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과107

꼬리새 열매 '22.8.9 2022. 9. 19.
김의털아재비 열매 '22.5.22 2022. 9. 2.
큰꾸러미풀 열매 새포아풀과 비슷하지만 보다 크며 화서의 가지에 잔돌기가 있고 포영에 잔톱니가 있으며 호영에 긴 털이 있는 것이 다르다. 새포아풀 열매 큰꾸러미풀 열매 '22.5.18 hyunsik.tistory.com '23.5.25 hyunsik.tistory.com '22.5.18 2022. 9. 1.
개밀 영과 '21.6.20 2022. 6. 23.
구주개밀 영과 '21.7.11 2022. 6. 21.
참새귀리 열매, 종자(6.20) '21.6.20 2022. 6. 19.
참새피 영과 참새피 영과 '21.8.20 hyunsik.tistory.com '20.10.5 2022. 5. 13.
참새귀리 열매, 종자(12.30) '21.12.30 2022. 3. 31.
개밀 영과 '21.12.30 2022. 3. 30.
쥐꼬리새 영과 큰쥐꼬리새 열매 1. 지하경이 아주 짧게 긴다. ----- 쥐꼬리새 1. 지하경이 길게 긴다. 2. 줄기에 가지가 없다. ----- 선쥐꼬리새 2. 줄기에 가지가 있다. 3. 줄기는 아랫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포영은 호영의 1/2 이하이 hyunsik.tistory.com '21.11.20 2022. 2. 28.
왕미꾸리광이 종자(10.17) '21.10.17 2022. 1. 18.
쇠풀 영과 '21.10.21 2022. 1. 5.
큰참새피 영과 큰참새피 '21.9.24 hyunsik.tistory.com 참새피 영과 '21.8.20 hyunsik.tistory.com '21.10.21 2022. 1. 4.
큰개사탕수수 영과 '20.12.11 2021. 12. 25.
조릿대풀 영과 '20.12.1 2021. 12. 25.
검은겨이삭 영과 '21.8.10 2021. 12. 21.
참새피 영과 '21.8.20 2021. 12. 8.
진들피 영과 '21.6.21 2021. 11. 12.
호밀풀 열매, 종자(호영에 까락, 8.10) [호밀풀속 특징]- 화서는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포엽이 없다.- 소수는 자루가 없다. - 납작한 소수의 모서리가 화축을 향한다.- 제1포영이 없거나 희미하고 제2포영은 혁질이다.- 전부 외래식물이다.참고) 갯보리속(개밀, 속털개밀 등)은 제1, 2포영이 있다[호밀풀속의 종 비교]종 명특  징호밀풀(외래)  - 호영에 까락이 없으나 재배품종의 교배로 중간종들이 생김.   - 제2포영은 호영 길이보다 같거나 길다.쥐보리(외래)  - 호영에 까락이 있다.   - 제2포영은 호영 길이보다 짧다.가지쥐보리(외래)  - 쥐보리의 화서가 갈라지는 것을 가지쥐보리로 따라 구별했으나 쥐보리로 통합함댕돌보리(외래)  - 포영이 소수 길이의 1/2독보리(외래)  - 포영이 소수 길이보다 길다.'21.8.10 2021. 9. 8.
꼬인새 영과 꼬인새 (꼬인새속) 다년초. 외래식물. 포영(1, 2포영의 길이는 같다)은 소수보다 길며, 소수는 작은 소수가 2개씩 쌍으로 4~5개 정도 달리고 소화는 4~9개정도 된다. (2번째 소화는 짧은 자루가 있고, 소수 끝에 달리는 hyunsik.tistory.com '21.6.27 2021. 8. 20.
조아재비 영과 '19.10.18 2021. 5. 6.
애기주름조개풀 영과 '19.10.18 2021. 5. 6.
갯쇠보리 영과 '19.11.13 2021. 4. 30.
민바랭이새 영과 '20.11.11 '19.11.27 2021. 4. 16.
대새풀 영과 '20.10.31 2021. 4. 13.
진퍼리새 영과 '20.10.24 2021. 4. 11.
나도솔새 영과 '20.10.24 2021. 4. 11.
애기향모 소수(5.21, 5.31) '19.5.31  '19.5.21 2021. 4. 11.
여름개밀 영과 '20.9.8 2021. 3. 30.
참나래새 영과 '20.9.8 2021.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