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3. 포영은 퇴화하여 흔적만 있다.
3. 포영이 뚜렷하다.
4. 제1, 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4. 제1, 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5.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5.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없다.
6.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가 1개 있다.
7. 한 개의 소수에 한 개의 양성소화만 있다. ----- 산기장속, 담상이삭풀속, 쥐꼬리새속
7. 한 개의 소수에 2개의 소화가 있으나 양성소화는 1개뿐이다. ----- 기장속, 좀조개풀속
6.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는 2개 이상이다.
[쥐꼬리새속 특징]
길고 가는 까락이 달린 작은 소수가 많이 모여 연약한 원추화서를 만든다.
원추화서는 퍼지거나 응축되며 혹은 수상형이다. 소수는 보통 피침형이고 약간 납작해지며 뒷부분이 둥글거나
능선이 있다. 포영은 0~1(~3)맥이고 호영보다 짧다. 호영은 3맥이며 끝은 전연이거나 두 개의 치편으로 된다.
[쥐꼬리새속 종 검색표]
1. 지하경이 아주 짧게 긴다. ----- 쥐꼬리새
1. 지하경이 길게 긴다.
2. 줄기에 가지가 없다. ----- 선쥐꼬리새
2. 줄기에 가지가 있다.
3. 줄기는 아랫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포영은 호영의 1/2 이하이다. ----- 큰쥐꼬리새(화서는 개방형)
3. 줄기는 절반이상에서 가지를 치고, 포영은 호영의 1/2 이상이다. ----- 가지쥐꼬리새(화서는 응축형)
[쥐꼬리새속 비교]
종명 | 쥐꼬리새 | 선쥐꼬리새 | 큰쥐꼬리새 | 가지쥐꼬리새 |
소수 길이 | 2.5 ~ 3mm | 4 ~ 5mm | 2 ~ 3mm | 3mm |
포영 길이 | 1.5 ~ 2mm, 2 ~ 2.2mm | 3 ~ 4mm | 0.5 ~ 1.2mm | 1.5 ~ 2.3mm |
호영 길이 | 2.5 ~ 3mm | 4 ~ 5mm | 2 ~ 3mm | 2.5~3.1mm |
까락 길이 | 5 ~ 9mm | 5 ~ 9mm | 8 ~ 16mm | 5 ~ 10mm |
종자 길이 | 1.3~1.6mm | - | 1.8~2.4mm | 1.3~1.8mm |
줄기 높이 | ~ 50cm | ~ 80cm | 50 ~ 120cm | 30 ~ 120cm |
쥐꼬리새 (Muhlenbergia japonica Steud.)
소수는 길이 2.5~3.0mm.
포영은 모양과 크기가 비슷하며 길이 1.5~2.0mm, 호영 길이의 1/2이상.
호영의 길이는 2.5~3.0mm, 아랫부분에 털이 많고, 끝이 갈라지며, 4~8mm의 까락이 달린다.
큰쥐꼬리새에 비해 근경이 없으며 있더라도 아주 짧고, 소수는 길이 2.5~3.0mm, 포영은 호영 길이의 1/2이상이다.
선쥐꼬리새(Muhlenbergia hakonensis (Hack. ex Matsum.) Makino)
소수는 길이 3.8-4.5mm.
포영은 모양과 크기가 같고 길이 3mm, 소수의 2/3정도.
호영은 길이 3.8~4.5mm, 기부 근처에 긴 털이 나며 끝은 2개의 뾰족한 톱니로 갈라지고 사이에서 길이 6~10mm의 곧은 까락이 나온다.
큰쥐꼬리새에 비해 소수는 길이 3.8~4.5mm로 보다 크고 포영은 예첨두이며 호영 길이의 2/3로 막질이다.
큰쥐꼬리새(Muhlenbergia huegelii Trin.)
소수는 길이 3mm.
제1포영은 길이 0.5~0.7mm, 제2포영은 길이 0.7~1.0mm이고 호영 길이의 1/4~1/3쯤이다.
호영은 길이 3mm, 기부에는 털이 있고, 끝은 2개의 뾰족한 톱니로 갈라지며 사이에서 길이 7~12mm의 곧은 까락이 난다.
화서는 길이 10~30cm, 가지는 마디마다 1개씩 나오고 다시 갈라지며 기부에서부터 끝까지 많은 소수가 붙는다.
꽃차례는 비스듬히 휘는 원추꼴로 각 이삭은 다소 위쪽을 향하는 점에서 각 이삭이 꽃차례 축에 밀착하는 선쥐꼬리새와 구별된다.
가지쥐꼬리새 (Muhlenbergia ramosa)
소수는 길이 약 3mm, 보랏빛의 회녹색이다.
포영은 1.5~2.3mm로, 대개 1포영이 2포영보다 짧다.
호영은 2.5~3.1mm로 등쪽 1/4 아래쪽으로 잔털이 있고 까락은 5~10m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어른 허리까지 자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전체꽃차례(응축화서)는 10-18cm로 폭이 좁다.
근경이 매우 길다.
선쥐꼬리새(쥐꼬리새속, 8.14)
[벼과 속 검색표]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hyunsik.tistory.com
가지쥐꼬리새 (8.12)
[벼과 속 검색표]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hyunsik.tistory.com
큰쥐꼬리새 (7.21, 쥐꼬리새속)
[벼과 속 검색표]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2.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2.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hyunsik.tistory.com
큰쥐꼬리새 열매, 종자(10.10)
[쥐꼬리새속 특징]길고 가는 까락이 달린 작은 소수가 많이 모여 연약한 원추화서를 만든다. 원추화서는 퍼지거나 응축되며 혹은 수상형이다. 소수는 보통 피침형이고 약간 납작해지며 뒷부분
hyunsik.tistory.com
'15.9.6 / 완산군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풀거북꼬리(9.6) (0) | 2015.10.15 |
---|---|
대새풀(8.1, 8.22) (0) | 2015.10.14 |
청사조 (8.21 / 갈매나무과, 망개나무속) (0) | 2015.10.11 |
왜박주가리 꽃(협죽도과) (0) | 2015.10.10 |
호자덩굴 (0) | 2015.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