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751

갯꾸러미풀(6.12) [벼과 속 검색표]1. 제1포영과 제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 겨이삭속, 산새풀속, 갈풀속, 향모속 등1. 제1포영과 제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2.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 갈대속    2.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없다.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소화는 1개 있다.             4.  한 개의 소수에 한개의 임성소화만 있다. ----- 산기장속, 담상이삭풀속, 쥐꼬리새속             4.  한 개의 소수에 2개의 소화가 있으나 임성소화는 1개뿐이다. ----- 기장속, 좀조개풀속,         3. 한 개의 소수에 임성소화는 2개 이상 여러 개이다.            .. 2024. 6. 27.
갯봄맞이, 열매(앵초과, 까치수염속/6.12) [기재문]희귀멸종위기식물이며 바닷가 습지에서 자란다. 잎은 다소 밀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넓은 피침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둔하며 길이 6-15mm, 나비 3-6mm로서 뒷면에 파진 점이 산포하고 주맥과 측맥이 뚜렷하지 않다. 꽃은 연한 홍색이고 화경이 거의 없다. 꽃받침은 넓은 종형이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며 끝까지 남아 있고 꽃부리는 없으며 수술은 꽃받침조각과 어긋나기하고 씨방 밑에 달린다. 땅속줄기는 굵고 옆으로 자란다.'24.6.12 2024. 6. 26.
갈풀 소수, 소화, 열매, 종자(6.24) [갈풀속의 특징]1) 화서의 화축 작은  자루에 소수는 한 개씩 붙는다.2)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 소수에 한 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 나래새속, 겨이삭속, 나도겨이삭속, 산새풀속     - 소수에 2개 이상의 소화가 들어 있다. 한 개의 소수에 임성소수는 1개뿐이다. 갈풀속, 향모속, 새속, 흰털새속  한 개의 소수에 임성소수는 2개 이상이다. 기장대풀속, 귀리속, 은털새속, 좀새풀속, 물대속3) 갈풀속에는 갈풀, 흰줄갈풀(갈풀의 변종), 카나리새풀(외래), 애기카나리새풀(외래), 날개카나리새풀(외래)가 있다.[갈풀의 특징]1) 다년생 식물로 습지에서 자란다.2) 긴 근경이 있어 무리지어 자란다. 3) 소수는 납작하고 2개의 포영은 같은 모양크기이며 상반부에 좁은 날개가 있다.4) .. 2024. 6. 26.
참삿갓사초 열매, 종자(6.19) [특징]1) 소수는 아래로 처진다.2) 아래쪽 잎에는 10cm에 이르는 긴 엽초가 있다.3) 측생소수는 자소수로 좁은 원주형이며 암술머리가 3개로 갈라진다.4) 자인편은 3맥이 있고 끝은 거의 예두 내지는 돌기 모양이며 과낭 길이와 거의 같다.5) 과낭은 약 2.5mm이고 무모이며 녹색 또는 누르스름한 녹색이고 타원형 또는 도란상 장타원형이다.6) 수과는 약 1.5mm이고 도란형, 삼릉형이다.참고) 유사종으로 울릉도에 산꼬리사초가 자생하는데 암술머리는 2갈래다. 참삿갓사초(6.10)'18.6.10 / 태백hyunsik.tistory.com 참삿갓사초 열매, 종자(6.17)'22.6.17hyunsik.tistory.com 참삿갓사초 열매, 종자(7.4)'19.7.4 / 경북참삿갓사초 수과 더보기 : htt.. 2024. 6. 25.
개다래 양성화, 수꽃(6.19) [비교] 다래, 쥐다래, 개다래종명다래쥐다래개다래꽃 성별수꽃양성화딴그루꽃 크기1.2 ~ 2cm1.2 ~ 2cm2 ~ 2.5cm수술 꽃밥색흑색 또는 암자색황색황색꽃이 달리는 잎의 색깔녹색(변화없음)백색 -> 적색 -> 녹백색백색엽저 / 엽병주로 원형 또는 심장형/ 털이 없음주로 심장형/ 털이 있음주로 넓은 쐐기형, 원형/ 털이 없음줄기 종단면의 수갈색의 계단상갈색의 계단상백색으로 차있음열매 광타원형. 녹색으로 익음장타원형. 녹황색으로 익음장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황색으로 익음* 줄기 종단면의 수 형상은 개다래를 제외하고 유사분류군 (다래, 섬다래, 양다래, 쥐다래) 의 경우 모두 갈색 계단상.* 개다래는 다래, 쥐다래보다 꽃이 크다. 적색 -> 녹백색으로 변한다꽃의 지름2 ~ 2.5cm1.2 ~ 2cm" d.. 2024. 6. 25.
개다래 잎, 줄기 단면의 수(6.19) [비교] 개다래, 쥐다래종명개다래쥐다래엽저 / 엽병주로 넓은 쐐기형, 원 / 털이 없다주로 심장형 / 털이 있다.꽃이 달리는 잎의 색백색백색 -> 적색 -> 녹백색으로 변한다꽃의 지름2 ~ 2.5cm1.2 ~ 2cm줄기 종단면의 수백색으로 차있다.갈색의 계단상열매장타원형이며 끝이 뾰족. 황색으로 익는다.장타원형. 녹황색으로 익는다.* 줄기 종단면의 수 형상은 개다래를 제외하고 유사분류군의 경우 모두 갈색 계단상이다(다래, 섬다래, 양다래, 쥐다래) 적색 -> 녹백색으로 변한다꽃의 지름2 ~ 2.5cm1.2 ~ 2cm" data-og-host="hyunsik.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hyunsik.tistory.com/entry/%EC%A5%90%EB%8B%.. 2024. 6. 25.
왕과 신엽(6.19) 학명은 Thladiantha dubia Bunge이며 종소명 dubia는 '(분류가) 의심스러운' 의미희귀멸종위기식물인가 근처 밭둑이나 돌담에서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전체에 밑을 향한 가시털이 있고, 줄기는 네모가 진다. 잎은 어긋나며 얕게 갈라져 손바닥 모양이다.잎의 밑은 얕은 심장형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꽃은 노란색으로 피는데 원통 모양의 종형이고 끝이 5갈래로 갈라지며 끝이 뒤로 젖혀진다.암수딴그루이며 암꽃(매우 보기 힘듬)은 암술1개와 꽃밥이 없는 헛수술 5개가 있으며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지고, 수꽃은 암술이 없고 5개의 수술이 있으며 모두 꽃밥이 있다. 열매는 박과로 참외모양이고 주홍색으로 익으며 길이 4~5cm, 너비 3cm이다.울타리용, 관상용으로 식재한다.참고) 호박.. 2024. 6. 25.
바위솔(6.19) '24.6.19 2024. 6. 25.
토마토(가지과, 6.24) 학명은 Lycopersicon esculentum Mill.이며 종소명 esculentum는 '먹을 수 있는' 의미.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2m,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부드러운 흰색 털이 밀생한다. 잎은 작은잎 9~19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며 길이 15~45cm이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큰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독특한 냄새가 난다. 높이가 1m이상에 달하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땅에 닿으면 어디에서나 뿌리가 내리며 부드러운 흰 털이 밀생한다. 작물로 밭에 재배하는 한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에는 17세기에 중국에서 도입되었으며, 1900년대 초부터 본격적으로 재배가 시작되었다. '24.6.24 2024. 6. 24.
갯취(6.12) '24.6.12 2024. 6. 23.
푸른마(6.14) 특산식물.유사종에 비해 개화시기가 빠르다.이가화인데 대부분 수꽃이고 암꽃 보기는 힘들다.[한국산 마속의 검색표]1. 지하부는 수직으로 뻗는 괴근이며, 주아가 형성되고, 수상화서이다.    2. 잎은 삼각형, 자화경은 지그재그형태로 발달하며, 열매의 너비는 16.6−17.9mm ----- 마     2. 잎은 좁은 삼각형, 자화경은 곧게 발달하며, 열매의 너비는 24.6−29.5mm. ----- 참마1. 지하부는 수평으로 뻗는 근경이며, 주아가 형성되지 않고, 총상화서이다.    3. 잎은 1−4쌍의 측열편이 갈라진다.        4. 엽병의 기부에는 다육성 돌기가 발달하고, 잎의 측열편은 둔두,            종자는 막질 날개의 중앙에 위치 한다. ----- 단풍마        4. 엽병의 기부에.. 2024. 6. 23.
주름전동싸리 꽃(5.28) [전동싸리속 검색표]1. Flowers white ----- 흰전동싸리1. Flowers yellow.    2. Plants 20-50㎝ tall; flowers 2-3㎜ long ----- 좀전동싸리        * 꽃받침 열편은 대체로 삼각형이고 종자 표면은 유두(작은돌기)가 있다.    2. Plants 50-150㎝ tall; flowers 3.4-7㎜ long.        3. 턱잎은 피침형; 소엽은 바늘 모양의 거치; 열매는 둥근 난형; 종자는 짙은 녹색 또는 녹갈색 ----- 서양전동싸리        3. 턱잎은 선형; 소엽은 톱니모양의 거치; 열매는 난형에서 타원형; 종자는 황갈색.            4. 소엽은 도피침형~도란형; flowers 3.5-5㎜ long; 꽃받침 열편 길이.. 2024. 6. 23.
주름전동싸리 열매, 종자(6.17) [전동싸리속 검색표]1. Flowers white ----- 흰전동싸리1. Flowers yellow.    2. Plants 20-50㎝ tall; flowers 2-3㎜ long ----- 좀전동싸리        * 꽃받침 열편은 대체로 삼각형이고 종자 표면은 유두(작은돌기)가 있다.    2. Plants 50-150㎝ tall; flowers 3.4-7㎜ long.        3. 턱잎은 피침형; 소엽은 바늘 모양의 거치; 열매는 둥근 난형; 종자는 짙은 녹색 또는 녹갈색 ----- 서양전동싸리        3. 턱잎은 선형; 소엽은 톱니모양의 거치; 열매는 난형에서 타원형; 종자는 황갈색.            4. 소엽은 도피침형~도란형; flowers 3.5-5㎜ long; 꽃받침 열편 길이.. 2024. 6. 23.
털질경이 열매, 종자(6.17) [특징]- 뿌리는 직근(질경이, 왕질경이는 수염뿌리) - 잎은 긴 타원형이며 잎 양면에 거센 털이 성기게 난다.(질경이는 넓은 난형이고 잎 양면에 털이 없다)-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얕은 치아모양톱니가 있다.(질경이는 잎 가장자리가 물결모양이다)- 종자는 검은색이다.(질경이의 종자도 검은색이다.) 털질경이 꽃, 뿌리(5.19)'20.5.19hyunsik.tistory.com 미국질경이 열매, 종자(6.12)'22.6.12hyunsik.tistory.com 미국질경이 열매, 종자(6.13)'16.6.13 / 군산미국질경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887개질경이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019왕질경이 열매 보기 :.. 2024. 6. 23.
말즘 동아(번식아, 6.18) 잎 겨드랑이에서 동아가 발생한다. 말즘 월동잎(2.14)'20.2.14hyunsik.tistory.com 말즘(3.26)정체된 물에서는 월동을 하기도 하는 모양이다.'22.3.26hyunsik.tistory.com 말즘 동아(6.20)잎 겨드랑 끝에 동아가 생성.'20.6.20hyunsik.tistory.com 말즘 신엽(4.28)'20.4.28hyunsik.tistory.com 말즘(4.30)'23.4.30hyunsik.tistory.com 말즘(5.12)'17.5.12 / 전주hyunsik.tistory.com 말즘 열매(6.20)'20.6.20hyunsik.tistory.com 말즘(6.30)'17.6.30 / 군산hyunsik.tistory.com'24.6.18 2024. 6. 23.
??청사초(6.19) 청사초는맨 아래 포엽이 잎같고 나머지 포엽은 까락모양이며 정소수에 자루가 없으나이 식물체는모든 포엽이 잎같고 정소수에 자루가 있다.'24.6.19 2024. 6. 22.
눈포아풀???(6.19) [비교] 선포아풀, 눈포아풀- 선포아풀 : 소수축에 잔털이 있고 소수 길이는 3.5~5mm- 눈포아풀 : 소수축에 까끌거리거나 오돌토돌하지만 드물게 매끈하며 소수 길이는 2.5~5mm[서식환경 비교] 기재문 --------> 상충됨- 국생종 : 경기도와 강원도의 습한 평지, 늪지대에서 무리 지어 자란다.- 벼과생태도감 : 중부지방의 다소 건조한 초지----------------------------------------------------------소수축 확인 결과 매끈하여 눈포아풀에 가깝다.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24.6.19 2024. 6. 22.
포아풀속???(6.19) [특징]높은 산의 양지바른 들판에 서식한다.엽설에 털이 있고 수염뿌리가 발달한다.줄기 기부에 묵은잎이 있어 다년성으로 보인다.소수를 포함하여 화서는 자색을 띠며, 소수 길이는 4.5~5.0mm이다. 화서 가지 분기점과 소수병 분기점마다 붉은색을 띤다.마디는 2개로 유사종에 비해 적고 엽초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추가 확인 필요)'24.6.19 2024. 6. 22.
긴겨이삭(6.19) [겨이삭속의 특징]-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되어 호영이 보이지 않는다.- 포영은 막질이고 반짝거리며 1맥이 있다.- 소수는 소화 1개만 있으며 길이는 2~3mm로 작다.- 포영의 용골에 잔가시가 있어 까끌거린다.[긴겨이삭의 특징]- 화서는 식물체 길이의 약 1/2정도 차지하며 화서 가지는 많이 분지한다.- 다년생 식물로 중부 이북의 산지 초원에서 자란다.- 줄기는 포기져 자라고 곧추선다.- 화서 가지에 잔가시가 있어 까끌거린다.[기재문]학명은 Agrostis scabra Willd.이며 화서 가지에 잔가시에 있어 종소명 scabra는 '거친, 울퉁불퉁한' 의미. 중부 이북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한 군데에서 모여나오고, 높이 30~60cm이다. 잎집은 털이 없고 마디 사이와 길이가 거의 비슷하다.. 2024. 6. 22.
노랑개아마 꽃(아마과, 6.20) [기재문]외래식물학명은 Linum virginianum L.이며 종소명 virginianum는 노랑개아마 자생지인 '미국의 버지니아주'를 의미맑은 날씨든 비가 오는 흐린 날씨든 오후 2시경에 개화한다.꽃의 지름은 8mm 내외이며 암술은 1개인데 암술머리는 5개로 갈라지고 수술도 5개이다.주걱모양의 잎은 줄기에 달라 붙는데 아래쪽은 마주 나고, 위쪽은 어긋난다.  줄기는 곧게 서고, 위쪽에서 분지한다. 전체에 털이 없다.열매는 편구형으로, 지름 2~3mm. 익으면 5개로 쪼개진다.   노랑개아마 신엽(4.18)'15.4.18hyunsik.tistory.com 노랑개아마 열매(8.14)'14.8.14노랑개아마 열매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148hyunsik.ti.. 2024. 6. 21.
가래고사리(6.19) [특징]- 처녀고사리과 설설고사리속이며 관다발이 2개이다.- 엽신은 삼각형이며 1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엽병은 엽신에 비해 길다.- 근경이 있어 군락을 형성한다.- 중축에 설설고사리처럼 날개를 형성한다.- 최하 우편은 하향한다.- 엽신 전체에 긴털이 있다.- 포막이 없고 포자낭군은 우편 열편의 가장자리에 2줄로 달린다.[처녀고사리과의 속 검색표] = 관다발이 2개1. 잎맥은 모두 유리한다.    2. 포막이 없다.        3. 잎몸의 중축은 날개가 있고, 날개는 우편 사이에 연결되며, 포자낭군은 잎맥 위에 둥글게 붙는다.            ----- 설설고사리속        3. 잎몸의 중축은 날개가 없으며, 포자낭군은 잎맥을 따라 길게 붙는다. ----- 진퍼리고사리속    2. 포막이 있다. .. 2024. 6. 20.
석잠풀속???(꿀풀과, 6.19) 잎 뒷면의 중륵에 밑을 향한 털이 있고, 원줄기의 능선에 밑을 향한 털이 있는 개석잠풀은 털석잠풀로 통합.석잠풀은 마디 부위에 털이 있고 그 이외에는 털이 없으나 털석잠풀은 전체에 털이 있고 북부지방에 자생.이 식물체는 털석잠풀과 유사하나 화서, 꽃받침 및 꽃에는 털이 아닌 선모가 밀생한다.줄기는 아래로 향한 긴 털이 있으며, 잎에는 긴 복모가 있다. 잎은 석잠풀 보다 넓고 두터우며 딱딱해 보인다.꽃색도 분홍색으로 연분홍색인 석잠풀에 비해 다르다.[털석잠풀 기재문]학명은 Stachys riederi Cham. var. hispidula (Regel) H.Hara 습기 있는 들판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는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30~70cm, 네모지며, 모서리에 밑으로.. 2024. 6. 20.
산새풀(6.19) [산새풀 특징]- 높은 산지에 분포하며 근경이 있어 군락을 형성한다.- 소수병에는 소화가 1개가 있는 소수가 한 개씩 달리고 소수는 흔히 자색을 띤다.-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되어 있어 호영이 보이지 않는다.- 까락은 호영의 등 중간에서 달린다.--------------------------------------------------------------------------------1.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포영 크기 = 소수 크기)    2. 무병, 유병소수 또는 장병, 단병소수가 짝지어 붙는다.        2-1. 장병소수와 단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기름새속        2-2.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짝을 이룬다. ----- 나도기름새속        2-3... 2024. 6. 20.
매화마름 열매(6.9) 매화마름(3.29)매화마름 화탁(꽃턱, 6.9)매화마름을 화탁에 2mm 정도의 긴털이 있는 반면, 민매화마름은 화탁에 털이 없다. 매화마름 뿌리잎(지상엽)'17.10.13 / 군산매화마름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096hyunshyunsik.tistory.com 매화마름 화탁(꽃턱, 6.9)매화마름을 화탁에 2mm 정도의 긴털이 있는 반면, 민매화마름은 화탁에 털이 없다. 매화마름 뿌리잎(지상엽)'17.10.13 / 군산매화마름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096hyunsik.tistory.com 매화마름 신hyunsik.tistory.com'24.6.9 2024. 6. 19.
털빕새귀리 열매, 종자(6.9) 소수의 길이가 1~3.5cm로 변화가 심하다.호영은 까끌거리거나 잔털이 많고, 엽초와 엽신에도 잔털이 많다.민둥빕새귀리는 털빕새귀리에 비해 소수에 털이 없다.[참새귀리속 검색표]1. 제1포영은 1맥, 제2포영은 3맥이며 호영은 선상피침형(빕새귀리류)이다.     2. 호영은 길이 9~12mm, 까락은 길이 10~15mm이다.          3. 소수에 개출모가 있다. ----- 털빕새귀리         3. 소수에 개출모가 없다. ----- 민둥빕새귀리     2. 호영은 길이 8mm이상, 까락은 길이 15mm이상이다.           4. 까락은 길이 15~40mm이다. 제1포영은 길이 5~15mm, 호영은 길이 8~25mm. ----- 까락빕새귀리          4. 까락은 길이 25~40mm이.. 2024. 6. 19.
보현개별꽃(4.23) 개별꽃속의 분류학적 연구 논문에서 발췌[비교] 보현개별꽃, 태백개별꽃, 덩굴개별꽃덩굴개별꽃과 태백개별꽃 교잡종이며 꽃밥이 자갈색이 아닌 주홍색이 특징이다.종명보현개별꽃덩굴개별꽃태백개별꽃꽃잎5장5장5~9장 꽃밥자갈색(주홍색)자갈색 자갈색 괴경  방추형으로 1~4개가 달림  순무형(또는 구형) 또는 방추형으로  1~5개가 달림가는 방추형으로 3~56개개방화  엽액 또는 정단 또는 엽액과  정단부에서 1~2개가 핀다   엽액에서 1~4개  정단부에서 1개결실  결실되지 않는다  결실된다  결실된다.개화 후 줄기  직립 후 엽액에서 새로운 줄기가  분기되면서 땅위를 포복  직립 후 엽액에서 새로운 줄기가  분기 되면서 땅위를 포복직립 상부 잎 배열대생대생위윤생소화경 털털이 1줄털이 1줄   털이 없거나 부분적으.. 2024. 6. 19.
큰꽃옥잠난초(나리난초속, 6.7) [난과의 특징]- 잎의 밑부분은 잎싸개(엽초 = 잎집)로 된다.- 화피편은 6장으로 꽃받침 3장(배악편, 측악편 2장), 꽃잎 3장(순판, 측화판 2장)이 떨어져 난다.   cf) 배악편 = 등꽃받침, 측악편 = 곁꽃받침, 순판 = 입술꽃잎, 측화판 = 곁꽃잎- 암술과 수술은 붙어 꽃술대(예주 : 암술과 수술이 붙은 기둥모양의 구조)를 형성하고 암술과 암술머리는 1개.- 심피는 3개다.- 씨는 많으며 먼지같이 미세하고 배젖은 없으며 배는 분화되지 않는다.[기재문]학명은 Liparis koreojaponica Tsutsumi, T. Yukawa, N.S. Lee, C.S. Lee & M. Kato 숲속 바위 위나 쓰러진 나무줄기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위인경은 달걀모양이고, 잎은 마주나며 줄기를 감싸고 2.. 2024. 6. 18.
[가칭] 큰좀소리쟁이 열매, 종자(Rumex dentatus L., 6.17) 종자는 광택이 나며 난형이고 날카로운 삼각형이며, 길이는 2~2.5mm, 기부가 좁고 끝이 뾰족하다. [가칭] 큰좀소리쟁이(Rumex dentatus L./6.17)좀소리쟁이와 유사하나 열매 (화피) 가 커서 가칭 '큰좀소리쟁이'로 명명함.[주요 특징]좀소리쟁이처럼 줄기 기부에서 가지가 갈라진다.엽병과 잎 뒷면의 맥을 따라 유두상 돌기가 있다.화경은 3hyunsik.tistory.com'24.6.17 2024. 6. 18.
[가칭] 큰좀소리쟁이(Rumex dentatus L./6.17) 좀소리쟁이와 유사하나 열매 (화피) 가 커서 가칭 '큰좀소리쟁이'로 명명함.[주요 특징]좀소리쟁이처럼 줄기 기부에서 가지가 갈라진다.엽병과 잎 뒷면은 맥을 따라 유두상 돌기가 있다.화경은 3/1지점에 관절이 있다.내화피열편은 삼각상 난형, 크기는 4~5 * 2.5~3mm, 뚜렷한 그물맥이 있고 1.5~2mm의 돌기가 있으며각 가장자리에는 길이 1.5~2mm의 가시가 2~4개 있다.종자는 광택이 나며 난형이고 날카로운 삼각형이며, 길이는 2~2.5mm, 기부가 좁고 끝이 뾰족하다. 좀소리쟁이의 국생종 기재문에 내화피열편의 크기(길이 4-5mm, 너비 2-3mm)는 오기재로 보인다. 좀소리쟁이 열매(6.28)'20.6.28hyunsik.tistory.com [가칭] 큰좀소리쟁이 열매, 종자(Rumex den.. 2024. 6. 17.
솔붓꽃 열매, 종자(6.16) 근연종과 달리 열매는 녹색으로 익는다. 솔붓꽃(4.17)[비교] 각시붓꽃, 솔붓꽃, 난장이붓꽃* 각시붓꽃(전국의 산지) : 포는 2~3개로 꽃 아래 바로 붙지 않는다. 뿌리는 모여난다.* 솔붓꽃(경기도, 충청도, 대구)  : 꽃대 끝에 2개의 포가 꽃을 감싼다. 근hyunsik.tistory.com 솔붓꽃 열매(6.11)금붓꽃 열매는 빨리 익는데 반해 솔붓꽃의 열매는 생각 이외로 빨리 익지 않는다. 각시붓꽃 열매(5.7)삭과로서 구형이며 5~6월에 성숙하며 지름이 8mm내외이다. 각시붓꽃(4.3)[비교] 각시붓꽃, 솔hyunsik.tistory.com'24.6.16 2024.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