애기바늘사초 개바늘사초 솔잎사초 소수 자화부가 길다 자화부가 길다 자화부가 길다 웅화부가 길다 줄기 예리한 삼각형이고 모서리가 까끌거림 매끈함 매끈함 매끈함 엽신 너비 1~1.5mm 약 1mm 2~3mm 0.5~1mm 인편 희미한 3맥. 과낭보다 짧다 맥이 없음. 과낭보다 짧다 희미한 3맥. 과낭보다 짧다 3맥. 과낭과 거의 비슷함 과낭 난상 장타원형, 2.5~3mm. 등쪽에 뚜렷한 맥이 있다. 장난형, 2~2.5mm. 불명확한 가는 맥이 있다. 장타원상 피침형, 3.5~4mm. 양면에 뚜렷한 가는 맥이 여러개 있다. 넓은 난형~타원상 난형, 1.5~2.5mm. 희미한 맥이 있거나 아랫쪽에 뚜렷한 맥이 있다. 수과 2mm 1.5mm 약.. 2024. 4. 17.
물별이끼 (별이끼과/3.29) 물별이끼 꽃, 열매(5.4) [기재문] 학명은 Callitriche palustris L.이며 종소명 palustris는 '습지의' 의미. 논, 연못, 흐름이 느린 도랑이나 하천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물속에 잠기고 10~30(~50)cm까지 자라며, 옆으로 뻗 hyunsik.tistory.com '24.3.29 2024. 4. 10.
매화마름(3.29) 매화마름 화탁(꽃턱, 6.9)매화마름을 화탁에 2mm 정도의 긴털이 있는 반면, 민매화마름은 화탁에 털이 없다. 매화마름 뿌리잎(지상엽)'17.10.13 / 군산매화마름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096hyunsik.tistory.com 매화마름 신hyunsik.tistory.com'24.3.29 2024. 4. 5.
개바늘사초 (5.25) [비교] 바늘사초, 애기바늘사초, 개바늘사초, 솔잎사초 종명 바늘사초 애기바늘사초 개바늘사초 솔잎사초 소수 자화부가 길다 자화부가 길다 자화부가 길다 웅화부가 길다 줄기 예리한 삼각형이고 모서리가 까끌거림 매끈함 매끈함 매끈함 엽신 너비 1~1.5mm 약 1mm 2~3mm 0.5~1mm 인편 희미한 3맥. 과낭보다 짧다 맥이 없음. 과낭보다 짧다 희미한 3맥. 과낭보다 짧다 3맥. 과낭과 거의 비슷함 과낭 난상 장타원형, 2.5~3mm. 등쪽에 뚜렷한 맥이 있다. 장난형, 2~2.5mm. 불명확한 가는 맥이 있다. 장타원상 피침형, 3.5~4mm. 양면에 뚜렷한 가는 맥이 여러개 있다. 넓은 난형~타원상 난형, 1.5~2.5mm. 희미한 맥이 있거나 아랫쪽에 뚜렷한 맥이 있다. 수과 2mm 1.5mm 약.. 2024. 3. 9.
물냉이 (배추과/5.20) '12.5.20 2024. 3. 5.
뚜껑덩굴 수꽃(박과, 8.10) [기재문] 꽃은 단성으로 수꽃과 암꽃이 피는 위치가 다르다.학명은 Actinostemma lobatum Maxim.이며 종소명 lobatum는 잎 가장자리가 들쑥날쑥한 모양(lobed)에서 붙여진 라틴어. 물가에 자라는 덩굴성 한해살이풀. 줄기는 길이 1~2m, 짧은 털이 드물게 있으며, 덩굴손은 끝이 2갈래로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덩굴손이 마주난다. 잎몸은 삼각상 난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으로 길이 5~10cm, 폭 2.5~7cm, 3~5갈래로 얕게 갈라지거나 약간 깊게 갈라진다. 꽃은 7~8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꽃은 단성으로서 8-9월에 피고 황록색이며 액생하는 총상 원뿔모양꽃차례에 달리고 웅화서는 총상이다. 수꽃은 꽃자루가 가늘고 꽃받침과 꽃부리는 각각 5.. 2024. 3. 5.
가시연꽃 (8월) 가시연꽃 (수련과, 가시연속) 특이하게도 속명이 가시연꽃속이 아닌 가시연속이네요. [기재문] 학명은 Euryale ferox Salisb.이며 종소명 ferox는 '가시가 있는' 의미. 희귀멸종위기식물. 신엽은 화살같지만 타원형을 거쳐 점차 큰 hyunsik.tistory.com '15.8.30 2024. 3. 2.
흰제비란 (6월) '19.6.10 2024. 3. 2.
독미나리 꽃 (6.4 / 산형과, 독미나리속) [비교] 독미나리, 가는잎독미나리 (출처 : 한반도산 미나리과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2019년)종명독미나리( Cicuta virosa L.)가는잎독미나리(C. virosa var. virosa)경생엽의 최종열편 좁은 피침형 내지 좁은 타원형이며, 2.2-6.8 × 0.4-1 cm 선형이며 0.8-2.8 cm × 1.2-3 mm 소산형화서  20-30개 30-50개 화경3.2~4cm길이 6~11.5cm분포 강원도 홍천군 내면 및 인제군의 일부 지역전북 군산시비고독미나리로 통합됨[기재문]학명은 Cicuta virosa L.이며 종소명 virosa는 '유독한' 의미.여러해살이풀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이다. 6~8월 작은 백색 꽃이 피며, 온몸에 유독한 성분이 있다. 어린잎을 나물로 먹었다는 기.. 2024. 2. 29.
독미나리 잎 (5.11, 군산) [비교] 독미나리, 가는잎독미나리 (출처 : 한반도산 미나리과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2019년)종명독미나리( Cicuta virosa L.)가는잎독미나리(C. virosa var. virosa)경생엽의 최종열편좁은 피침형 내지 좁은 타원형이며, 2.2-6.8 × 0.4-1 cm선형이며 0.8-2.8 cm × 1.2-3 mm소산형화서 20-30개30-50개화경3.2~4cm길이 6~11.5cm분포 강원도 홍천군 내면 및 인제군의 일부 지역전북 군산시비고독미나리로 통합됨[기재문]학명은 Cicuta virosa L.이며 종소명 virosa는 '유독한' 의미.여러해살이풀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이다. 6~8월 작은 백색 꽃이 피며, 온몸에 유독한 성분이 있다.어린잎을 나물로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북방.. 2024. 2. 29.
미국수련 '14.8.31 2024. 2. 29.
쇠방동사니(9.14) [사초과 식물의 속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41. 화서는 모든 꽃이 단성화이다. : 사초속 등1. 화서는 모두 양성화이거나 적어도 몇 개의 꽃은 양성화이다.     2. 소수의 소화는 성기게 달리며, 거의 양성화이다. : 골풀아재비속, 층층고랭이속    2. 소수는 많은 꽃이 조밀하게 달리며(단, 세대가리, 파대가리속은 1~2개의 소화로 구성), 모두 양성화.        3. 소수는 소화가 나선상으로 붙는다. : 하늘지기속 등        3. 소수는 소화가 2열로 붙는다.            4. 소수에 1개 또는 2개의 소화가 달린다. : 세대가리속, 파대가리속            4. 소수에 다수의 소화가 달린다.                5. 수과의 한 모서리가 소수축에 붙는다. .. 2024. 2. 28.
젓가락나물 꽃, 열매(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비교] 털개구리미나리 유사종 구분 털개구리미나리 개구리미나리 젓가락나물 왜젓가락나물 분포 전국 전국 전국 울릉도/제주도 및 남부 일부 생육 다년초 2년초 2년초 이년초, 다년초 근생엽 3출 복엽 2회 3출 복엽 3출 복엽 3출 복엽 개화시기 5~7월 6~7월 5~6월 8월 열매 구형(암술대는 직립) 구형(암술대는 직립) 타원형 구형(암술대는 휨) [기재문] 학명은 Ranunculus chinensis Bunge 햇빛이 잘 들고 습기가 많은 들판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다. 줄기는 곧추서고 속이 비어 있으며, 높이 40~80cm, 가지를 치며 전체에 거칠고 퍼진 털이 많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며, 잎몸은 3갈래로 갈라진 겹잎이고, 갈래잎은 다시 2~3갈래로 갈라진다. 잎자루에 거센털이 옆으.. 2024. 2. 28.
조선흑삼릉 잎(11.24) 조선흑삼릉 (부들과, 흑삼릉속)조선흑삼릉 : 최하단 화축에 하나의 암꽃, 두번째 화축엔 암수화서 긴흑삼릉 : 최하단 화축과 두번째 화축엔 암꽃만 흑삼릉 : 최하단 화축과 두번째 화축엔 암수화서 [비교] 흑삼릉, 긴흑삼릉, 조hyunsik.tistory.com'23.11.24 2024. 2. 27.
올챙이솔 꽃 (8.29, 자라풀과, 올챙이자리속) [기재문]학명은 Blyxa japonica (Miq.) Maxim. ex Asch. & Gurk.연못이나 논 등 흐름이 느린 얕은 물에서 한해살이풀로 자라는 침수성 수생식물이다.줄기는 아래쪽에서 여러 갈래로 갈라지고 연약하고 가늘며 길이 10~20cm이다.잎은 어긋나고 선형, 길이 2~4cm, 폭 2mm,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미세한 톱니가 있다.꽃은 7~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에 1개씩 달리며 물 위에서 핀다.꽃받침잎은 3장, 피침형, 길이 3mm, 폭 1mm이다. 꽃잎은 3장, 흰색, 피침형, 길이 3~8mm, 폭 0.5mm, 끝은 좁아진다.열매는 장과, 기둥 모양, 길이 1.5~2mm, 폭 2~3mm, 8~10월에 익으며 끝은 뾰족해진다.씨는 방추형으로 길이 1.5~2mm, 양 끝에 꼬.. 2024. 2. 24.
올챙이솔 (자라풀과, 올챙이자리속) 학명은 Blyxa japonica (Miq.) Maxim. ex Asch. & Gurk. 연못이나 논 등 흐름이 느린 얕은 물에서 한해살이풀로 자라는 침수성 수생식물이다. 줄기는 아래쪽에서 여러 갈래로 갈라지고 연약하고 가늘며 길이 10~2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선형, 길이 2~4cm, 폭 2mm,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미세한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에 1개씩 달리며 물 위에서 핀다. 꽃받침잎은 3장, 피침형, 길이 3mm, 폭 1mm이다. 꽃잎은 3장, 흰색, 피침형, 길이 3~8mm, 폭 0.5mm, 끝은 좁아진다. 열매는 장과, 기둥 모양, 길이 1.5~2mm, 폭 2~3mm, 8~10월에 익으며 끝은 뾰족해진다. 씨는 방추형으로 길이 1.5~2mm, 양 끝에.. 2024. 2. 24.
세수염마름 '19.6.2 2024. 2. 24.
금소리쟁이 (마디풀과, 6.2) [비교] 소리쟁이속 잎, 화피, 관절종 명소리쟁이(R. crispus)참소리쟁이(R. japonicus)좀소리쟁이(R. dentatus)금소리쟁이(R. maritimus)가는잎소리쟁이(R. stenophyllus)잎 크기길이 13~30cm,폭 4~6cm 길이 10~25cm,폭 4~10cm길이 4~12cm,폭 1.3~3cm길이 7~15cm,폭 2~3cm 길이 7~15cm,폭 1~3.5cm내화피길이 4~5mm,길이 4~5mm,폭 5~6mm.길이 4~5mm,폭 3~4mm.길이 2~3mm,폭 1~2mm.길이 3~4(-5) mm,폭 약. 3.5mm.톱니톱니가 없다.길이 0.3~0.5mm의잔 톱니가 있다.길이 1~2mm,각 면에 3~4개길이 2~3.5mm각 면에 2~3(~4)개길이 0.5~1.5mm,각 면에 4~1.. 2024. 2. 24.
세수염마름 세수염마름 꽃 (참깨과, 수염마름속) 학명은 Trapella sinensis Oliv.이며 종소명 sinensis는 '중국의' 의미. 세수염마름 : 꽃받침이 변한 부속체 중 3개는 길고, 2개는 짧다. 수염마름(세수염마름의 변종) : 부속체 5개 모두 길다. 호수나 연못 hyunsik.tistory.com '11.7.16 2024. 2. 24.
세수염마름 꽃 (참깨과, 수염마름속) 학명은 Trapella sinensis Oliv.이며 종소명 sinensis는 '중국의' 의미. 세수염마름 : 꽃받침이 변한 부속체 중 3개는 길고, 2개는 짧다. 수염마름(세수염마름의 변종) : 부속체 5개 모두 길다. 호수나 연못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부엽성 수생식물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기고 마디에서 뿌리를 낸다. 줄기는 물속에서 길게 자란다. 잎은 마주난다. 물속의 잎은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 잎자루가 없다. 물에 뜨는 잎은 넓은 난원형이며 밑은 얕은 심장형,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린다. 꽃부리는 연분홍색으로 종 모양, 길이 2~2.5cm, 끝은 5갈래로 갈라지고, 통부는 노란색이다. 열매는 길이 1.5~2cm, 꽃받침이 변한 부속체.. 2024. 2. 24.
뿌리대사초(4.20) [기재문]학명은 Carex rhizopoda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모여나고 높이 20-50cm이다. 꽃줄기는 부드럽고 단면은 삼각형이며, 모서리는 다소 거칠다. 아래쪽의 잎집은 갈색이거나 적갈색이다. 이삭은 꽃줄기 끝에 하나씩 달리고 윗부분에는 수꽃이 아랫부분에는 암꽃이 피며 길이 1.5-4cm이다. 이삭에서 수꽃이 피는 부분은 암꽃 부위에 비해 매우 짧다. 암꽃을 둘러싼 항아리 모양의 과낭은 비늘조각보다 길고 부리는 길고 끝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며 끝은 잘린 모양이다.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꽃은 5-6월에 핀다. 꽃줄기 끝에 이삭이 하나만 달리는 사초속 중에서 식물체와 이삭의 크기가 크고 잎이 넓어서 쉽게 구분된다.  뿌리대사초'23.5.14hyunsik.tistory.com 뿌리대사초'2.. 2024. 2. 20.
개쉽싸리(9.17) '17.9.17 / 부안 2024. 2. 19.
애기개올미 (10.2, 애기개올미속) 학명은 Diplacrum caricinum R.Br.  일년생. 근경이 없이 모여나고, 뿌리는 실 모양이며, 적자색이다. 줄기 높이 3-15cm로 식물체는 작다. 무모이고, 직립하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단면은 삼각형이다. 잎 엽초에 좁은 날개가 있고, 날개는 위쪽일수록 더 넓으며, 엽설은 없다. 엽신은 선형이고, 길이는 1-4 cm, 너비는 1.5-3mm이며, 끝은 예두 혹은 서서히 좁아진다. 포엽과 소포엽 잎모양 또는 인편모양이고, 길이 3-10mm이다. 화서는 두상 또는 취산화서로 짧은 자루가 있고, 몇 개 또는 많은 소수가 엽액에 모여 달린다. 소수 자성화의 기부에 작은 웅성화가 붙는다. 웅인편 좁은 난형이고, 둔두이다. 자인편 장타원형이고, 길이 1.5-2mm, 끝은 예두이거나 3열되며, 중앙열편.. 2024. 2. 1.
가시개올미 (10.2, 너도고랭이속) 학명은 Scleria rugosa R.Br.이며 종소명 rugosa는 '주름이 있는' 의미. 주로 남부지방에 분포하지만 수원에서 처음 발견된 한해살이풀이다. 식물체는 높이 10~30cm로 작고 연하며 전체에 털이 있다. 잎은 털이 조밀하고 너비는 2mm이며 길이는 각각 다르고 끝이 다소 뭉툭하다. 꽃차례는 잎겨드랑이와 줄기 끝에 달리고, 수꽃으로 구성된 작은이삭과 암꽃으로 구성된 작은이삭이 각각 하나씩 달리며, 길이는 2-4mm이다. 열매는 공 모양에 가까운 타원형이며 지름은 1.5~2mm이다. 열매가 익어서 마르면 흰색이고 표면은 광택이 있으며 불규칙한 그물 무늬가 있다. 열매 아래의 부속체는 세 갈래이고 끝은 뭉툭하다.  [너도고랭이속 식물]* 너도고랭이 : 화서는 원추상이며 수과 표면은 세로로 긴 .. 2024. 2. 1.
산비늘사초(5.22) 학명은 Carex heterolepis Bunge [비교] 산비늘사초, 산뚝사초 * 공통 : 암술머리는 2개, 맨 아래 자소수는 대가 있다. 구 분 산비늘사초 산뚝사초 생육지 강뚝 주변의 모래땅이나 습지 주변 전국 산지 계곡이나 임도의 축축한 곳 근경 근경이 길게 뻗으므로 군락을 형성한다. 근경이 짧아 줄기는 조밀하게 모여난다 잎 너비는 3~6mm, 뒷면은 흰빛이 돈다 너비는 2~4mm 측소수 지름은 4~5mm로 뚱뚱해 보인다. 지름은 2~4mm 자인편 중앙부에 녹색 맥이 있고 가장자리는 담갈색 중앙부에 녹색 맥이 있고 가장자리는 자갈색 웅인편 중앙부는 연녹색~흰색이며 가장자리는 갈색 중앙부는 녹색이며 가장자리는 흑갈색 과낭 2.5~3mm. 유두상 미세돌기가 빽빽하다 부리 길이는 0.5mm 미만 3~4m.. 2024.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