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잎은 6개이고 잎, 화경 및 줄기에 털이 있으며 근경이 있다.
[개별꽃속의 검색표]
1. 상부 잎은 대생하며, 크기와 모양이 나머지 잎과 비슷하다.
2. 개화 후에도 직립한다.
3. 잎은 침형 또는 선상피침형이다. ----- 가는잎개별꽃
3. 잎은 피침형, 난상피침형, 난형이다.
4. 엽연과 잎 이면 중륵에 털이 있다. ------ 긴개별꽃
4. 잎 기부에만 털이 있다. ----- 애기개별꽃
2. 개화 후에 덩굴성이 된다.
5. 원줄기의 잎과 엽액에서 분지된 줄기의 잎이 동형(난형)이며, 종자가 결실한다. ----- 덩굴개별꽃
5. 원줄기의 잎과 엽액에서 분지된 줄기의 잎이 이형이며, 종자가 결실되지 않는다.
6. 소화경이 2 cm 이상이다. ----- 보현개별꽃
6. 소화경이 2 cm 미만이다. ----- 설악개별꽃
1. 상부 잎은 위윤생하며, 나머지 잎에 비해 가장 크다.
7. 지하경이 있다. ----- 숲개별꽃
7. 지하경이 없다.
8. 소화경 전체에 털이 있다. 꽃은 (1)2–5(8)개 핀다. ------ 개별꽃, 털개별꽃
8. 소화경에 털이 없거나 1–2줄 있다. 꽃은 한개만 핀다.
9. 결실기 소화경은 3.5 cm 이상이고, 결실기에 줄기 기부로 길어져 굽는다. ----- 지리산개별꽃
9. 결실기 소화경은 3.5 cm 미만이고, 결실기에 줄기 기부로 길어지지 않는다.
10. 종자가 결실되지 않는다. 지상부 줄기는 하나이고, 소화경에 털이 1줄이다. ----- 비슬개별꽃
10. 종자가 결실된다. 지상부 줄기는 1–17개이고, 소화경에 털이 없거나 1–2줄이다.
11. 삭과의 종자수는 5개 이상이다. 결실기 소화경 길이는 1.3–2.8 cm이다.
----- 큰개별꽃, 영선큰개별꽃, 탐라큰개별꽃, 가거큰개별꽃
11. 삭과의 종자수는 1–4개이다. 결실기 소화경 길이는 2.3–3.4 cm이다. ------ 정영개별꽃
[기재문]
학명은 Pseudostellaria setulosa Ohwi
비교적 고도가 높은 지역의 숲속이나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 15~30cm이며, 뿌리는 대개 1개가 염주 모양으로 비후한다.
원줄기는 2줄의 털이 있다.
잎은 대생하지만 줄기 끝에 4개는 근접하여 붙고, 잎자루가 없다.
잎몸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양 끝단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 긴 털이 있다.
꽃은 5월에 줄기 끝에서 1개가 흰색으로 피며, 긴 작은꽃자루에 전체적으로 털이 있다. 꽃받침은 6개로 피침형이며,
꽃잎은 6개, 도란형으로 6개가 끝이 오목하게 파이고 큰개별꽃보다 더 크다. 뿌리는 굵으며 방추형이다.
'24.5.2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괴불나무 꽃, 잎(4.30) (0) | 2024.05.03 |
---|---|
회리바람꽃 영양엽(5.2) (0) | 2024.05.03 |
지렁쿠나무 열매, 잎 (인동과/5.1) (0) | 2024.05.02 |
단풍제비꽃(4.23) (0) | 2024.04.29 |
물냉이 (4.19) (0) | 2024.04.28 |