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은 Microstegium vimineum (Trin.) A.Camus var. polystachyum (Franch. & Sav.) Ohwi 이며
종소명 vimineum는 '긴 연한 가지가 있는' 의미이고
나도바랭이새의 변종이며 낮은 산지나 숲, 임도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민바랭이속 비교]
공통 : 1년초이며 기는 줄기가 있다.
- 민바랭이새 : 단병소수와 장병소수가 번갈아 남. 긴 까락이 있다.
- 큰듬성이삭새 :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번갈아 남. 까락이 있다.
- 나도바랭이새 :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번갈아 남. 까락이 없다.
나도바랭이새
'18.10.8
hyunsik.tistory.com
큰듬성이삭새 열매
'22.10.23
hyunsik.tistory.com
민바랭이새 열매
'22.10.23
hyunsik.tistory.com
민바랭이새 종자 (민바랭이새속)
학명은 Microstegium japonicum (Miq.) Koidz.이고 종소명 japonicum는 '일본의' 의미. 길가의 습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 민바랭이새속에는 4종이 있는데 그 차이점이 아래와 같다. - 민바랭이새 : 단병소수
hyunsik.tistory.com
민바랭이새 영과
'20.11.11 '19.11.27
hyunsik.tistory.com
민바랭이새 영과
'18.11.22 / 경남
hyunsik.tistory.com
'23.10.10
'열매 및 종자 > 벼과(영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풀 소수, 소화, 열매, 종자(6.24) (0) | 2024.06.26 |
---|---|
털빕새귀리 열매, 종자(6.9) (0) | 2024.06.19 |
큰쥐꼬리새 열매, 종자(10.10) (0) | 2024.01.17 |
큰개사탕수수 열매 (개사탕수수속) (0) | 2023.12.25 |
가는수크령 열매, 종자 (10.29,수크령속) (0) | 2023.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