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리삼속5

산꽃고사리삼(9.1, 고사리삼속) 고사리삼속은 공통자루(공통엽병)가 있고 그 끝에 영양엽과 포자엽이 붙는다.[고사리삼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의 양치식물(이창숙, 이강협 지음) 1. 동록성이고 영양엽은 포자엽과 같이 긴 잎자루가 있고, 공통자루 길이는 영양엽의 잎자루보다 매우 짧거나 같다.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도 남아있고, 포자의 표면은 가시모양의 돌기가 있다.        3. 영양엽의 열편은 좁은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산꽃고사리삼(전라도, 제주도)        3. 영양엽의 열편은 광타원형~난형으로 둔두이며, 불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숲고사리삼(전남, 제주도)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 낙엽지고, 포자의 표면은 그물모양으로 가시 같은 돌기가 없다.       .. 2023. 2. 2.
숲고사리삼 (12.4) 고사리삼속은 공통자루가 있고 그 끝에 영양엽과 포자엽이 붙는다.[고사리삼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의 양치식물(이창숙, 이강협 지음) 1. 동록성이고 영양엽은 포자엽과 같이 긴 잎자루가 있고, 공통자루 길이는 영양엽의 잎자루보다 매우 짧거나 같다.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도 남아있고, 포자의 표면은 가시모양의 돌기가 있다.        3. 영양엽의 열편은 좁은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산꽃고사리삼(전라도, 제주도)        3. 영양엽의 열편은 광타원형~난형으로 둔두이며, 불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숲고사리삼(전남, 제주도)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 낙엽지고, 포자의 표면은 그물모양으로 가시 같은 돌기가 없다.        4. 영.. 2019. 1. 7.
산고사리삼 (Sceptridium multifidium var. robustum (Rupr.)) '14.5.18일 / 울릉도 고사리삼과 비슷하지만 잎이 두껍고 혁질이며 엽병과 잎 뒷면에 연한 갈색털이 많다. 우편과 소우편에는 짧은 대가 있거나 거의 없으며 특히 위쪽 우편 밑의 소우편은 대가 거의 없기 때문에 우축으로 곧추 자라서 열편이 서로 겹쳐지게 된다. 열편은 난형 또는 넓은 난.. 2014. 6. 12.
단풍고사리삼 2010. 1. 2.
단풍고사리삼(고사리삼과) 고사리삼속은 공통자루가 있고 그 끝에 영양엽과 포자엽이 붙는다.[고사리삼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의 양치식물(이창숙, 이강협 지음)1. 동록성이고 영양엽은 포자엽과 같이 긴 잎자루가 있고, 공통자루 길이는 영양엽의 잎자루보다 매우 짧거나 같다.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도 남아있고, 포자의 표면은 가시모양의 돌기가 있다.        3. 영양엽의 열편은 좁은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산꽃고사리삼(전라도, 제주도)        3. 영양엽의 열편은 광타원형~난형으로 둔두이며, 불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숲고사리삼(전남, 제주도)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 낙엽지고, 포자의 표면은 그물모양으로 가시 같은 돌기가 없다.        4. 영양엽.. 2009. 1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