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치식물

큰개고사리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by 곰보배추 2024. 2. 14.

학명은 Diplazium mesosorum (Makino) Koidz.

희귀멸종위기식물.

 

개고사리과(관다발은 2개)의 속 검색표

1. 포막이 있다.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V자형이고, 포막은 말굽모양 또는 갈고리형이다. ----- 개고사리속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U자형이고, 포막은 대부분 선형이다. ----- 주름고사리속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지 않으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 진고사리속

1. 포막이 없다. ----- 뿔고사리속

속명 중축과 우축의 홈 중축과 우축 모서리의 돌기 다세포성 털 포막
개고사리속 연결됨 있음 없음 선형, 갈고리형, 말굽형 등 다양
주름고사리속 연결됨 없음 없음 선형
진고사리속 연결안됨 없음 있음 원형, 갈고리형, 선형
뿔고사리속 연결됨 있음 있음 없음

 

* 개고사리속 : 개고사리, 참새발고사리, 암뱀고사리, 산개고사리, 넓은잎개고사리, 구슬개고사리 등

* 주름고사리속 : 내장고사리, 큰개고사리, 두메고사리 등

* 진고사리속 : 진퍼리개고사리, 털고사리, 곱새고사리, 진고사리, 푸른개고사리, 왕고사리 등

* 뿔고사리속 : 응달고사리, 지리산숲고사리, 뿔고사리

 

[주름고사리속 검색표]

1. 잎몸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2. 상록성이며, 비늘조각은 가장자리에 돌기가 없다.

        3. 소우편의 측맥은 단순하다. ----- 검정비늘고사리(제주도, 전남)

        3. 소우편의 측맥은 분기한다. ----- 섬잔고사리(제주도)

    2. 하록성이며, 비늘조각은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다.

        4. 키는 1m이하이고, 소우편은 끝이 둔하거나, 짧게 뾰족하다. 

            5. 뿌리줄기는 굵고, 짧게 긴다. ----- 내장고사리(전라도, 제주도, 경남)

            5. 뿌리줄기는 가늘고, 길게 긴다. 

                6. 우축, 소우축에 털이 있다. ----- 두메고사리(강원도, 경북)

                6. 우축, 소우축에 털이 없다. ----- 민두메고사리(전남, 경남)

        4. 키는 1m이상이고, 소우편은 끝이 길게 뾰족하다. ----- 큰섬잔고사리(제주도)

 

1. 잎몸은 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6. 뿌리줄기는 가늘고, 길게 뻗으며,

         포자낭군은 열편의 중륵에 맞대어 어긋나게 붙는다. ----- 큰개고사리(전라도)

     6. 뿌리줄기는 굵고, 짧게 뻗으며,

         포자낭군은 열편의 중륵 가까이에 평행하게 붙는다. ----- 암고사리(제주도)

 

산지 숲속에서 하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하는 키 50~100cm의 남방계 양치식물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짧게 긴다. 잎몸은 삼각형 또는 삼각상 난형으로 길이 25~60cm, 3회 깃꼴겹잎이다.

우편은 삼각상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이고, 소우편은 피침형 또는 삼각상 피침형이며,

제2차 소우편은 피침형이고, 가장자리는 심렬하며, 최종 열편은 장타원형으로 가장자리는 톱니가 둔하다.

포자낭군은 가운데 잎맥 근처에 붙고, 소우편 또는 최종 열편의 가운데 잎맥과 다소 평행하며, 선형 또는 타원형이다.

포막은 선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포자는 7~9월에 형성된다.

이 종은 잎몸이 3회 깃꼴겹잎이며 잎몸의 중축이 적갈색으로 윤기가 있고, 포자낭군은 소우편 또는

최종 열편의 가운데 잎맥과 다소 평행하게 붙는 점에서 다른 분류군들과 쉽게 구별된다.

 

큰개고사리 신엽

'15.5.8 / 정읍 큰개고사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850

hyunsik.tistory.com

 

큰개고사리

'14.5.4 / 정읍 [특징] 중축, 우축이 자갈색 또는 황갈색 엽신은 3회 우상이며 포자낭군은 열편 중륵에 맞대어 어긋나게 붙는다. 큰개고사리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850 http://blog.daum.net/watc

hyunsik.tistory.com

 

큰개고사리 (Diplazium mesosorum (Makino) Koidz.)

'15.5.8 / 정읍 큰개고사리 신엽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851 큰개고사리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865 특징 : 우축 자루가 길고 포자낭군이 소우편 중륵 가까이 달림 내장고사리 보기

hyunsik.tistory.com

 

'16.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