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나리(Lilium concolor Salisb.)의 변종으로 학명은 Lilium concolor var. megalanthum Wang & Tang
습한 초원에서 자란다.
잎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작은 돌기가 있다. 꽃은 6~7월경에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곧추 위를 향해 1~5개가 핀다. 화피열편은 6개이고 옆으로 퍼지며 길이 2~5cm로서 도피침형 끝이 둔하고 짙은 분홍색이지만 안쪽에 자주색 반점이
흩어져 있다. 꿀샘에 털이 없으며 돌기 같은 점이 있고 암술대는 씨방과 길이가 비슷하며 꽃밥은 화피와 색깔이 같다.
이 종은 하늘나리에 비해 잎이 길고 넓은 점, 화피에 자색 점이 있는 점에서 구분되며
잎이 돌려나기로 달리는 하늘말나리에 비해 큰하늘나리는 잎이 어긋나기로 줄기에 퍼져 있는 점에서 구분된다.
[비교] 큰하늘나리, 하늘나리, 하늘말나리
종 명 | 큰하늘나리 (하늘나리의 변종) |
하늘나리 (Lilium concolor Salisb.) |
하늘말나리 (Lilium tsingtauense Gilg) |
자생환경 | 습한초원 | 해발 800m이상 되는 높은 산에서 햇볕이 잘 드는 사면이나 길가 |
산기슭이나 낙엽수림 주변 |
잎 | 어긋나기 잎, 길이 5 - 8.5cm, 폭 5 - 10mm |
어긋나기 잎. 길이 3.5 - 7cm, 폭 3 - 6mm |
큰 윤생엽과 작은 어긋나기엽이 있다 |
화피 | 짙은 분홍색 화피에 자색 반점이 산재. 길이 5 - 5.2cm, 폭 0.8 - 1.4cm |
황적색 화피에 반점이 없음 길이 2.2 - 4cm, 폭 0.4 - 0.7cm |
황적색 화피에 자색 작은 반점이 밀포 |
하늘말나리 꽃 (7.8 / 백합과, 백합속)
[기재문]학명은 Lilium tsingtauense Gilg이며 종소명 tsingtauense는 중국 '칭다오산의' 의미.해발고도 100~300m의 해가 잘 비추는 산기슭이나 풀밭에서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비늘줄기
hyunsik.tistory.com
큰하늘나리 꽃(7.4)
'21.7.4
hyunsik.tistory.com
큰하늘나리 열매, 종자(10.17)
'21.10.17
hyunsik.tistory.com
'23.7.9
'수생 및 수변식물 > 수생·습지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는가래(7.6 / 가래과, 가래속) (0) | 2023.07.11 |
---|---|
긴흑삼릉 꽃(7.9) (0) | 2023.07.11 |
생이가래(6.11) (0) | 2023.06.28 |
큰마름 (0) | 2023.02.16 |
석창포 (0) | 2023.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