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쥐꼬리새6 큰쥐꼬리새 열매, 종자(10.10) [쥐꼬리새속 특징]길고 가는 까락이 달린 작은 소수가 많이 모여 연약한 원추화서를 만든다. 원추화서는 퍼지거나 응축되며 혹은 수상형이다. 소수는 보통 피침형이고 약간 납작해지며 뒷부분이 둥글거나능선이 있다. 포영은 0~1(~3)맥이고 호영보다 짧다. 호영은 3맥이며 끝은 전연이거나 두 개의 치편으로 된다.[쥐꼬리새속 종 검색표]1. 지하경이 아주 짧게 긴다. ----- 쥐꼬리새1. 지하경이 길게 긴다. 2. 줄기에 가지가 없다. ----- 선쥐꼬리새 2. 줄기에 가지가 있다. 3. 줄기는 아랫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포영은 호영의 1/2 이하이다. ----- 큰쥐꼬리새(화서는 개방형) 3. 줄기는 절반이상에서 가지를 치고, 포영은 호영의 1/2 이상이다. ----- 가지.. 2024. 1. 17. 큰쥐꼬리새 (7.21, 7.16, 쥐꼬리새속) [벼과 속 검색표]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4. 제1, 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5.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5.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없다. 6.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가 1.. 2023. 7. 22. 큰쥐꼬리새(9.6) [벼과 속 검색표]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4. 제1, 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5.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5.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없다. 6.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가 1.. 2015. 10. 12. 큰쥐꼬리새 2010. 9. 18. 큰쥐꼬리새 큰쥐꼬리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941 2010. 9. 7. 큰쥐꼬리새 (Muhlenbergia longistolon Ohwi) 큰쥐꼬리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0034 선쥐꼬리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407 쥐꼬리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583 2009. 12.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