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포아풀속, 김의털속
* 포아풀속
- 호영의 끝은 뭉뚝하며 까락이 없고 등쪽에 용골이 발달한다.
- 호영의 기부에 긴 털이 있다.
* 김의털속
- 호영은 털이 없고 끝은 까락이 된다.
- 호영의 기부에 긴 털이 없다.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 줄속, 벼속, 겨풀속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4. 제1, 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5.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 갈대속
5.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없다.
6.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가 1개 있다.
6.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는 2개 이상이다.
7. 호영에 까락이 발달한다.
8. 호영의 등 쪽 중앙부근에서 까락이 생긴다.
8. 호영의 끝 쪽에서 까락이 생긴다.
9. 호영의 끝 쪽에서 까락이 생긴다. ----- 김의털속
9. 호영의 끝이 V자로 갈라지며 갈라진 사이에서 까락이 생긴다.
9. 호영에 까락이 없다.
[김의털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벼과(2011년)
1. 1년생으로 근경이 없다.
2. 호영은 긴 털이 없다. ----- 들묵색
2. 호영은 위쪽에 긴 털이 있다. ----- 큰묵새
1. 다년생으로 근경이 있다.
3. 잎 폭이 0.5~3.0mm로 가늘다.
4. 잎은 아래쪽의 폭이 좁은 잎과 위쪽의 폭이 넓은 잎 두 가지 종류가 있다. ----- 사방김의털
4. 잎은 폭이 3mm이하로 같은 모양의 잎을 갖는다.
5. 제1포영은 제1소화에 비해 극히 짧고 난형이며 둔두이다.
6. 호영의 까락은 길이 5~12mm이다. 화서의 중축 마디에서 가지는 1개씩 난다. ----- 김의털아재비
6. 호영의 까락은 없다. 화서의 중축 마디에서 가지는 2개씩 난다. ----- 산묵새
5. 제1포영은 피침형으로 예두이다.
7. 줄기는 기부에서부터 직립한다. 호영은 길이 3.5~4.5mm,
끝의 까락은 길이 2mm이하이다.
8. 줄기는 높이 15~20cm, 고산지대에 자라며, 화서 길이는 2~3cm이다. ----- 두메김의털
8. 줄기는 높이 15~40cm, 평지 또는 산지에 자라며, 화서 길이는 4~8cm이다.
9. 화경의 윗부분에 털이 없고 호영의 끝에 길이 2mm이하의 까락이 있다. ----- 김의털
9. 화경의 윗부분에 털이 있고 호영의 끝에 까락이 없거나 있어도 길이 1mm이하이다. ----- 참김의털
7. 줄기의 기부는 비스듬히 위를 향한다. 호영은 길이 4~7mm,
끝의 까락은 길이 0.5~3.0mm이다. ----- 왕김의털
3. 잎 폭이 3.0mm 이상이며 편평하다.
10. 근경이 짧고 비스듬히 위를 향한다. 소수의 까락은 길이 4~7mm이다. ----- 왕김의털아재비
10. 근경은 옆으로 뻗는다. 소수의 까락이 거의 없다.
11. 줄기는 높이 15~35cm이다. 화서의 길이 4~10cm,
소수는 3~4개의 소화로 구성되며 길이는 6~10mm이다. ----- 개묵새
11. 줄기는 높이 70~110cm이다. 화서의 길이 10~40cm,
소수는 5~8개의 소화로 구성되며 길이는 9~12mm이다. ----- 큰김의털
[기재문]
학명은 Festuca extremiorientalis Ohwi
산지, 햇빛이 들고 습기가 많은 숲속의 냇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옆으로 기다가 새싹이
생긴다. 줄기는 높이 40~130cm, 외대로 자라며, 털이 없고, 3~4개의 마디가 있다. 잎은 선형으로 길이 20~30cm,
폭 5~12mm, 편평하고, 가장자리와 앞면은 약간 깔깔한 털이 성기게 있고, 뒷면은 밋밋하다.
잎혀는 막질이며, 길이 2~3mm, 끝은 자른 모양이고, 갈색이다. 꽃은 6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 길이 20~30cm의
원추꽃차례를 이루고, 꽃차례의 가지는 마디에 2~3개씩 붙는다.
작은이삭은 피침형으로 길이 5~7mm, 납작하고, 녹색이다. 제1포영은 길이 2~3mm, 1맥, 제2포영은 길이 3.5~5.0mm,
3맥이다. 호영은 난형으로 길이 5~6mm, 5맥, 중앙맥은 끝이 늘어나 길이 4~7mm의 곧은 까락이 된다.
내영은 호영과 같은 길이로 2맥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잎은 편평하고 너비가 0.5~1.2cm인 점에서 잎이 약간 말리고 너비 2~5mm인 김의털아재비와 구별된다.
왕김의털아재비 (6.25, 김의털속)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hyunsik.tistory.com
'24.7.31
'벼과 >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도딸기광이(7.31) (0) | 2024.08.21 |
---|---|
가지돌피(8.17) (0) | 2024.08.21 |
민바랭이, 소수(10.3) (0) | 2024.08.05 |
좀바랭이, 소수(8.4/바랭이속) (0) | 2024.08.05 |
눈포아풀(7.4) (0) | 2024.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