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중과의 속 검색표]
1. 포막은 둥근 방패형이고, 중앙에 부착점이 있다.
2. 잎맥은 규칙적으로 복잡한 그물맥을 이룬다. ----- 쇠고비속
2. 잎맥은 거의 유리맥이다. ----- 십자고사리속
1. 포막은 콩팥모양으로 중심부까지 갈라져서 그 아래 부착된다.
3. 소우편, 열편은 아래쪽으로 먼저 갈라진다. ----- 쇠고사리속
3. 소우편, 열편은 위쪽으로 먼저 갈라진다. ----- 관중속
속명 | 잎몸 | 잎맥 | 포막 |
쇠고비속 | 1회 우상 | 대부분 그물맥 | 둥근 방패형 |
십자고사리속 | 1~2회 | 대부분 유리맥 | 둥근 방패형 |
쇠고사리속 | 2~4회 우상 | 유리맥 | 콩팥모양 |
관중속 | 2~4회 우상 | 유리맥 | 콩팥모양 |
[십자고사리속의 종 검색표]
1. 잎몸은 단단한 가죽질로, 잎 가장자리 톱니의 끝이 바늘처럼 된다. 잎맥에 붙는 인편은 끝이 둔하다.
2. 잎자루와 잎몸은 거의 비슷하고, 인편은 흑갈색이며 포자낭군은 잎몸 아래부터 붙는다. --- 검정개관중
2. 잎자루는 잎몸보다 짧고, 인편은 암갈색~갈색이며 포자낭군은 잎몸 맨 위부터 붙는다. --- 큰개관중
1. 잎몸은 단단한 초질이거나 가죽질이고, 잎 가장자리 톱니의 끝이 부드럽다. 잎맥에 붙는 인편은 털같다.
2. 잎몸은 중앙 아래로 가면서 점차 좁아져서, 맨 아래 우편이 가장 짧다. --- 좀나도히초미
2. 잎몸은 중앙 아래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지 않고, 맨 아래 우편은 작아지지 않거나 약간 작아진다.
3. 엽병 아랫부분의 인편은 2가지 색으로 가운데가 암갈색, 바깥이 연갈색을 띤다.
4. 잎몸 표면은 광택이 없고, 엽병 인편의 엽연은 지저분하게 갈라진다. --- 나도개관중
4. 잎몸 표면은 약간 광택이 나고, 엽병 인편의 엽연은 밋밋하거나 드문드문 돌기가 있다. --- 섬나도히초미
3. 엽병 아랫부분의 인편은 단일색으로 갈색 또는 연갈색이다.
4. 상록성이고 잎몸 표면이 광택이 있다.
5. 중축 아랫면의 인편은 피침형이고,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붙는다. --- 긴개관중
5. 중축 아랫면의 인편은 털같이 되고,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중륵과 가장자리의 중간에 붙는다. --- 나도히초미
4. 하록성이고 잎몸 표면이 광택이 없다.
5. 중축 아랫면의 인편은 중축에 압착된다. --- 비늘개관중
5. 중축 아랫면의 인편은 중축에 압착되지 않는다.
6. 중축 하부의 인편은 넓은 난형으로 끝이 갑자기 좁아진다. --- 지리개관중
6. 중축 하부의 인편은 난상 피침형으로 끝이 점차 좁아진다. --- 참나도히초미
[기재문]
학명은 Polystichum mayebarai Tagawa
고도가 낮은 산지의 습기가 있는 숲속의 전석지에서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하는 키 45~60cm의 양치식물이다.
잎자루는 전체에 비늘조각이 빽빽이 붙거나 성글게 붙지만 상부에서 시들어 떨어진다. 잎자루의 비늘조각은 흑갈색이다. 잎몸은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으로 길이 12~45cm, 2회 깃꼴겹잎이고, 딱딱한 가죽질이다.
우편은 좁은 피침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고, 기부에서 중부까지 거의 평행하다.
소우편은 다소 낫 모양이며, 우편의 중부에서의 소우편은 기부가 우축으로 흘러 인접한 소우편과 유합하며,
기부내측의 기부가 귀 모양으로 돌출되고, 가장자리는 끝이 딱딱한 가시 모양 또는 바늘 모양이다.
포자낭군은 잎몸의 기부 또는 중부에서 상부 쪽으로 붙고, 가운데 잎맥과 가장자리의 중간에 붙는다.
포막은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이다. 포자는 6~9월에 형성된다. 유사한 검정개관중과는 소우편이
적어도 우편의 중부에서 우축으로 흘러 인접한 소우편과 유합하는 점에서 구별된다.
검정개관중 (Polystichum tsussimense (Hook.) J.Sm.)
[특징] 큰개관중에 비해 작고 우편 기부의 귀가 발달하며 엽병 기부의 인편이 흑갈색이다.(큰개관중은 갈색) '18.11.4 / 제주도 큰개관중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880 지리개관중 보기 : http://
hyunsik.tistory.com
'18.11.4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참나무 (참나무과, 참나무속) (0) | 2024.01.29 |
---|---|
붉나무 충영(오배자, 9.23) (0) | 2024.01.29 |
복엽나무의 겨울눈 모음 (0) | 2024.01.29 |
올챙이고랭이 (사초과, 올챙이고랭이속) (0) | 2024.01.29 |
여뀌 (9.29, 마디풀과) (0) | 202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