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초과65 사철란(8.29) [사철란속 종 검색표 1] 출처 : 한국의 난과식물 도감(이남숙 지음)1. 꽃차례가 짧고 꽃이 여러 방향을 향해 핀다. 2. 잎은 그물맥이 뚜렷하며, 꽃은 길이 2.5~3cm이다. ----- 붉은사철란 2. 잎은 평행맥에 가까우며, 꽃은 2cm이내이다. ----- 섬사철란1. 꽃차례가 길고 꽃이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 핀다. 2. 입술꽃잎 밑부분의 안쪽에는 털이 없고 육상체 또는 능선이 있다. 3. 뿌리에서 나는 잎 3~6개가 줄기 밑에 나며, 입술꽃잎은 난상 타원형이고, 곁꽃받침은 난상 타원형, 뒷면 전체에 털이 많으며 암술머리부리는 1mm 이하이다. ----- 애기사철란 3. 뿌리에서 나는 잎 4~8개가 방사상으로 땅 표면 가까이 나며.. 2015. 11. 3. 광릉요강꽃 (여름잎) 광릉요강꽃 (복주머니란속) 학명은 Cypripedium japonicum Thunb. ex Murray이며 종소명 japonicum는 '일본의' 의미. 멸종위기종 줄기 윗부분의 잎은 지름 10-22㎝로서 방사상 맥이 있으며 뒷면에 털이 있고 엽병이 없는 부채꼴로 2매가 거 hyunsik.tistory.com '15.8.16 열매가 달리지 않음 광릉요강꽃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016 2015. 10. 12. 닭의난초 '15.6.19 / 군산 닭의난초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546 2015. 8. 9. 금난초(5.8, 은대난초속) 1. 거가 없는 종은 김의난초, 민은난초2. 은대난초는 잎 뒷면과 가장자리 및 꽃차례와 씨방에 털같은 백색 돌기가 있는 것이 은난초와 다르다.3. 김의난초는 동속 중에서 제일 크게 자란다(50~70cm).[은대난초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의 난과식물 도감(이남숙 지음)1. 잎은 피침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며 줄기 전체에 붙어 있다. 2. 입술꽃잎은 거가 없고 꽃받침보다 짧다. ----- 김의난초(Cephalanthera longifolia) 2. 입술꽃잎은 거가 있고 꽃받침보다 길다. 3. 꽃은 노란색이며, 입술꽃잎은 역삼각형, 아래 포는 꽃대보다 짧고 꽃자루와 씨방은 매끈하다. ----- 금난초(C. falcata) 3. 꽃은 흰색이며, .. 2015. 7. 7. 대흥란 (보춘화속, 7.25) 학명은 Cymbidium macrorhizon Lindl.이며 종소명 macrorhizon은 macro(큰 또는 긴)와 rhizome(뿌리 또는 근경)의 합성어로 '큰 뿌리를 가진' 의미이다.희귀멸종위기 식물이며 부생식물이다.* 부생식물은 뿌리에서 직접 영양분을 흡수하지 못하고 뿌리와 공생하는 박테리아(곰팡이)가 유기물을 분해함으로써 영양을 얻는다. 그래서 대부분의 부생식물(천마, 으름난초, 무엽난, 한라새둥지란, 구상난풀, 수정란풀 등)은 자라고 있는 자리를 떠나 생존하기가 어려워 부생식물들은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된다. 잎이 없다.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으로 홍자색을 띠며 2~6개의 꽃이 성글게 달리고 포는 막질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조각은 거꿀달걀모양으로 길이 2cm, 나비 3~4mm이고.. 2014. 12. 27.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