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열매2384

삼잎국화 종자(10.10) 학명은 Rudbeckia laciniata L.이며 종소명  laciniata는 '(잎이) 좁게 갈라진다는' 의미.  관상용으로 도로변, 정원, 민가 주변 등에 심어 기르거나 야생화하여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삼잎국화 (Rudbeckia laciniata L.)'19.9.2hyunsik.tistory.com 삼잎국화 종자'21.12.31hyunsik.tistory.com'23.10.10 2023. 12. 24.
물꼬리풀 열매 (꿀풀과, 물꼬리풀속) Pogostemon stellatus (Lour.) Kuntze. 이며 종소명 stellatus는 '별모양의' 의미. 희귀멸종위기식물이며 연못이나 습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분과는 달걀모양이며 길이 0.6mm정도로서 밋밋하다. [전주물꼬리풀, 물꼬리풀 비교] - 전주물꼬리풀 : 다년초로 지하경이 있다. 잎은 3~4개가 윤생. 꽃이삭이 넓고 수술대에 긴털이 밀생한다. - 물꼬리풀 : 1년초로 지하경이 없다. 잎은 3~6매가 윤생. 꽃이삭이 좁고 수술대에 털이 드문드문 있다. 물꼬리풀 종자 '22.12.14 hyunsik.tistory.com '23.10.10 2023. 12. 24.
개회나무 열매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물푸레나무과 특징은 대부분 꽃에는 수술 2개와 암술 1개가 들어 있는데, 암술은 서로 합쳐진 2개의 심피로 되어 있다. 꽃잎은 보통 4장이고 아래가 서로 붙어 통모양을 이룬다. 학명은 Syringa reticulata (Blume) H.Hara var. amurensis (Rupr.) J.S.Pringle 열매 표면에 피목이 발달하고 긴 타원형, 길이 2~2.5cm. [개회나무, 버들개회나무 비교] - 개회나무 : 잎은 넓은 난형. 열매는 길이 16 mm이상이며, 표면에 피목이 발달한다. - 버들개회나무 : 잎은 피침형. 열매는 길이 15 mm미만이며, 표면에 피목이 발달하지 못한다. 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Maxim.) H.Hara) 잎은 대생하며 .. 2023. 12. 24.
참죽나무 열매 (멀구슬나무과, 참죽나무속) 멀구슬나무과는 멀구슬나무(멀구슬나무속)와 참죽나무(참죽나무속) 2종이 있으며, 특징은 자방은 상위이고 기부가 밀선에 둘러싸이며, 자방실은 3-5실 또는 드물게 6실이다. 암술대는 1개이거나 없으며 배주는 자방실당 1개 내지 다수이다 학명은 Cedrela sinensis Juss.이며 종소명 sinensis는 '중국의' 의미. 열매는 삭과이며, 길이 2~2.4cm, 폭 1.5cm, 9월에 익으면 5조각으로 갈라진다. 씨는 위쪽에 막질의 긴 날개가 있다. 참죽나무 '23.5.19 hyunsik.tistory.com 참죽나무 꽃 '23.6.16 hyunsik.tistory.com 참죽나무 열매 '22.1.28 hyunsik.tistory.com 참죽나무 (Cedrela sinensis Juss.,Toona s.. 2023. 12. 21.
왜모시풀 열매 (쐐기풀과, 모시풀속) 쐐기풀과 특징은 자방실(심피)이 1개이며, 열매는 꽃덮이에 붙어 있으며 학명은 Boehmeria japonica (L.f.) Miq. 개모시풀 열매 (쐐기풀과, 모시풀속) 쐐기풀과 특징은 자방실(심피)이 1개이며 개모시풀 학명은 Boehmeria platanifolia Franch. & Sav. 열매는 수과로 거꿀달걀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으며 전체에 털이 있다. 개모시풀 왜모시풀에 비 hyunsik.tistory.com 섬모시풀 열매 '22.10.7 hyunsik.tistory.com 왜모시풀 왜모시풀 (tistory.com) 잎의 톱니는 잎끝 쪽으로 커진다. 암수한그루이나 내륙에서는 주로 암그루만 관찰된다. 암꽃차례는 가지를 치기도 한다. '23.8.5 hyunsik.tistory.com 왜모.. 2023. 12. 21.
분홍싸리 열매 (싸리속) 학명은 Lespedeza floribunda Bunge이며 종소명 floribunda는 '많은 꽃이 피는' 의미. 열매는 개방화와 폐쇄화의 모양이 다르다. 개방화의 열매(과병이 있음)는 난형 또는 도란형으로 끝은 예철두이며, 길이 5.-7-7.3mm, 너비 2.3-3.6mm이고 열매 전체에 흰색의 부드래운 누운 털이 밀생하고 망상맥이 있으며, 남아있는 꽃받침보다 길다. 폐쇄화의 열매(과병이 없음)는 넓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3.4-4.3mm, 너비 2.6-2.9mm로 흰색의 부드러운 누운 털이 밀생하며, 남아있는 꽃받침보다 1/2이상 길다. 분홍싸리 신엽 '20.4.7 hyunsik.tistory.com 분홍싸리 '19.6.10 hyunsik.tistory.com 분홍싸리 (Lespedeza f.. 2023. 12. 21.
꼬리풀 열매 (현삼과, 꼬리풀속) 학명은 Pseudolysimachion linariifolium (Pall. ex Link) Holub 열매는 편평한 둥근 삭과이고 꽃받침보다 다소 길며 끝이 파지고 길이 6-7mm의 암술대가 남아 있으며 꽃받침에 싸여 있다. '23.10.5 2023. 12. 20.
검은개선갈퀴 열매 (꼭두선이과, 갈퀴덩굴속) 선갈퀴 (Asperula odorata L.) 잎은 6-10장씩 윤생하며 뒷면 중륵과 가장자리에 위를 향한 강모가 있다. 검은개선갈퀴 (Galium japonicum (Maxim.) Makino & Nakai) 잎은 6개씩 윤생하고 밑부분이 가장 넓고 끝이 뾰족하다. 줄기에 갈고리 같은 털이 없다. 개선갈퀴 (Galium trifloriforme Kom.) 잎은 6개씩 윤생하고 잎맥은 1개. 줄기에 갈고리 같은 털이 있다. [갈퀴덩굴속 비교] 열매에 털이 없다. : 민둥갈퀴, 민긴잎갈퀴, 개갈퀴, 갈퀴아재비 -------------------------- 잎이 4장씩 돌려난다. --------------------------------------- 민둥갈퀴 : 잎은 4장씩 돌려난다. 잎은 3~5맥. 열매.. 2023. 12. 20.
개병풍 종자 (범의귀과, 개병풍속) 범의귀과 특징은 꽃은 서로 떨어진 꽃받침잎 5개와 합쳐진 꽃잎 5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암술은 합생심피성으로 상위자방 내지 하위자방이고, 열매는 씨방 안의 격벽이 갈라져 열리는 삭과이다. 학명은 Astilboides tabularis (Hemsl.) Engl.이며 종소명 tabularis는 '잎의 모양이 편평하다는 의미'이며 희귀멸종위기식물. 개병풍 신엽 '22.6.16 hyunsik.tistory.com '23.10.10 2023. 12. 19.
분홍싸리 열매 (싸리과, 싸리속) '23.11.29. 학명은 Lespedeza floribunda Bunge이며 종소명 floribunda는 '많은 꽃이 피는' 의미. 개방화의 과병은 약 8-10mm이며, 폐쇄화는 다수이나 과병이 없다. 분홍싸리 신엽 '20.4.7 hyunsik.tistory.com 분홍싸리 '19.6.10 hyunsik.tistory.com 분홍싸리 '19.8.31 hyunsik.tistory.com 분홍싸리 (Lespedeza floribunda Bunge) '19.9.20 / 경남 분홍싸리 열매 보기 : 분홍싸리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551 hyunsik.tistory.com 분홍싸리 꽃 '19.9.30 hyunsik.tistory.com 분홍싸리 열매 열매는 개방화.. 2023. 12. 19.
새끼꿩의비름 주아 (돌나물과, 꿩의비름속) 학명은 Hylotelephium viviparum (Maxim.) H.Ohba이며 종소명 viviparum는 '주아가 있는' 의미. 새끼꿩의비름 '22.7.26 hyunsik.tistory.com 새끼꿩의비름 '21.6.7 hyunsik.tistory.com 새끼꿩의비름 '18.9.19 / 경북 hyunsik.tistory.com 새끼꿩의비름 '17.9.23 / 대구 hyunsik.tistory.com 새끼꿩의비름 열매 '22.12.1 hyunsik.tistory.com '23.11.15 2023. 12. 19.
병아리풀 열매 (원지과, 원지속) 학명은 Polygala tatarinowii Regel 병아리풀(원지과, 원지속) 병아리풀 '15.9.17 / 정선 병아리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855 http://blog.daum.net/watcher/8763207 hyunsik.tistory.com 병아리풀 '14.10.3 병아리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207 http://blog.daum.net/w hyunsik.tistory.com 병아리풀 '15.9.17 / 정선 병아리풀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855 http://blog.daum.net/watcher/8763207 hyunsik.tistory.com.. 2023. 12. 18.
덕우기름나물 열매 (덕우기름나물속) 학명은 Sillaphyton podagraria (H.Boissieu) Pimenov.이며 특산식물이다. 분과는 아주 편평해서 융조가 유합하여 3개로 되며 유관은 가늘고 각 배구에 1개, 합생면에 1개가 있다. 덕우기름나물 신엽 '14.9.13 / 정선 hyunsik.tistory.com 덕우기름나물 '15.9.17 / 정선 hyunsik.tistory.com 덕우기름나물 열매 '22.1.6 hyunsik.tistory.com 덕우기름나물 열매 '14.9.13 / 정선 덕우기름나물 보기 : 백운기름나물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929 hyunsik.tistory.com '23.11.16 2023. 12. 18.
털중나리 열매 (백합과, 백합속) 학명은 Lilium amabile Palib.이며 종소명 amabile는 '사랑스러운' 의미. 털중나리 신엽 '21.5.19 hyunsik.tistory.com 털중나리 '16.6.18 / 대구 hyunsik.tistory.com 털중나리 '19.6.30 hyunsik.tistory.com 털중나리 '23.6.25 hyunsik.tistory.com 말나리 종자 (백합과, 백합속) 백합과 특징은 꽃이 6갈래로 갈라졌으며 심피는 3개이고 합생하고 씨방은 상위 내지 반하위이고, 3개의 자방실로 이루어진다. 학명은 Lilium distichum Nakai ex Kamib.이며 종소명 distichum는 '2열로 나는' hyunsik.tistory.com 하늘말나리 종자 '22.12.14 hyunsik.tist.. 2023. 12. 18.
할미밀망 열매 (미나리아재비속, 으아리속) 학명은 Clematis trichotoma Nakai이며 종소명 trichotoma는 '세갈래의' 의미이며 특산식물이다. 할미밀망 신엽 '22.3.31 hyunsik.tistory.com 할미밀망 꽃 '21.5.2 hyunsik.tistory.com 할미밀망 꽃 '17.5.23 / 정선 hyunsik.tistory.com 수과는 15-16개가 한군데 모여 달리며 난형이고 연한 황색 털이 있는 긴 암술대가 남아있다. '23.11.16 2023. 12. 18.
구릿대 열매 (당귀속) 당귀속 특징은 큰 2회 우상엽 잎과 흰색 꽃의 큰 복합 산형화서이다. 학명은 Angelica dahurica (Fisch. ex Hoffm.) Benth. & Hook.f. ex Franch. & Sav.이며 종소명 dahurica는 '시베리아 바이칼호 동쪽지역'을 의미한다. 구릿대 신엽 '20.3.2 hyunsik.tistory.com 구릿대 hyunsik.tistory.com 구릿대 '19.8.3 hyunsik.tistory.com 잔잎바디 열매 (당귀속) 학명은 Angelica czernaevia (Fisch. & C.A.Mey.) Kitag. 열매는 구형으로 9~10월에 성숙하며 늑 사이에 3개, 합생면에 8개의 유관이 있다. 잔잎바디 꽃, 열매 (당귀속) [특징] 화서 바로 아래 줄기에 털이 있.. 2023. 12. 18.
대팻집나무 겨울눈 및 수피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 감탕나무과 특징은 수술은 꽃잎과 호생하고, 꽃부리(화관) 아래쪽에 붙는다. 암술은 대부분 심피 4-8개가 합생한다. 씨방은 상위이며, 자방실은 심피와 같은 수이다. 꽃은 4~5장의 꽃잎과 꽃받침잎이 있고 열매는 핵과로 다수의 종자가 들어 있다. 노박덩굴과와 달리 평편한 화반이 없다. 학명은 Ilex macropoda Miq.이며 종소명 macropoda는 '긴 줄기를 가진' 의미. 암수딴그루이며 감탕나무속 식물 중에서 유일한 낙엽성이고 줄기에 짧은 가지가 발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단지가 있으며 겨울눈의 인편은 회갈색이다. 대팻집나무 '21.6.13 hyunsik.tistory.com 대팻집나무 열매 '17.8.1 / 진도 hyunsik.tistory.com 대팻집나무 열매 '18.7.31 hyunsik... 2023. 12. 18.
미역취 종자 (미역취속) 학명은 Solidago virgaurea L. subsp. asiatica (Nakai ex H.Hara) Kitam. ex H.Hara.이며 종소명 virgaurea는 '황금색 가지의' 의미. 모종인 Solidago virgaurea L.는 유럽에 분포하며, 수과에 털이 많다. 미역취 종자 '19.11.16 hyunsik.tistory.com 미역취 열매 '20.12.11 hyunsik.tistory.com 양미역취 열매 hyunsik.tistory.com '23.12.10 2023. 12. 18.
깽깽이풀 종자 (매자나무과, 깽깽이풀속) 매자나무과는 꽃잎이 주로 6개이고 암술은 1개, 수술은 6개가 특징. 학명은 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 Hook.f. ex Baker & S.Moore이며 종소명 dubia는 '잎이 반으로 올라오는 모양'을 의미한다. 깽깽이풀 신엽 '22.3.26 hyunsik.tistory.com 깽깽이풀 '23.3.24 hyunsik.tistory.com 깽깽이풀 '18.4.11 / 경북 hyunsik.tistory.com 깽깽이풀 열매 '22.5.6 hyunsik.tistory.com 깽깽이풀 열매 '22.4.16 hyunsik.tistory.com '23.10.10. 2023. 12. 17.
독활 열매 (두릅나무과, 두릅나무속) 두릅나무과 특징은 큰 잎은 겹잎으로 대개 어긋난다. 암술은 1개이고 꽃은 5갈래로 갈라졌으며 산형꽃차례로 핀다. 열매는 장과이나 드물게는 씨 1개가 들어 있는 핵과가 맺힌다. [독활과 땅두릅 비교] 독활 (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 Y.C.Chu) => 땅두릅의 변종 - 꽃자루 길이 : 평균 6~7mm - 꽃차례 분지 횟수 : 3~4회 - 암술대 : 얕게 갈라짐 땅두릅 (Aralia cordata Thunb.) - 꽃자루 길이 : 6~12mm - 꽃차례 분지 횟수 : 1~2회 - 암술대 : 깊게 갈라 독활 신엽 '18.5.13 hyunsik.tistory.com 독활 열매 '20.11.15 hyunsik.tistory.com '23.10.3 2023. 12. 16.
큰여우콩 열매 (여우콩속/10.3) 큰여우콩 열매'22.11.17hyunsik.tistory.com 큰여우콩 열매 (여우콩속)학명은 Rhynchosia acuminatifolia Makino 이고 종소명 acuminatifolia는 '잎 끝이 뾰족한' 뜻의 라틴어. 산과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열매는 협과, 편평한 긴 타원형으로 길이 15~20mm, 9~10월에 익는데hyunsik.tistory.com 큰여우콩'18.9.5hyunsik.tistory.com 큰여우콩 신엽'15.8.15 / 대구 돌콩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419967hyunsik.tistory.com'23.10.3 2023. 12. 16.
용담 종자 (용담과, 용담속) 용담과 특징은 잎은 마주나고 꽃은 4장 또는 5장의 꽃잎으로 된 통꽃이다. 열매는 삭과. 암술은 심피 2개가 합생하였고, 씨방(자방)은 상위이며, 자방실은 1개 또는 2개이다. 밑씨(배주)는 자방실당 다수이며, 태좌는 측벽태좌이다. 학명은 Gentiana scabra Bunge 용담 '18.10.19 / 경남 hyunsik.tistory.com 용담 (용담과, 용담속) 용담과 특징은 잎은 줄기를 따라 서로 마주나며 잎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꽃은 4장 또는 5장의 합쳐진 꽃잎으로 되어 있다. 학명은 Gentiana scabra Bunge이다. 잎 가장자리와 잎줄 위에 잔돌기가 있어 hyunsik.tistory.com 과남풀 (Gentiana triflora var. japonica (Kusn.) H.Hara.. 2023. 12. 15.
된장풀 열매 (콩과, 된장풀속) 학명은 Desmodium caudatum (Thunb.) DC. 희귀멸종위기식물. 산과 들에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며 희귀멸종위기식물이다. 줄기와 잎을 된장에 넣으면 벌레가 생기지 않는다하여 된장풀이라 부른다. 된장풀 (Desmodium caudatum (Thunb.) DC.) '18.11.3 / 제주도 된장풀 열매 보기 : 캐나다된장풀 (Desmodium canadense (L.) DC.) 보기 : hyunsik.tistory.com 열매는 협과로 편평한 선형이고 길이 5~7cm로서 4~6개의 마디로 잘 떨어지고 겉에 갈고리 같은 털이 있으며 9월에 성숙한다. '23.10.10 2023. 12. 15.
말나리 종자 (백합과, 백합속) 백합과 특징은 꽃이 6갈래로 갈라졌으며 심피는 3개이고 합생하고 씨방은 상위 내지 반하위이고, 3개의 자방실로 이루어진다. 학명은 Lilium distichum Nakai ex Kamib.이며 종소명 distichum는 '2열로 나는' 의미로 잎이 2열로 마주나는 것을 말한다. 하늘말나리 종자 '22.12.14 hyunsik.tistory.com 누른하늘말나리 종자 '22.12.14 hyunsik.tistory.com 큰하늘나리 열매 '21.10.17 hyunsik.tistory.com 섬말나리 열매 '12.8.11 / 울릉도 섬말나리 보기 : hyunsik.tistory.com 종자 길이는 9.5mm 정도 '23.10.10. 2023. 12. 15.
사창분취 열매 (취나물속) 학명은 Saussurea calcicola Nakai이며 종소명 calcicola는 '석회암에서 자라는' 의미. 특산식물. 사창분취 '22.7.8 hyunsik.tistory.com 사창분취 (Saussurea calcicola Nakai) '14.9.13 / 정선 사창분취 뿌리잎 : http://blog.daum.net/watcher/6143969 근생엽은 개화시에 쓰러지며 밑부분의 잎은 엽병과 더불어 길이 27cm이다. 경생엽은 심장형 둔두이고 길이 17cm, 폭 15cm로서 표면에 거 hyunsik.tistory.com 수과는 원뿔모양으로서 털이 없으며 관모는 2줄. '23.11.16 2023. 12. 13.
투구꽃 열매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 미나리아재비과 특징은 떨어진 꽃잎과 꽃받침이 떨어져 있고, 암술과 수술이 많으며 서로 떨어져 달리며 자방은 1실이고 상위자방이다. 학명은 Aconitum jaluense Kom.이며 종소명 jaluense는 '압록강의' 의미. [투구꽃과 송이바꽃 비교] - 투구꽃 : 산방꽃차례 또는 산방형 총상꽃차례. 심피에 털 밀생 - 송이바꽃 : 원추꽃차례 또는 원추형 총상꽃차례. 꽃대,작은꽃자루 및 심피에 개출모(퍼진 털) 밀생 [노루삼속] 눈빛승마 열매 (미나리아재비과, 노루삼속) Actaea dahurica (Turcz. ex Fisch. & C.A.Mey.) Franch.이며 종소명 dahurica는 바이칼호 동쪽지역을 말한다. 눈빛승마 신엽 '23.3.22 hyunsik.tistory.com 눈빛승마 신엽 .. 2023. 12. 13.
벌완두 열매 (콩과, 나비나물속) 콩과의 특징은 암술은 1개로 단심피성이고, 자방은 상위이며, 1실 또는 드물게 2실이다. 밑씨는 1개 또는 그 이상이고, 복봉선에 달리며, 태좌는 변연태좌이다. 열매는 대부분 협과. 학명은 Vicia amurensis Oett.이며 종소명 amurensis는 '아무르 지역의' 의미. [벌완두와 갈퀴나물 비교] * 벌완두 : 갈퀴나물에 비해 소엽의 측맥이 중앙맥에서 45도 이하로 벌어져 있으며 꽃받침 열편이 짧다. * 갈퀴나물 : 갈퀴나물에 비해 소엽의 측맥이 중앙맥에서 45도 이상으로 벌어져 있으며 꽃받침 열편이 길다. [비교] 갈퀴나물 벌완두 잎, 꽃 * 벌완두 : 갈퀴나물에 비해 소엽의 측맥이 중앙맥에서 45도 이하로 벌어져 있으며 꽃받침 열편이 짧다. * 갈퀴나물 : 갈퀴나물에 비해 소엽의 측맥이 .. 2023. 12. 12.
산둥굴레 열매 (백합과, 둥굴레속) 백합과 특징은 꽃이 6갈래로 갈라졌으며, 열매는 3개의 방이 있다. 학명은 Polygonatum thunbergii Morr. & Decne. 산둥굴레 신엽 '23.4.3 hyunsik.tistory.com 산둥굴레 '23.5.1 hyunsik.tistory.com 산둥굴레 '23.5.12 hyunsik.tistory.com 산둥굴레 꽃은 1~2개가 달리며 줄기에 능각이 없고 잎 뒷면에 유리질 같은 돌기가 있다. '23.4.24 hyunsik.tistory.com 산둥굴레 '23.5.3 hyunsik.tistory.com 산둥굴레 열매 '23.6.20 hyunsik.tistory.com '23.10.10 2023. 12. 12.
가거줄사초 열매 C. brunnea(가거줄사초)와 C. lenta(줄사초)를 구별하는 것은 분류학적으로 복잡하다. FOC에는 C. brunnea(가거줄사초)만 언급되고, 일본에서는 두 분류군을 구별하고 있다. 가거줄사초는 과낭이 타원형, 2~3mm × 1~1.2mm, 가는 맥이 있고, 매끈하거나 성글게 털이 있는데 비해, 줄사초는 넓은 타원형, 2.8~3.5mm × 1.2~1.8mm, 굵은 맥이 있고, 털이 조밀하다는 점으로 구별한다. 종자(수과) 길이도 가거줄사초과 줄사초에 비해 약간 짧다. [비교] 논두렁사초, 줄사초 화서 [위 : 줄사초 / 아래 : 논두렁사초] 논두렁사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70590 '19.9.27 / 전남 hyunsik.tistory.com 줄사초 .. 2023. 12. 12.
오리방풀 열매 (꿀풀과, 산박하속) 꿀풀과 특징은 줄기는 흔히 4각이 진다. 잎은 대부분 마주나며 꽃받침은 입술 모양이며, 5갈래로 갈리고, 수술은 화관에 붙고 심피는 2개로 이루어졌다. 자방은 상위이고, 얕게 또는 깊게 4개로 갈린다. 열매는 소견과 또는 핵과이며, 꽃받침이 감싸고, 소견과는 4개이다. 종자는 소견과당 1개이다. 학명은 Isodon excisus (Maxim.) Kudô이며, 둥근오리방풀, 지리오리방풀 및 흰오리방풀은 오리방풀로 통합됨. - 둥근오리방풀 : 잎끝이 뾰족하게 나오지 않고 거치가 넓은 치아상이다. - 지리오리방풀 : 잎의 너비가 길이보다 길다. 오리방풀 '22.9.29 hyunsik.tistory.com 둥근오리방풀 (오리방풀로 통합됨) 오리방풀와 달리 잎끝이 뾰족하게 나오지 않는다. '17.10.3 / 정읍.. 2023.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