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바위취 꽃(7.31 / 범의귀과, 구실바위취속)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의하면, 구실바위취속은 구실바위취 1종이고범의귀속(= 바위떡풀속)은 톱바위취, 범의귀, 흰바위취, 구름범의귀, 바위떡풀, 털바위떡풀,바위취, 씨눈바위취 8종이다. (나도범의귀는 나도범의귀속이다.)이 중에서 국내에 자생하는 종은 구실바위취, 참바위취, 바위떡풀, 털바위떡풀그리고 원예종으로 심는 바위취가 있으며 나머지 종은 북부지방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기재문]유사종의 잎은 심장저이지만 유일하게 참바위치는 유저인 게 특징이다.높은 산 고지대 바위에서 드물게 자라는 특산식물.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겉에 샘털이 있다. 뿌리잎은 타원형 또는 둥근 타원형이며 유저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잎자루는 1~4cm이다. 줄기잎은 1~2장이며 작다. 잎 뒷면은 보통 붉은색을 띤다. 꽃은 ..
2024. 12. 27.
참바위취 (6.28, 7.5 / 범의귀과, 구실바위취속)
바위떡풀에 비해서 잎은 타원형 또는 둥근 타원형으로서 더욱 길쭉하며, 잎 가장자리의 톱니가 불규칙하므로 구분된다.===============================================================================국가표준식물목록에 의하면, 구실바위취속은 구실바위취 1종이고범의귀속(이전엔 바위떡풀속)은 톱바위취, 범의귀, 흰바위취, 구름범의귀, 바위떡풀, 털바위떡풀,바위취, 씨눈바위취 8종이다. (나도범의귀는 나도범의귀속이다.)이 중에서 국내에 자생하는 종은 구실바위취, 참바위취, 바위떡풀, 털바위떡풀그리고 원예종으로 심는 바위취가 있으며 나머지 종은 북부지방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 참바위치는 바위떡풀에 비해서 잎은 타원형 또는 둥근 타원형으로서 더욱 길쭉하며,..
2024. 2. 19.
참바위취 (10.6 / 범의귀과, 범의귀속)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의하면, 구실바위취속은 구실바위취 1종이고범의귀속(= 바위떡풀속)은 톱바위취, 범의귀, 흰바위취, 구름범의귀, 바위떡풀, 털바위떡풀,바위취, 씨눈바위취 8종이다. (나도범의귀는 나도범의귀속이다.)이 중에서 국내에 자생하는 종은 구실바위취, 참바위취, 바위떡풀, 털바위떡풀그리고 원예종으로 심는 바위취가 있으며 나머지 종은 북부지방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기재문] 유사종의 잎은 심장저이지만 유일하게 참바위치는 유저인 게 특징이다.높은 산 고지대 바위에서 드물게 자라는 특산식물.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겉에 샘털이 있다. 뿌리잎은 타원형 또는 둥근 타원형이며 유저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잎자루는 1~4cm이다. 줄기잎은 1~2장이며 작다. 잎 뒷면은 보통 붉은색을 띤다. 꽃은..
2024.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